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민주주의를 부패시키는 '댓글 조작'

    요즘 인터넷이 시끄럽다. 언제나 시끄러웠지만 요새는 더욱 시끄럽다. 바로 몇몇 사람이 특별한 프로그램을 이용해 국내 유명 포털사이트의 댓글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들은 국내 모 정당의 지지자로 자기네 정당을 욕하는 글의 공감수를 올려, 상대 당을 나쁘게 보이려고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특정 정당에 관계없이, 나는 댓글을 조작하는 이들에게 이렇게 묻고 싶다. “댓글 조작에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라고.댓글을 보지 않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다수 사람은 뉴스를 볼 때 그 기사의 댓글을 보고 여론을 판단한다. 댓글에는 공감수가 있어서 많은 공감을 받은 댓글은 첫 페이지에 보이고 공감을 얻지 못한 댓글은 뒤로 밀린다. 따라서 공감을 많이 받은 댓글을 첫 페이지에 보이면 그 기사의 내용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공감을 많이 받은 댓글에 동조하는 성향을 보일 수 있다. 댓글 조작을 시행한 사람들은 이 점을 노린 것 같다.그런데 이렇게 댓글을 조작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옛 왕조의 폭군을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 폭군이 나오면 몇몇 신하를 제외한 대다수 신하는 그 폭군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당연히 그 폭군은 자기가 성군인 줄 알았을 것이다. 그러나 후대의 사람들 생각은 어떠한가? 당연히 폭군은 폭군으로, 성군은 성군으로 생각한다. 이 댓글 조작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지금 댓글 조작으로 잠시 명성을 얻은들, 역사는 이를 어떻게 평가하겠는가. 정말로 자신의 당을 사랑한다면 자신의 당이 올바른 행동을 하게 쓴소리도 하고, 옳은 행동을 하면 칭찬도 하며 자신의 당을 정말 사랑받는 당으로 만들어야 하지 않겠는가.지금도 댓글을

  • 생글기자

    플라스틱 쓰레기, 안 쓰는 게 정답이다!

    세계 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수입하던 중국이 쓰레기 수입을 차츰 중단하면서 세계는 쓰레기 처리 문제로 골치를 앓게 됐다. 그 가운데서 가장 문제가 된 게 플라스틱 쓰레기다. 프란스 팀머만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부원장은 일회용 플라스틱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만드는 데 5초, 사용하는 데 5분, 분해되는 게 500년!’ 900년을 살아남은 도깨비 ‘공유’만큼 질긴 플라스틱 쓰레기는 전 세계에서 한 해 동안 약 630만t(2015년 기준) 발생한다고 한다.플라스틱 쓰레기는 땅에 묻히기도 하지만 일부는 강이나 배수구 등을 타고 바다로 흘러 들어오는데 바다 위를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만 3500만t에 이를 정도다. 그래서 세계 곳곳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잔뜩 먹고 죽은 고래, 낚싯줄을 목에 동여맨 채 죽어가는 거북이, 플라스틱 집을 이고 힘들게 살아가는 게 등이 발견되는 것이다. 우리 식탁도 안전할 수 없다. 바다를 떠다니다 거친 파도와 자외선에 부서진 미세 플라스틱은 바다 생태계의 먹이가 되고 사람들에게 잡혀서 우리의 먹을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가 먹는 천연 소금과 생선, 새우, 굴 등에서 다량의 플라스틱 성분이 검출되고 있다.그래서 세계는 지금 플라스틱 줄이기 전쟁을 시작했다. 영국의 주요 슈퍼마켓들은 2025년까지 불필요한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고 유럽연합은 일회용 플라스틱에 세금은 부과하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려고 한다. 얼마 전에는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효소가 개발됐다는 소식도 들렸다. 하지만 넘치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한다. 결국 안 쓰는 것만이 가장 큰 해결책이라는 건데, 생활 곳곳에 퍼져 있는

  • 생글기자

    Affirmative Action은 과연 옳은 정책일까?

    현 21세기에 가장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사는 나라는 어디일까? 이 질문을 들으면 누구나 ‘미국’이 떠오를 것이다. 메이플라워호가 닻을 올린 이래로 다양한 인종이 미국에 이민을 갔다. 이런 ‘인종의 용광로’ 미국에서도 인종차별 문제가 처음에는 심했지만 다양한 사람들의 노력으로 차별이 차츰 수그러들었다. 그런데 아시아계가 미국 대학 입학에서 인종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Affirmative Action’이라는 제도가 아시아계 학생들의 대학 입학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다.Affirmative Action, ‘소수집단 우대 정책’은 말 그대로 소수집단을 우대하는 정책이다. 이 정책은 미국에서 사회적 격차를 줄이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데, 보통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온 흑인 집단이나 히스패닉 집단을 다양한 곳에서 우대해 준다. 이 다양한 곳에는 대학도 포함된다. 문제는 이 소수집단 우대 정책으로 인해 훌륭한 아시아인 지원자가 지원 대학에서 떨어지는 일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아시아계는 미국 전체 인구수로 보자면 6% 정도밖에 안 되지만 아이비리그를 포함한 명문 사학에서는 20% 정도를 점유하고 있어 소수자가 아닌 우세 집단으로 분류된다. 이로 인해 월등한 점수를 받고도 대입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현재 듀크대에 재학 중인 오스틴 지아는 거의 완벽한 SAT(수능) 점수와 GPA(내신) 그리고 토론팀, 테니스팀 주장, 주 오케스트라 활동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한 여러 아이비리그 대학에서 탈락했다. 이런 개별적인 사례들 외에도, 아시아계가 대학 입학에서 차별당하고 있다는 것은 데이터로도 뒷받침된다. 프린스턴대

  • 생글기자

    어린이들 보는 TV 프로그램은 심의 강화해야

    최근 신문에서 봤던 일화이다. 4살짜리 친구 아들이 ‘싫다’라는 의사를 표현할 때 엄마의 목을 조르는 시늉을 해서 깜짝 놀라 왜 저러냐고 물어봤더니, 텔레비전 만화에서 본 것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다. 실제로 어린이들이 보는 많은 프로그램에서 폭력적인 장면이 꽤 나오고 있고, 어린이들이 이를 모방하는 행위는 현재까지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주 시청자가 성인인 프로그램과 달리 주 시청자가 어린이인 프로그램은 그만큼 더욱 강력한 규제를 필요로 한다. 아직 사고나 판단 능력이 백지상태나 다름없어서, 접하는 매체로 인해 받는 영향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들어온 애니메이션의 등장인물 이름 등을 현지화하는 것도 자국 문화에 익숙해지기 전 타국 문화에 물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그 폭력성에 대해서는 규제가 허술한 상황이다. 단순한 그림체의 만화일수록 목을 조르거나 때리는 행위 등이 아무렇지도 않게 등장하지만 특성상 그 잔인성을 간과하기가 쉽다. 이를 어린이들이 별생각 없이 모방할 수 있다는 점도 마찬가지다.텔레비전 프로그램보다도 더 큰 문제는 폭력성을 띠고 있는 게임이다. 텔레비전은 부모가 시청 지도를 해 줄 수라도 있지만 게임은 부모의 시야에서 벗어나 PC방 등에서 이뤄지는 관계로 그런 지도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게임에서 총을 쏘고 상대방을 죽이는 행위를 반복하며 무의식중에 생명에 관한 윤리 의식도 약해져 갈 수 있다. 어느 정도 사리 분별이 가능한 나이면 가상과 현실을 구별할 줄은 알게 되겠지만, 아직 어린아이들이라면 무분별한 매체 이용이 곧바로 정서 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어린

  • 생글기자

    Rebutting on the ambiguous theory called 'the ultimatum game'

    William Witt once said “Whatever the subject is, if the word, curiosity is triggered, then catch that moment”. The maxim popped on my head while I was reading my Korean textbook at school. The topic was about ‘The Ultimatum’ which goes against a fundamental idea that defines all human beings behave reasonably only according to their own interests. Having been taught that human beings maximize utility and get satisfaction through minimal costs, I have gotten curious on whether this theory is right or wrong.On the way of reading my textbook, I found some logical error in this theory. In order to understand my refutation on it, knowing how this game works is essential. According to google, it says that this game works as the first player (the proposer) conditionally receives a sum of money and proposes how to divide the sum between the proposer and the other player. The second player (the responder) chooses to either accept or reject this proposal. If the second player accepts, the money is split according to the proposal. If the second player rejects, neither player receives any money.The game’s theory itself goes against the idea that human beings always wants to gain money and profit on the point that if the responder rejects money then neither player will receive money. But I have thought differently. Couldn’t ‘deny’ from the responder itself be a better choice for achieving benefit to him? A prestigious philosopher called Thomas Miller(the utilitarian) basically claimed that “happiness can be calculated (as money).” So why not ‘bad feeling’ itself can’t go on the same path as happiness on being measured? So, my point is that the ultimatum game theory couldn’t be taken as a perfect theory that represents an idea that humans always choose based on the profits they could gain. Because for some people rejecting a proposal could also be a personnel satisfaction which is regarded as same

  • 생글기자

    대통령만 바뀌면 따라 바뀌는 교육정책들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현재 매우 당황스러운 교육정책을 받아들이고 있다. 2020학년도 수능에선 학생부종합전형 비중이 줄어들고 수능으로 대학을 가는 정시 비중이 늘어난다고 한다. 연세대는 2020학년도에 정시로 뽑는 학생을 1011명에서 1136명으로 늘린다고 발표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사교육을 많이 받는 학생이 좋은 성과를 얻는다고 하는 금수저 전형이라고 불리고, 내신 성적을 잘 못받은 학생의 경우 수능으로 만회해야 한다는 것이다.하지만 이렇게 갑작스럽게 학생들에게 통보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 대통령이 바뀔 때마다 교육정책이 변해 학생과 학부모들은 당황스러울 뿐이다. 최근 교육정책을 보면 이명박 정부 때는 사교육비가 16% 이상 늘어났다. 또한 고교다양화 정책으로 고등학교의 서열화가 심해졌다. 다음 대통령인 박근혜 정부 땐 공교육 정상화로 사교육을 줄이려고 했다. 학교 공부로만 대학을 갈 수 있는 행복 교육을 추진했다. 문재인 대통령 시기에는 박 전 대통령과 이 전 대통령이 추진하던 자율형사립고를 폐지해 학교 서열을 없애려고 했지만 학부모들의 반대로 실패했다. 문 대통령 정부에서는 교육부가 수시 비중을 줄이고 정시 비중을 높인다고 하고 있다.교육정책이 대통령이 바뀔 때마다 달라져 학생들은 매번 당황스러울 뿐이다. 어느 신문을 보니 우리나라의 이념 문제가 사회적 분열을 일으켜 한국의 발전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고 한다. 진보와 보수의 이념문제가 국가 교육정책에도 영향을 미쳐 정권이 바뀔 때마다 변화가 생기는 것 같다.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의 교육정책은 정권마다 바뀌지 않고 일관된 교육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렇듯 선진국이 되

  • 생글기자

    범죄자의 신상은 어디까지 공개해야 하나

    지금까지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흉악 범죄 피의자의 신상을 공개한 적이 있다. 이처럼 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하는 것은 옳은 일일까? 혹은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을지도 모르는 피의자의 인권 침해일까? 이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현재 증거가 명백한 흉악 범죄자에 한해서는 범죄자 신상 공개 조건에 따라 공익적 목적에서만 신상을 공개하고 있다. 범죄자의 신상 공개는 공익적 차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흉악범의 신상을 공개하면 유사 범죄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사람들에게 ‘저런 흉악한 범죄를 저지르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또한 재범을 방지할 수 있다. 얼굴을 공개함으로써 범죄자에게 심리적 압박을 주고, 사람들이 범죄자를 경계함으로써 또 다른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밖에 신상 정보가 공개됨에 따라 밝혀지지 않은 범죄들이 제보 등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진국들은 대체로 흉악범의 신상 공개에 우리나라보다 훨씬 적극적이다. 영국에서는 언론이 범인 검거 과정, 이름, 얼굴 등을 공개하는 관행이 있고, 독일에서도 공익상 필요성이 인정될 때 얼굴 등의 신상 정보가 공개돼도 책임을 묻지 않는다고 한다. 범죄자의 인권보다 국민의 알 권리와 피해자의 인권이 더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반면에 흉악 범죄자라도 인권은 존중돼야 하며, 유죄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신상이 노출돼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견해도 있다. 신상을 공개했다가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는 일도 있는데, 그 경우 심각한 피해가 우려된다. 또한 범죄자의 신상이 알려지면서 범죄자 가족의 신상도 알려지는 경우가 많은데

  • 생글기자

    남북한에 놓인 갈등의 벽이 허물어지기를

    현재 남한과 북한은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1953년에 남북은 6·25 휴전 선언을 하였고 현재까지 남한과 북한 사이의 긴장감은 계속되고 있다.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서로 다른 사회사상과 통치체제 속에서 남한과 북한은 점점 멀어져 갔다. 어렸을 때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를 배웠던 것도 기억이 나고 북한을 한민족이라고 생각하면서 통일은 꼭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점점 세월이 지나가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통일에 대해서 무감각해지고 북한을 한민족으로 생각하는 생각도 점점 사라지고 있다.그런데 점점 이질화되어가는 한반도에 평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2018년 4월27일, 노무현 정부 이후 11년 만에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직접 판문점을 방문하여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흥미로운 것은 북한의 지도자가 회담을 위해 남한으로 온 것은 처음이라는 것이다. 회담 결과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이 서명되고 공동 발표되었다.이 선언문은 비핵화 선언, 문재인 대통령 평양 방문 예정, 남북 공동 연락사무소 개성지역 설치,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전환, 8·15 이산가족 상봉,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선언 내용 중 공동 연락사무소는 남과 북에 직통전화를 연결하여 주기적으로 회담할 수 있는 길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특히 이번 판문점 선언의 의의는 자주적인 선언, 평화적 선언이라는 데 의미가 크다. 양측의 정상은 오랜 분단과 대결을 하루빨리 종식시켜야 하고 민족적 화해와 평화 번영을 위해 남북 관계를 적극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