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일제고사 부활… 생글기자들의 생각은?
찬 “경쟁없이 발전없다” …학업성취도 공개해 '선택과 집중'을 지난 10월13,14일 양일에 걸쳐 전국의 초 · 중 · 고등학교(초6~고1)에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일제고사)가 실시되었다. 이 시험의 목적은 국가에서 정한 교육 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평가를 통해 교육과정 및 교수 · 학습 방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학업성취도 평가가 학교나 학생들을 ...
-
경제 기타
대입 성적 홍보에 치우친 고교 합동설명회 '옥에 티'
지난 24일 강서 · 양천 고등학교 합동 설명회가 서울 염경중학교에서 열렸다. 10일에 이어 2회째다. 25개의 학교가 모여 학부모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입시에 관한 상담 및 학교 홍보활동을 했다. 이번 합동 설명회는 내년 학교 선택권 확대에 따라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전형 방법 이해도를 높이고,진로 · 적성에 맞는 학교 선택을 유도하기 위해 개최됐다. 강당에서 교육장 인사와 학교 선택제에 대한 안내가 끝난 후 본격적인 학교...
-
경제 기타
늘어가는 청소년 음주,흡연… 강건너 불구경?
"그 편의점 뚫려?" "내 것도 좀 뚫어주라." 이는 요즈음 교실에서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 학생들의 대화이다. '뚫다'는 '미성년자가 가게에서 술이나 담배 따위를 사다'라는 뜻의 은어이다. 즉 미성년자인 청소년들이 아무 거리낌없이 술과 담배를 구입하는 것이다. 실제로 K군은 "마음만 먹으면 술 · 담배쯤은 쉽게 살 수 있어요. 사복만 입으면 신분증 확인 없이도 살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청소년 보호법 제26조 1항에는 '누구든...
-
경제 기타
“행복은 파랑새가 아니에요!” …생활속 작은 행복 찾기 실천을
어려워진 경제 현실과 바쁘게 돌아가는 일상생활로 삶이 더욱 각박해지면서 최근 '행복'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행복에 대한 인식도 단순히 추상적인 개념에서 나아가 국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최근 '불평제로 프로젝트'라는 캠페인이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본 캠페인은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의 윌 보웬 목사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캠페인 참가자들은 캠페인의 상징물인 보라색 팔찌를 손목에 착용하고,...
-
커버스토리
외고를 없애자는 주장 어떻게 볼까?
특목고인 외국어고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외고를 자율형사립고나 국제고등학교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은 "외고가 설립목적인 외국어 특기 인재 양성 대신 명문대 진학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사교육비 팽창의 핵심 원인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마녀사냥이 아니냐는 질문에 "마녀사냥은 마녀가 아닌 사람을 마녀로 몰아서 사냥한다는 얘기지만,외고는 분명히 마녀"라고 말하기도 했다. 우리...
-
경제 기타
브라질, 달러에 첫 거래세… 통화전쟁 불붙어
美, 중국 등 아시아국가에 통화절상 압력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최대 '통화전쟁'이 불붙고 있다. 아시아 각국 중앙은행은 달러 약세를 막기 위해 최근 잇따라 외환시장에 개입, 달러화를 사들이고 있다. 남미의 브라질은 자국에 유입되는 달러화에 대한 금융거래세 부과를 결정했다. 이에 대해 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아시아와 미국경제 간 불균형 해소가 시급하다"며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통화절상 압력을 높이고...
-
경제 기타
졸업성적, 지역균형선발 학생 우수 등
⊙ 졸업성적, 지역균형선발 학생 우수 서울대 신입생의 70%가량은 과외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졸업 성적은 과외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지역균형선발 출신 학생들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보환 한나라당 의원이 21일 공개한 '2009학년도 서울대 신입생 특성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신입생 중 69.5%가 과외 경험을 갖고 있으며,경험자 중 69.7%는 "과외가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 ...
-
경제 기타
'하나의 아시아' 실현 가능성은 제로(0)?
경제 격차·정치체제 차이 등 첩첩산중… 한·중·일 공동체 '헛 구호' 한 · 중 · 일 3국을 포함한 아시아 전체의 통합을 꿈꾸는 '원 아시아(One Asia)' 구상이 벌써부터 삐걱대고 있다. 지난 10일 베이징에서 열린 한 · 중 · 일 3국 정상회담에서 '동아시아 공동체'란 용어가 처음 등장하면서 유럽연합(EU)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에 맞먹는 동아시아 거대 세력이 탄생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작 실현 가능성은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