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29) F.막스 뮐러 '독일인의 사랑'

    짧고 단순하지만 아름답고 깊다《독일인의 사랑》은 비교언어 학자이자 철학자이며 동양학자인 프리드리히 막스 뮐러가 남긴 단 한 편의 소설이다. 1856년에 쓴 100페이지 남짓한 얇은 책에 어떤 내용을 담았길래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것일까? 풍부한 감수성과 시적인 문체로 감성을 촉촉하게 적시는가 하면 독일 신학과 철학, 동양학으로 이성을 일깨우기 때문인 듯하다. 단순한 스토리에 담긴 짧은 내용이 때로는 로맨틱하게, 때로는 심오하게 ‘사랑’을 그리고 논하면서 독자의 가슴을 두드린다.애초에 시인이나 음악가가 되길 원한 막스 뮐러는 분명 독일의 낭만파 서정시인인 아버지 빌헬름 뮐러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빌헬름 뮐러가 쓴 연작시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처녀’와 ‘겨울 나그네’는 슈베르트가 곡을 붙일 정도로 유명하다. 막스 뮐러는 ‘스피노자의 윤리학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언어학자의 길을 걸으며 그 분야의 많은 저서를 남겼다. 소설 속에 ‘스피노자의 소름 끼치게 완벽한 논증을 보면, 그 날카로운 사상가는 자신의 학설을 스스로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 꼼꼼한 증명에 매달리는 게 아닌지 의심하게 되거든’이라는 대목이 나오는데 자신의 학문적 경험이 작품에 다수 담겨 있다.막스 뮐러는 그리스어, 라틴어, 페르시아어, 산스크리트어 같은 쉽지 않은 언어를 익혔다. 고대 인도의 문화와 언어에도 깊은 관심을 둬 인도 우화집과 경전을 번역했으며 산스크리트어로 쓴 서정시를 독일어로 번역해 출간했다. 소설을 읽으면서 동서양을 넘나드는 막스 뮐러의 관심이 어느 부분에 녹아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을

  • 교양 기타

    (27) 영어 속담과 한국 속담

    지식(智識)과 지혜(智慧)는 같습니까 다릅니까? 다르다면 무엇이 어떻게 다른 걸까요? 지식은 본질적으로 객관적 정보(information)입니다. 지식은 사실에 기반하고 있으며 객관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지식은 실험(experience)을 거쳐 이론(theory)이 된 앎의 체계를 말합니다. ‘실험자가 바뀌더라도, 같은 행위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하면 그 결과는 변하지 않는 것’이 ‘이론’입니다. 지혜는 본질적으로 ‘생존전략’입니다. 원시시대 이후, 인류가 마주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개체적 차원에서 생존의 위협을 수시로 마주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지혜는 생존에 필요한 최적의 교훈을 담았습니다. 그래서 누구나 쉽게 공감합니다. 지식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롭다면, 지혜는 ‘바로 이 자리, 바로 이 순간’에 초점을 맞춥니다. 지식과 지혜가 서로 상충하는 경우는 그래서 나옵니다.속담은 지혜를 집대성한 것‘속담’은 지혜를 집대성한 대표적인 샘플입니다. 우리 속담과 영어 속담을 비교하면서, 각 문화권이 가지고 있는 비슷한 생각과 다른 비유를 비교해 보는 건 어떨까요?견물생심(見物生心)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물건을 보면 가지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는 뜻이지요. 이 말을 영어로는 Seeing is wanting이라고 합니다. 글자 그대로, ‘보는 것이 원하는 것이다’입니다. 위 문장에서 단어를 하나만 바꾸면 다른 속담이 됩니다. Seeing is believing,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즉 백문(百聞)이 불여일견(不如一見)이라는 말입니다. 다른 영어 표현으로는 One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가 있습니다. ‘그림 한 장이 천 마디 말보

  • 경제 기타

    삼성, 대대적 변신 나서다

    ◆  삼성, 또 한번의 인사혁신1993년 삼성은 이건희 회장의 신경영 선언과 함께 신인사 제도를 도입했다. 7·4제(아침 7시에 출근해 오후 4시 퇴근하는 제도)와 발탁인사제, 능력급제 확대 등이 이뤄졌고 이는 삼성 약진의 밑바탕이 됐다. 23년이 흐른 지금 삼성전자가 또 한 번의 인사 혁신에 나섰다. 직급을 줄여 인사에서 연공서열적 요소를 없애고, 호칭도 'OOO님'으로 바꿔 창의적 기업문화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6월28일 한국경제신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이끌고 있는 삼성 그룹에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과감하게 개편하고 있으며, 인사에서도 파격적인 제도를 도입했다. 삼성은 스마트폰이나 반도체 등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 세계 최강자 기업 중 하나다. 그런데도 왜 이처럼 변신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일까? ‘이재용식 경영’으로 불릴 만한 삼성의 새로운 경영철학과 방침에 대해 알아보자.잘하는 사업에만 집중한다최근 삼성의 변화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것은 ‘잘하는 사업에만 역량을 집중한다’는 것이다. 미국 GE를 이끌었던 전설적인 경영인 잭 웰치 전 회장의 “세계 넘버 1 또는 넘버 2가 아닌 사업은 접는다”는 철학과 맥락이 닿아 있다. ICT와 금융, 바이오 사업이 바로 삼성이 꼽고 있는 핵심 사업이다. ICT에선 반도체,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영상디스플레이, 디지털 가전 등 거의 전 분야에서 삼성이 글로벌 톱을 다투고 있다. IoT(사물인터넷), AI(인공지능), VR(가상현실), 스마트 홈, 스마트 헬스, 자동차용 전자기기(전장), 첨단 디스플레이, 전지,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핀테크 등 미래 산업에서는 확고한 세계 1등을 구축

  • 교양 기타

    (28) 파트리크 지스킨트 '좀머 씨 이야기'

    10대들이 만든 밀리언셀러‘10대들은 책을 읽지 않는다’는 것이 어른들의 단정이다. 10대들은 “학과 공부하기도 벅찬데 책 읽을 시간이 어디 있느냐”고 항의할지도 모르겠다. 교사들은 “예전보다 확실히 책을 덜 읽는다”고 우려하고 출판 전문가들은 “대학 입시에 독서 과목이 들어가면 책을 읽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그렇더라도 “열심히 책을 읽는 5%의 학생이 있다”고 하니 아쉬운 가운데서도 든든하다.밀리언셀러, 100만 부를 돌파하는 건 모든 작가와 출판 관계자들의 꿈이다. 《좀머 씨 이야기》는 출간 초기에는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10대가 구매하기 시작하면서 밀리언셀러에 오른 책이다. 딱 10년 전의 일이다.10대들은 왜 이 책을 사랑했을까. 여러 분석이 나왔는데 좀머 씨가 소설 속에서 외친 “그러니 나를 좀 제발 그냥 놔두시오!”라는 말이 그들의 심정을 대변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우세하다. 장 자크 상페의 아기자기한 그림도 한몫했을 것이다.《좀머 씨 이야기》는 독일 작가 파트리크 지스킨트가 1991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시나리오와 단편을 썼으나 별로 주목받지 못한 지스킨트는 《콘트라베이스》와 《향수》로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올랐다. 30여 개 언어로 번역되고 1500만 부 이상 판매된 《향수》는 영화로도 제작돼 큰 사랑을 받았다.많은 작가가 자신의 이름이 브랜드가 되길 희망한다. 이름만 듣고도 독자가 몰려들 정도로 유명해졌지만 지스킨트는 돌연 은둔자가 되었다. 실제 유명 작가 중 세상을 등지고 산 사람이 많다. 《앵무새 이야기》의 하퍼 리, 《호밀밭의 파수꾼》의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등 여러 작가가 커

  • 교양 기타

    (26)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1592~1598)은 당대의 동북아 정세를 바꾼 국제전입니다. 우리는 ‘일본이 조선을 일방적으로 기습했고, 명나라 지원군의 도움을 받아 조선이 일본을 한반도에서 몰아냈다. 이순신, 권율 등의 분전과 각 지역에서 거병(擧兵)한 의병들의 활약이 대단했다’고 배웁니다. 한반도에 상륙한 뒤 일본군이 한양에 입성하는 데 20일이 걸렸습니다. 부산에서 서울에 이르기까지 거의 아무런 군사적 충돌 없이 일방적으로 진격했다는 뜻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일본 기습설’을 논하는 근거 가운데 하나입니다. 기습이 아니라면 군사적 대비가 있었을 테고 조선군이 그렇게 속수무책으로 당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죠. 역사적 진실은 ‘조선의 대비가 놀랄 만큼 미흡했다’는 것입니다.‘일본이 침략한다, 안 한다’ 갈팡질팡1590년 통신사로 일본에 파견된 정사(正使) 황윤길이 도요토미 히데요시(德川家康)를 만나고 돌아와 ‘일본이 반드시 침략할 것’이라고 보고한 사실, 서인인 황윤길에 맞서 동인인 부사(副使) 김성일이 ‘일본은 침략하지 않는다’고 상반된 보고를 올린 사실은 유명한 얘기입니다. 의견이 갈리면 최악의 경우를 상정해서 대비하는 것이 제대로 된 나라의 대응법입니다. 조선은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믿고 싶지 않은 현실’을 외면한 것입니다. 일본의 침략을 오래전에 예측하고 율곡 이이가 주창했다는 ‘10만 양병설’도 역사적 근거가 튼실하지 않은 신화(神話)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율곡이 이런 주장을 했다는 기록이 없고 후대인의 문집에 ‘율곡이 이러이러한 얘기를 했다는 말을 스승으로부터 전해

  • 경제 기타

    지자체 살림격차 해소위해 지방재정 개편 추진

    ◆ 지방재정 개편 갈등‘부자 도시’의 세수를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나눠주겠다는 정부의 지방재정 개편방안을 놓고 성남과 수원 등 경기지역 6개 기초지자체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홍윤식 행정자치부 장관은 지난 20일 남경필 경기지사와 지방재정 개편방안을 논의했다. 남 지사는 수원 성남 고양 용인 화성 과천 등 경기 6개 불교부단체의 요구사항을 홍 장관에게 전달했다. -6월21일 한국경제신문☞ 시와 군 등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개편 방안을 둘러싸고 중앙정부와 일부 지차제 간 갈등이 거세다. 행정자치부의 지방재정 개편안에 대해 일부 지자체가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지방재정 개편 방안은 무엇이고 왜 개편하려는 것인지, 일부 지자체는 어떤 이유에서 반발하고 있고 이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지 알아보자.지자체의 수입원행자부는 지난 4월 지방재정 개편안을 발표했다. 행자부는 정부조직 관리, 지방행정과 재정·세제 등을 맡은 중앙정부 부처다. 지방재정 개편안은 시·군에 대한 △조정교부금 배분기준 개선 △불교부단체 조정교부금 우선배분 특례 폐지 △법인지방소득세 공동세 전환 등이 주요 내용이다. 기초지자체들이 필요한 사업을 하는 데 소요되는 자금의 조달원은 크게 △지방세 △중앙정부 교부금 △시·군 조정교부금 등 세 가지가 있다. 지방세는 도와 시·군이 걷는 세금이다. 도세에는 취득세, 등록면허세, 레저세, 지방소비세가 있다. 시·군세는 지방에 살고 있는 개인이나 기업에 부과하는 지방소득세,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 담배소비세 등이다. 교부금(交付金)은 말 그대로 나눠주는 돈이다. 지자체들이 받는 교부금에는 중앙

  • 교양 기타

    (27) 존 버니언 '천로역정'

    성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작품많은 작가들이 성경을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꼽는다. 자신의 종교와 상관없이 성경을 몇 번에 걸쳐 읽었다고 말하는 작가들이 많다. 성경은 구약과 신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약의 대부분은 이스라엘 역사이고 신약에는 예수님과 제자들의 활동과 가르침이 담겨있다. 오묘한 예언들이 구약과 신약을 마구 오가는 가운데 여전히 풀기 힘든 문구들이 많다. 그 결과 성경을 자의적으로, 혹은 악의적으로 해석해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이단과 사이비가 계속 출몰하는 중이다.작가들이 성경을 읽는 이유는 구약의 엄청난 스토리와 신약의 표현법, 그리고 묵시가 주는 인사이트 때문일 것이다. 문학뿐만 아니라 미술, 영화, 음악 등 예술 전반에 성경이 끼친 영향은 굳이 말하지 않아도 다 아는 사실이다.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전파된 지 100년이 좀 넘었을 뿐인데 일상화 된 기독교 용어가 수없이 많다. “새술은 새부대에 담아라, 13일의 금요일을 조심하라,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등등 많은 말들이 성경에 바탕을 두고 있다. ‘다윗과 골리앗, 에덴의 동쪽, 빛과 소금’ 등등 비유법으로 활용되는 기독교 용어도 셀 수 없을 지경이다.성경을 거론할 때 부록처럼 등장하는 책이 바로《천로역정》이다. 그간 여러 책이 ‘성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작품’이라고 자랑했지만 이 수식어의 진짜 주인은 《천로역정》이다. 1678년에 1부, 1684년에 2부가 출간되어 지금까지 100여 개국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300년이 넘도록 제2의 성경으로, 그리스도인의 지침서로, 세계적인 고전문학으로 사랑받고 있다.가난한 땜쟁이의 아들로 태어나다1628년 영국의 작은 마을에서 가난한

  • 교양 기타

    (25) 나폴레옹과 시민 법전

    여러분은 나폴레옹(1769년 8월15일~1821년 5월5일)을 어떻게 알고 계신가요? 나폴레옹은 1815년 워털루 전투에서 마지막으로 패전하고 세인트헬레나 섬에 유배됩니다. 1840년이 지나서야 그의 유해는 프랑스로 돌아와도 좋다는 허락을 받습니다. 프랑스 파리 앵발리드에 그의 무덤이 있습니다. 후세인들의 존경이 담긴 웅장한 곳입니다. 수많은 전쟁을 벌여 승승장구했으나 1805년 트라팔가 해전에서 넬슨의 영국 해군에 패하고(런던 중심가 트라팔가 스퀘어의 사자상과 전투 장면을 새긴 부조는 프랑스 해군의 대포를 녹여서 제작한 것입니다) 1812년 러시아 원정의 패전으로 엘바섬에 유배되고, 엘바섬 탈출 후 권력을 다시 잡지만 워털루 패전으로 모든 것을 잃은 이 인물에게 왜 프랑스는 존경과 찬사를 보내는 것일까요?프랑스의 자랑그의 출생지는 코르시카 섬입니다. 1768년까지 제노아 공국이 프랑스에 섬을 매각하면서 프랑스 영토가 되었습니다. 어린 아기였을 때 그의 이름은 그래서 이탈리아 식인 나폴레오네 부오나파르테, 프랑스 식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두 가지였습니다. 나폴레옹은 1779년 아버지를 따라 프랑스 본토로 건너갑니다. 1784년 파리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고 이듬해 만 16세의 나이에 포병 장교로 임관합니다. 평균 수명이 높지 않았던 당시로서는 10대 임관이 드문 일이 아니었습니다. 사실은 인류역사 상 현대 이전의 수많은 전쟁에 참전한 병사들의 평균 연령은 추정컨대 10대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미국의 부두 노동자 철학자 에릭 호퍼는 그래서 인류 역사를 ‘비행청소년들이 만들어간 역사’라고 정의하기도 했지요.탁월한 지휘관나폴레옹은 탁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