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도마위에 오른 서울시와 성남시 '공짜 복지'…"모럴 해저드 부르는 '모르핀 주사'"

    ◆성남시 3대 복지정책 이재명 성남 시장이 4일 보건복지부의 반대에도 청년배당, 무상 교복, 무상 공공산후조리원 등 이른바 ‘성남시 3대 복지정책’을 올해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교부금 감액 등 재정 패널티에 대비해 2019년까지는 각 사업비를 절반만 집행하고 절반은 정부를 상대로 낸 재판 결과에 따라 탄력적으로 쓰기로 했다. -1월4일 연합뉴스 ☞ 세상에 공짜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중앙정부나 ...

  • 교양 기타

    어린왕자가 들려주는 순수하고 신비한 이야기…'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이면 삶의 무게 극복

    널리 퍼진 책 앞에는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팔린’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어린왕자』는 프랑스에서 성경 다음으로 큰 사랑을 받은 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 안응렬 교수가 번역한 이후 100여 종 이상의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작년 12월 애니메이션 영화 <어린왕자>가 개봉되면서 그 한 달 전에 최신 번역본이 또 나왔다. 끊임없이 번역본이 나오고 새로운 독자가 찾는 것은 그만큼 울림이 큰 작품이라는 뜻일 게다...

  • 교양 기타

    청소년 필독서…한국은 어떻게 경제대국이 됐나…'한강의 기적' 밑바탕은 '장영실'정신 살린 공학

    KBS 드라마 <장영실>은 조선시대 과학기술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장영실은 세종대왕이 발탁한 과학자로 활자와 천문대, 물시계 등을 만들었다. 조선 500년의 기틀을 다진 세종대왕이 우리나라 과학사에 끼친 영향은 실로 지대하다. 그는 오늘날까지 가장 존경받는 인물로 꼽힌다. 이런 세종대왕의 업적이 우뚝할 수 있게 뒷받침한 한 인물이 바로 장영실이다. 기술과 과학 중시…테크노크라트 시대 최근 《청소년을 위한 공학 이야기...

  • 경제 기타

    은행 영업시간 연장해야 할까요

    은행은 오후 4시만 되면 문을 닫는다. 물론 은행업무가 끝나는 것은 아니지만 고객들은 4시 이후에는 은행에 가도 업무를 볼 수 없다. 지난해 가을 당시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지구상에서 오후 4시면 문닫는 은행이 어디 있느냐”고 질타한 후 은행 영업시간 연장을 둘러싼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일부 은행에서는 영업시간을 연장하는 탄력 점포 운영을 시작했고 이런 서비스는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아직도 은행 영업시간 연장을 둘러싸...

  • 교양 기타

    후추는 1000년 이상 금보다 비싼 향신료…냉장·냉동 기술이 발달하면서 가격 추락

    후추는 금(金)보다 비싼 물건이었습니다. 과장이 아닙니다. 비유도 아닙니다. 1000년이 넘도록, 같은 무게의 후추와 금 가운데 후추 가격이 더 높았습니다. 혹시 다른 물건이냐고요? 아닙니다.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후추, 우리가 아는 그 금이 맞습니다. 전통적으로 육류는 인류에게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었습니다. 문제는 고기 보관이 쉽지 않다는 점이지요. 신선한 육류를 먹는다는 것은 그래서 과거 사람들에겐 평생 동안 몇 번 없는 호사였습니다. 아주...

  • 경제 기타

    금융NCS교육협의회 2차 세미나 2월16일 열려

    금융 교육에 관심이 있는 교육계와 산업계 전문가들이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금융 전문인력을 효율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금융NCS교육협의회’를 구성했다.(사진) 협의회 초대 회장에는 안산대 금융정보학과 백진욱 교수가, 부회장은 서울교육대 전우천 교수, 안산디자인문화고 이명환 교사가 각각 선임됐다. 이번 협의회는 산업계에 NCS 기반 채용이 확산되고 있으나 교육계...

  • 역사 기타

    길 잃은 조선왕실과 조급한 개화파…3일 천하로 끝나버린 갑신정변

    임오군란이 진압되고 구식 군대를 지원했던 흥선대원군은 청나라로 잡혀갔습니다. 이로써 고종은 아버지에게 빼앗겼던 권력을 되찾았고 명성황후도 궁궐로 돌아왔습니다. 이렇게 큰 난리를 겪으면 지배자들은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 돌아보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해야 하지요. 역사적으로 수많은 민란과 봉기가 있었고, 그중 성공한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그래도 사건 이후 권력자들의 반성과 개선의 노력, 민중의 깨달음이 조금씩이라도 있었기에 오늘날 같은 자유로운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