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불꺼져 가는 울산과 거제 조선소 "13년전 '스웨덴 말뫼의 눈물' 기억해야"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어왔던 제조업이 중병을 앓고 있다. 조선 철강 석유화학 IT(정보기술) 자동차 해운 등 거의 전 산업 분야에서 일본의 반격과 중국의 거센 추격 등으로 설자리가 좁아져가는 추세다. 문제는 이런 흐름이 구조적이라는 데 있다. 자칫 잘못하다가는 대한민국 호(號)가 선진국 문턱에서 좌초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말뫼의 눈물’은 우리 경제가 처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단어다.스웨덴은 20세기 세계 조선시장을 주도하던 최고의 조선국가였다. 스웨덴의 조선산업을 이끌던 메카가 바로 말뫼시다. 스웨덴 남부 스코네주에 자리잡은 항구 도시 말뫼는 조선업으로 명성을 떨쳤고, 그 중심에 조선업체 코쿰스(Kokums)가 있었다. 코쿰스는 한창 호황이던 1973년 높이 138m에 무려 1500t을 들 수 있는 초대형 크레인(코쿰스 크레인)을 만들었다. 이 ‘말뫼의 크레인’은 스웨덴의 자존심으로 통하며 75척의 배를 건조했다. 하지만 2003년 현대중공업에 단돈 1달러에 팔리는 신세가 됐다. 1980년대 들어 한국과 일본 등이 세계 조선시장을 휩쓸기 시작하면서 코쿰스가 경쟁력을 잃고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스웨덴 국영방송은 해체된 크레인이 울산으로 떠나던 날 ‘말뫼가 울었다’는 보도와 함께 장송곡을 틀었다고 한다. 현대중공업은 ‘말뫼의 크레인’ 인수를 계기로 세계 조선업계의 최강자로 올라섰다.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말뫼의 눈물’과 유사한 ‘울산의 눈물’이 재현될 조짐이다. 말뫼의 크레인이 현대중공업으로 온지 13년이 흐른 지난 1일, 현대중공업은 울산 온산 2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주문이 뚝 끊기면서 해양플랜트 블록을 만들던 공

  • 교양 기타

    온 마음을 다해 원한다면…반드시 그렇게 된다는 거야!

    파울로 코엘료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특별히 사랑하는 작가이다. 코엘료가 새 책을 내면 어김없이 베스트셀러에 오른다. ‘연금술사’‘11분’‘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같은 작품을 읽고 매료된 사람들이 코엘료를 ‘믿고 보는 작가’로 수첩에 등재시켰기 때문이리라.1987년 발간한 ‘연금술사’는 168개국에서 73개 언어로 번역되어 3000만 권 이상 팔렸다. 이로 인해 코엘료는 ‘한 권의 책이 가장 많은 언어로 번역된 작가’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2001년 우리나라에 소개된 ‘연금술사’는 지금도 문학베스트 108위에 올라있을 정도로 꾸준히 사랑받는 작품이다.어떤 연유로 이 책이 전 세계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것일까. 쉽지 않은 결정을 하고 새로운 길에 도전하는 산티아고를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기 때문일 것이다.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는 광고문구가 있지만 모든 걸 훌훌 털고 새로운 세상으로 떠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연금술사’의 주인공인 평범한 양치기 산티아고, 그가 안정된 생활을 뒤로하고 보물을 찾으러 떠나는 것부터가 매력적이다. 산티아고는 첫 번째 도착지에서 돈을 다 잃어버리지만, 절망하거나 원망하지 않는다. 그곳 크리스털 가게에 취직하여 열심히 일하며 다시 꿈을 꾼다. 성실하게 일해 돈도 모으고 사랑하는 사람도 만나지만 산티아고는 또다시 모험의 길을 떠난다. 산티아고는 여행을 하면서 연금술사를 만나고, 그로부터 지혜를 얻어 보물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는다.하나의 언어를 깨닫게 될 때‘연금술사’의 진짜 매력은 산티아고가 여행하면서 만난 사람들과 나누는 주옥같은 대화들이다. 연

  • 교양 기타

    백제를 위해 군사 4만·군함 400척 보낸 일본, 나당 연합군에 전멸

    일본 구마모토에 대지진이 발생했습니다. 구호물자를 싣고 떠나는 우리 비행기의 사진이 신문에 실렸습니다. 사진을 보면서 1354년 전, 서기 662년에 벌어졌던 역사적 사건을 떠올립니다. 백제를 구원하러 서둘러 바다를 건너 온 4만 명의 일본 병사와 400척의 군선입니다. 나당연합군에 맞서 백제가 멸망한 것은 660년 7월입니다. 의자왕과 태자 효가 항복을 하고 당나라로 잡혀갔습니다. 당시 일본에 머물고 있던 왕자 부여풍은 백제 부흥군의 중심이 되어 일본 조정이 편성한 군대와 함께 백제의 옛 땅으로 돌아옵니다. 흑치상지, 복신, 도침 등이 가세한 백제 부흥운동의 본격적 개전입니다.전부를 쏟아부은 일본의 백제전쟁이듬 해 8월, 백제 부흥군의 중심지 주류성(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을 나당 연합군이 포위합니다. 일본 군대가 서해안에 도착했고, 격렬한 해전이 펼쳐집니다. 일본수군은 궤멸적 타격을 입고 참패했습니다. 그들은 백제를 위해 싸우다 거의 전멸했습니다. 이 유명한 사건이 바로 일본 교과서에 실려있는 ‘백촌강(白村江)의 전투’입니다. 우리 교과서에는 이 사건이 기술되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배우지 못했습니다.일본 고대 역사서인 <일본서기(日本書記)> 뿐 아니라, 우리 측 기록인 <삼국사기(三國史記)>, 그리고 중국 측 사서에도 꼭 같은 기사가 있으니, 백촌강의 전투는 역사적 사실일 터입니다. 백촌강이 어디인지에 관해서는 군산포 설, 금강 설, 동진강 설, 부안 설 등이 맞서고 있지만, 전투 자체가 벌어졌던 사실에는 각국 역사학자 사이에 이견이 없습니다. 임진왜란(1592) 한산도 대첩 당시, 조선군 전함이 55척, 일본군 전함

  • 경제 기타

    글로벌 금융사들 '한국 탈출' 러시

    외국계 금융회사들이 줄줄이 한국을 떠나고 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제일생명을 인수해 한국에 진출했던 독일 알리안츠(Allianz)그룹이 짐을 싸고 있다. 2012년 11월 이후 한국에서 철수했거나 사업을 축소한 글로벌 금융사가 10여곳에 달한다. 2012년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의 철수를 필두로 2013년 HSBC가 소매금융에서 손뗐고, ING그룹은 ING생명을 팔고 떠났다. 2014년 SC그룹이 SC저축은행과 SC캐피탈을 매각했다. 지난해에도 씨티그룹이 씨티캐피탈을 팔고 RBS가 한국 지점을 폐쇄하고 철수했다. 올 들어서도 바클레이즈, 골드만삭스 등이 은행업 면허를 반납했다. 남은 외국계 금융회사도 몸집 줄이기가 한창이어서 선진국 금융회사들의 ‘엑소더스’는 계속될 전망이다.왜 세계적인 금융사들이 한국을 탈출하고 있는 것일까? 첫째는 한국에서 사업을 하기가 너무나 어렵기 때문이다. 알리안츠그룹은 지난 17년간 한국에서 2억4400만유로(약 3210억원)의 손실을 봤다. 그중 절반인 1600억원의 손실이 2012년 이후 발생했다. 알리안츠생명 한국법인의 위기는 초기 외국인 경영진의 전략 부재, 고금리로 판매한 저축성 보험의 역마진에도 원인이 있다. 하지만 경영진의 정상화 노력에 반대해온 노조의 행태가 더 문제라는 지적이 많다. 알리안츠 노조는 회사를 압박해 2000~2005년 매년 7~14%(2004년은 동결)의 기록적인 임금 인상을 얻어냈고 2008년 초엔 성과급제 도입에 반대하며 234일간 초장기 파업을 벌였다.노조 반대로 구조조정이 지연되면서 고정비 중 인건비 비중이 국내 23개 생명보험회사 가운데 최고인 52%까지 치솟았다. 자산이 16조6954억원인 알리안츠생명의 점포 수는 206개, 임직원은 1178명이다. 자산 규모가 비

  • 교양 기타

    불우한 환경과 장애 짝사랑의 굴레 속에서

    영국 작가 서머싯 몸의 대표작 《인간의 굴레》는 《달과 6펜스》와 함께 세계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작품이다. 불우한 환경과 장애라는 이중고 속에서 스스로 굴레를 만들기도 하고, 남이 만든 굴레 속에 빠져 들어가기도 하는 주인공의 삶은 100년이 지난 현재 젊은이의 행보처럼 생생하다.1915년 발간된 이 작품은 분량이 많아 두께나 가격을 부담스러워하는 이들이 많았다. 몸은 “소설가는 자기의 생활을 위해서 일하는 직업이므로 그가 글을 쓰는 시대의 일반적인 출판 방식을 따를 수밖에 없다”며 1950년 축약판을 냈다.그는 이 작품을 사무엘 버틀러의 《인간의 길》에 영향을 받아 쓴 반(半)자서전적인 소설이라고 밝히면서 “어차피 소설은 허구이며 그 속에 있는 사실들도 저자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다. 집필과 함께 과거의 괴로운 기억들을 잊을 수 있게 됐다”고 했다.저자 서머싯 몸과 ‘인간의 굴레’ 주인공 필립은 얼마나 닮았을까. 몸은 8세 때 어머니, 10세 때 변호사인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목사인 숙부의 집에서 자란다. 17세 때 하이델베르크대에 유학하고, 18세 때 런던에서 회계사 견습생으로 2개월 근무한 뒤 성 토마스병원 부속 의학교에 입학한다. 23세에 의사 면허를 취득했고, 첫 장편소설 《램버스의 라이자》를 발표한 뒤 좋은 작가가 되기 위해 동경하던 스페인으로 떠난다. 극작가로도 활동한 그는 1965년 91세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쉬지 않고 작품을 발표했다.마음이 온통 헝클어지다《인간의 굴레》 주인공 필립은 발이 굽어 걸을 때마다 쩔뚝이는 장애인이다. 어릴 때 의사였던 아버지와 병약한 어머니를 잃어 목사인 백부 집에 오게 된다. 아이가 없어 필립을 아

  • 교양 기타

    청소년기는 자기 정체성 확립 시기

    현대문명에 가해진 4대 충격이라는 말이 있다. 위에서 아래로 가해진 충격은 기독교와 이슬람, 밑에서 위로 가해진 충격은 공산주의, 밖에서 안으로 향한 충격은 자연과학, 안에서 밖으로 향한 충격은 심리학이라는 것이다. 심리학은 인간이 인간의 내면, 즉 정신세계를 체계적 논리적으로 탐구한 첫 번째 학문적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적지 않다. 그렇다면,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징은 무엇일까.중요하고 위험한 삶의 세 시기심리학자 에릭 에릭슨에 따르면 우리 삶에는 중요하고 위험한 세 시기가 있다. 영유아기, 청소년기 그리고 중년기다. 다른 시기들은 조금 관리가 부족해도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이 세 시기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삶이 어려워진다. 영유아기는 무한한 돌봄을 받아야 하는 시기다. 인간의 유아는 다른 포유류에 비하면 매우 연약하다. 예컨대 말은 태어나자마자 바로 걷는다. 인간은 주변의 섬세한 관리가 없다면 생존을 이어갈 수 없다. 생존에 성공한다 해도 누군가가 적절하게 돌봐주지 않으면, 다시 말해 살아가는데 필요한 친밀감을 형성하지 않으면 평생을 성격장애로 살아갈 확률이 높다. 인생의 8단계 숙제 중 신뢰현성, 자율성 발휘, 주도성 갖기를 완수해야 하는 시기다. 예컨대 부모가 이이를 강압적으로 대한다고 하자. 아이는 생존을 위해 자율성과 주도성을 포기하고 ‘말 잘 듣는 아이’를 연기한다. 아이를 힘으로 누르는 부모는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어른이기 쉽다. 술 중독, 도박 중독 등 중독(addiction)에 빠진 경우는 영유아기의 주도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경우다.청소년기는 자기정체성을 확립하는 시기다. 이 시기

  • 경제 기타

    '전국민 원격진료 시행' 일본 vs '시범사업만 28년째' 한국

    ☞ 원격의료는 말 그대로 병원의 의사가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환자들을 직접 보지 않고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병원이 없는 섬이나 벽지, 거동이 불편한 노인 환자들이 병원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간편하게 진찰과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일본은 4월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원격진료 서비스를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에서 원격의료 행위는 불법이다. 환자에게 크게 편리할 것이 분명한 원격의료 서비스가 왜 일본에선 되는데 우리는 안되는 것일까?일본은 이전까지 섬, 산간 지역 등 의료 낙후 지역 거주민에게만 원격진료를 허용했다. 대상 질병도 고혈압, 당뇨 등 9가지로 제한을 뒀다. 하지만 고령화로 인해 병원에 직접 가지 못하는 노인층 인구가 늘어나면서 규제를 전면 없앴다. 관련 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고 일자리를 늘려보자는 생각도 작용했다. 세계 원격의료 시장은 2020년 40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일본 민간업체들은 원격의료 전면 도입에 맞춰 발빠르게 관련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의료정보 개발업체 엠알티(MRT)와 옵팀(OPTiM)은 원격의료 서비스 ‘포켓 닥터’를 내놓았다. ‘포켓 닥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의사의 진료와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혈압, 혈당 등을 측정한 생체 데이터나 환부를 촬영한 사진을 의사에게 보내면 원격으로 진료를 받는다. ‘포켓 닥터’에 참여한 의료기관은 총 1340곳. 일본 내 의료기관 중 1% 정도지만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포트 메디컬’ ‘앰큐브’ 등의 서비스도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다.일본 정부는 이와 함께 집에서 치료

  • 경제 기타

    '반도체 1등 대한민국'에 도전장 내민 중국 정부

    ☞ 중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IT(정보기술)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거의 대부분의 제조업에서 한국을 뒤따라 잡고 있으나 유독 반도체 부문에선 중국 업체들이 힘을 못쓰고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된듯 하다. 중국 정부의 이같은 ‘반도체 굴기(堀起·떨쳐 일어서는 것)’는 우리에게 심각한 잠재 위협이 되고 있다.중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은 국영업체들을 통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XMC는 지난달 28일 허베이성 우한에서 메모리칩 공장 기공식을 가졌다. XMC는 3단계로 나눠 240억달러(약 28조800억원)을 투입한다. 1단계는 낸드플래시 반도체 공장을, 2단계는 D램(RAM) 공장을 짓는다. 마지막으론 부품 공장을 세운다. 낸드플래시는 스마트폰 등에 장착되는 메모리 반도체다. XMC는 특히 ‘3D 낸드’로 불리는 차세대 플래시 메모리도 생산할 방침이다. D램은 개인용 컴퓨터(PC) 등에 주로 들어간다. 240억달러에 달하는 공사비는 중국 정부가 설립한 반도체 기금과 지방정부의 자금 등으로 충당한다. XMC는 허베이성 정부가 2006년 15억달러를 투자해 설립한 회사다. 지난해 미국 플래시 메모리업체 스팬션과 차세대 반도체 공동개발을 위한 파트너십도 맺었다. 칭화유니그룹도 300억달러(약 35조1000억원)를 반도체 생산에 투입할 예정이다. 칭화유니그룹은 지난해 7월 미국 반도체업체인 마이크론을, 10월에는 샌디스크를 인수하려다 미국 정부의 반대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중국 국영기업들의 투자는 지난해 삼성전자가 반도체에 14조7000억원, SK하이닉스가 6조원 정도를 투자한데 비하면 몇배의 규모다. 이같은 대대적 투자를 중국 정부가 뒷받침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