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다이어리를 게임하듯이 써보세요…원하는 목표가 이뤄집니다"

    “왜 내가 공부를 해야 하는지 이유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목표 없이 공부 하면 중간에 포기하기 쉽죠. 서울대 합격했다고 무조건 성공하는 것은 아니에요. 입학한 뒤에 방황하는 사람도 간혹 있죠. 장기적인 관점에서 왜 내가 공부해야 하는지를 깨달은 후에 자신의 맞는 방법을 찾길 권합니다. 다이어리나 플래너, 계획표도 항상 갖고 다니면서 펴놓는 것이 중요해요. 눈에 보여야 지속적으로 쓰는 버릇을 들이죠. 다이어리 쓰는 ...

  • 커버스토리

    슘페터: 기술혁신을 통한 창조적 파괴…드러커: 기회를 사업화 하는 모험정신

    아산(峨山) 정주영의 최종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이다. 그는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이란 학문적 용어를 정규교육으로 배운 적도 없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의 일생은 기업가 정신의 전형을 보여준다. 조지프 슘페터(1883~1951)와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인 피터 드러커(1909~2005)가 이론으로 기업가 정신을 세웠다면, 정주영은 몸으로, 행동으로 실천한 인물이다. 기업가라는 용어는 기업가라는 용어는 프랑스말에서 유래했다. ...

  • 커버스토리

    미·일 교과서는 카네기·록펠러 교육…한국교과서는 기업인 안 가르쳐

    현행 교과서는 노동운동을 한 전태일은 수없이 나오지만 산업화를 통해 ‘한강의 기적’을 이뤄낸 기업과 기업인들 이야기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미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는 경제 성장을 주도한 기업과 기업인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기술돼 있다. 미국 교과서는 철강왕 앤드루 카네기, 금융가 존 피어폰 모건, 석유재벌 존 록펠러,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 빌 게이츠 전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이 등장한다. 일본 교과서는 &l...

  • 커버스토리

    "이봐, 해봤어?"…불가능에 도전한 기업가 정신 표본

    1971년 9월 영국 런던. 56세의 정주영은 영국의 유명한 조선회사 A&P애플도어의 롱바톰 회장을 만나고 있었다. 가난한 나라의 정주영은 영국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위해 도움을 요청하고 있었다. 그가 도와주지 않으면 영국에서 돈을 빌릴 수 없었다. 그가 돈을 빌려 하려는 사업은 조선소 건설이었다. 롱바톰 회장은 기술력도 없고, 빚을 갚을 능력도 없는 나라에서 온 정주영에게 호의적일 수 없었다. 전설①…거북선 기적 &ld...

  • 커버스토리

    '원조 흙수저' 정주영…16세 때 고향을 떠나다

    아산(峨山) 정주영은 1915년 11월25일 강원 통천군 송전면 아산리에서 6남2녀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산이 정식교육을 받은 것은 소학교 과정이 전부였다. 16세 때 아버지가 소를 팔고 받은 돈 70원을 들고 무작정 서울로 올라왔다. 공사판 막노동, 쌀가게 점원 등을 전전했던 그는 도전과 노력으로 세계적 기업가가 됐다.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시작으로 중동 건설시장 진출, 조선소 건설, 자동차 독자 개발, 서울올림픽 유치 등은 그가 적극...

  • 경제 기타

    가계 빚 1년새 100조 넘게 증가 등

    가계 빚 1년새 100조 넘게 증가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 가능성…저금리에 주택대출 급증 탓 ◆1200조원 육박한 가계 빚 가계 빚이 1년 새 100조원 넘게 급증해 1200조원에 다가섰다. 저금리와 부동산 활황 속에 경제규모 대비 가계 빚은 어느새 신흥국 최고 수준이 됐다. 다음달 미국의 금리 인상이 유력한 만큼 긴장감이 높다. 한국 경제의 취약한 고리인 가계부채가 위기의 도화선이 될 가능성 때문이다. -11월25일 한국경제...

  • 교양 기타

    70세로 태어난 아기…점점 어려지는 삶…시간을 거꾸로 사는 인생

    방학이 가까워오면 여기저기서 ‘반드시 읽어야 할 세계명작 100선’ ‘청소년에게 추천하는 세계명작’ 같은 목록이 발표된다. 방학 때 전략 과목을 공부하고 부족한 과목을 보충해야 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세계명작은 먼 나라 이야기로 들릴 것이다. 하지만 고등학교 시절에 세계명작에서 삶과 사랑을 만나면 일평생 풍요로운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다. 볼거리가 많지 않았던 시절, 두꺼운 책을 옆구리에 끼고 다니면서 ...

  • 교양 기타

    지금의 내가 있는 것은 내가 혼자 있었기 때문…디오게네스는 전체주의에서 홀로 개인이 되었다

    “혹시 우리 과 학생 아니신가?” “아저씨는 누구세요?” 졸업하던 해, 강의실 앞에서 마주친 교수님과 오갔던 대화다. 나는 미안해하지 않았고 그는 불쾌해 하지 않았다. 그 세월이 그랬다. 대학시절, 나는 그 시간의 절반을 총학생회실에서 보냈다. 2학년 때는 차장으로, 3학년 때는 부장으로. 1980년대 총학생회의 기획부장이라고 하면 당연히 운동권이었을 것이라고 짐작하기 쉬운데 죄송하지만 아니다.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