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생글이 통신
책·신문 꾸준히 읽으며 지문읽기·면접 대응해야
새 학기 대비 입시 준비 팁(2) # 책과 신문을 읽어요생활기록부에 독후 활동을 넣을 수 없게 돼 독서를 등한시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두 가지 측면에서 독서를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첫 번째는 국어영역 비문학에 도움이 됩니다. 비문학에선 여러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어떤 주제가 시험에 등장할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취약한 분야가 없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책이나 신문으로 다양한 내용을 접하면서 배경지식, 소위 ‘스키마’를 쌓아가면 시험장에서 당황할 확률이 줄어들게 됩니다. 문해력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두 번째는 면접 대비에 도움이 됩니다. 면접은 벼락치기로 준비할 수 없습니다. 자기 생각을 표현해야 하기 때문이죠. 평소 책이나 신문을 읽은 뒤 생각을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는 것이 많을수록 면접장에서 받는 질문에 답할 내용도 많아지므로 신문을 통해 각종 시사 이슈를 자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참고로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내용을 채울 때도 해당 과목과 관련된 이슈를 다루는 책이나 신문을 읽고 그와 관련된 활동을 한다면 보다 풍부한 세특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 고르게, 반복하며 공부하기입시 공부를 할 때 절대적으로 지켜야 할 두 가지 원칙을 꼽는다면 하나는 공부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전 과목을 매일 고르게, 빼놓지 않고 공부하는 것입니다. 모르는 것을 발견해가며, 아는 영역을 확장해나가는 것이 공부의 목적이기 때문에 모르는 부분에만 집중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는 내용을 유지 및 보수하는 모르는 부분을 보충하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질문의 6가지 핵심유형 익혀두면 풀어내기 쉬워
지난 시간까지 2024학년도 인문논술의 전형 윤곽을 살펴봤습니다. 오늘부터는 기본유형 다지기를 시작합니다. 인문논술의 물음 핵심 유형을 깊이있게 공부해둬야 여러 대학의 다양한 문제를 만나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제대로 풀 수 있습니다. 인문논술에는 어떤 유형이 있을까요? 대표적인 유형은 왼쪽 표와 같이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왼쪽 표는 논술의 6대 유형을 정리한 것입니다. 자료를 해석하는 것이나 문학작품의 함의를 이끌어내는 것 또한 사고 유형에선 첫 번째의 설명형에 포함됩니다. 모든 대학의 기출문제를 전부 몇 차례씩 다룰 순 없는 상황에서는 자주 나오는 핵심 유형을 반복적으로 익히는 게 효과적입니다. 여건이 안 돼 논술 공부를 혼자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그래서 너무 막막하다면, 걱정은 잠시 내려두세요. 생글생글을 활용할 수도 있고, 각 대학 입학처에 들어가면 논술 자료들이 공개돼 있으니 예시 답안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볼 수도 있습니다. 꾸준히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첫 번째 핵심 유형은 ‘설명형’입니다. 이와 같은 연습은 논술고사 준비생뿐 아니라 제시문면접형의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인문계열 면접고사 준비생에게도 중요한 준비가 될 수 있으니 같이 해보세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문제를 읽고 답변을 준비한 뒤 해설과 비교해보세요.[문제]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나>의 자료를 설명해 보시오.<가> 공자(孔子)는 자신이 바라는 바를 미루어 다른 이를 대하는 원리에 기초한 인(仁)의 사상을 제시하였다. 그는, 엄격한 법치는 백성들 사이에 정해진 죄만 짓지 않으면 된다는 식의 기회주의적 속성을 조장할 뿐, 진정으로 부끄러워하는 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랍인명 부르기…'빈라덴'에서 '빈살만'까지
세계 최고 부호로 알려진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사진)가 지난해 11월 한국을 다녀갔다. ‘미스터 에브리싱(Mr. Everything)’이라 불리는 그는 한국 재계와도 인연이 깊다. 지난 방한에서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평소 알고 지내던 한국의 대표적 기업인들을 만나면서 관련 기사를 쏟아냈다. 무함마드 빈살만…살만의 아들 무함마드주목할 것은 한국 언론에서 그의 이름을 두 가지로 부른다는 점이다. 대부분 ‘빈살만 왕세자’라 칭하지만 간혹 ‘무함마드 왕세자’라고 하는 곳도 있다. 한국에서 그의 이름 표기는 그가 겪은 역사적 사건과 깊은 관련이 있다. 동시에 우리 외래어 표기 정신의 특수한 측면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들여다볼 만하다.그동안 살펴본 몽골과 베트남, 미얀마인명도 쉽지 않았지만 아랍인명은 이름을 구별해내는 게 유난히 까다롭다. 이들 역시 성(姓)과 이름(名)이 잘 구분되지 않는다. 성이 있는 사람도 있고 없는 사람도 있다. 일단 ‘빈’을 중심으로 가르는 게 요령이다. 이슬람에서 빈(bin)은 ‘~의 아들(son of)’이라는 뜻이다. 크게 봐서 ‘빈’ 앞에 오는 게 개인명, ‘빈’ 뒤에 오는 게 아버지 이름(집안명)이다. 가령 사우디의 현 국왕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를 보자. ‘알’은 영어의 정관사 the 같은 것으로, 부계 씨족 앞에 놓이는 말이다. 이름을 풀면 ‘사우드 가문의 압둘아지즈의 아들 살만’인 셈이다. 그러니 그를 나타낼 때 ‘살만 국왕’이라고 부르면 된다.아랍인명 적기가 꼬인 건 기억에도 새로운 &lsquo
-
대학 생글이 통신
멘탈 무너질 땐 충분히 아파한 후 다시 달리세요
학생들에게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멘탈 관리’에 관한 것입니다. 특히 고등학교 3학년생에게는 정말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수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몇 년을 긴장 상태로 공부해야 하고, 시험 하나, 활동 하나가 크게 다가오기 때문에 기분이 오르락내리락하기 쉽습니다. 특히 성적에 일희일비하게 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합니다. 그러나 입시는 긴 시간의 레이스이기 때문에 결과에 희비를 느끼면 결국 지치고 상처를 입게 됩니다.중학생 때는 고등학교 입시, 고등학생 때는 대학교 입시를 준비하며 제게 가장 힘이 된 명언은 ‘이 또한 지나가리’입니다. 이 명언은 ‘좋은 일이든, 안 좋은 일이든 겸허히 받아들일 수 있는 글귀’를 고민한 끝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저도 명언 자체는 알고 있었지만 그 의미는 정확히 알지 못했는데, 이를 알고 나니 마음에 더 와닿았습니다.‘이 또한 지나가리’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모든 일은 지나가기 마련이라는 것입니다. 시험에서 1등급을 받든 9등급을 받든 그 다음이 몇 등급이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고, 그 시험이 수능이 아닌 이상 레이스는 남아 있습니다. 중요한 시험 하나를 망쳤다고 해서 그대로 머무르면 자신을 갉아먹게 됩니다. 어떤 기회가 남았는지, 어떻게 노력해야 또 다른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이성적으로 생각하세요. 이 레이스를 이끌어가는 사람은 가족도, 친구도, 학원 선생님도, 학교 선생님도 아니라 자기 자신이기 때문입니다.한 가지 더 말해주고 싶은 것은, 정말 힘든 일이 있었다면 충분히 슬퍼하라는 것입니다. 누구에게든, 조금이라도 심정을 털어놓고 울고 싶은 만큼 울고 화내고 싶은 만큼
-
대입 전략
45개 대학 1만1167명 선발…39곳 수도권 대학 45개 대학 중 28개 대학이 수능최저 조건 요구
내신 성적이 낮은 수험생은 수시에서 논술전형을 노려볼 만하다. 내신의 영향력이 적은 편이라 내신 4~5등급대 학생도 논술 실력만 뒷받침된다면 충분히 도전해볼 만하다. 그러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곳이 많다. 논술전형은 논술과 수능으로 승부를 본다고 할 수 있다. 2024학년도 논술전형의 선발 규모 및 특징을 분석해본다.올해 수시모집에서 논술전형은 전형계획안 기준으로 45개 대학에서 총 1만1167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논술 시행 45개 대학 중 39곳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주요 21개 대학 중 서울대, 고려대, 국민대 세 곳을 제외하고 18개 대학에서 논술전형으로 5340명을 선발한다. 주요 21개 대학을 제외하고 권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권은 10개 대학에서 1329명을, 수도권(경기·인천)은 11개 대학에서 2751명을, 지방권은 6개 대학에서 1747명을 예정하고 있다. 지방권이라고 해도 부산대, 경북대, 고려대(세종), 연세대(미래), 홍익대(세종), 한국기술교육대 등 수험생의 관심이 쏠리는 대학이어서 지원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대학별로 살펴보면 주요 21개 대학 내에선 인하대가 459명으로 선발 인원이 가장 많다. 이어 건국대(434명), 중앙대(426명), 홍익대(393명), 성균관대(382명), 연세대(346명) 순으로 선발 규모가 크다.서울권 대학 중에는 서울과학기술대가 189명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광운대(184명), 동덕여대(179명), 서경대(179명), 성신여대(172명) 순으로 모집 인원이 많다. 수도권은 가천대(글로벌, 789명), 수원대(450명), 한국공학대(295명), 경희대(국제, 229명) 순으로 선발 규모가 크고, 지방권은 경북대가 469명으로 예정 인원이 가장 많다. 한양대(에리카), 울산대(의예과)는 논
-
영어 이야기
strings attached는 조건이 붙은 상태를 의미
The U.S. Chips Act is dangling billions of dollars in subsidies in front of the world’s biggest semiconductor manufacturers, but South Korea says there are too many strings attached.The conditions for receiving the subsidies unveiled last week are putting two of South Korea’s biggest chip makersSamsung Electronics Co. and SK Hynix Inc.a difficult position as they decide whether to apply for the federal funding, government officials and industry analysts said.South Korea’s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described the requirements under the $53 billion chip subsidy program as vast and unconventional. Asking firms to submit information about their management and technology could expose them to business risks, the official, Lee Chang-yang, said Monday.미국의 반도체 지원법은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제조회사들 앞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을 내걸어놓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보조금을 받기 위한 조건들이 과하다고 지적한다.보조금 지원 조건이 지난주 공개되자 한국의 양대 반도체 제조회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의 연방기금을 신청할지 여부를 놓고 고민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에 처했다고 정부 관계자와 산업계 전문가들이 말했다.한국의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총 530억달러에 달하는 보조금 신청 조건이 통상적인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광범위하다고 지적했다. 신청 기업에 회사 경영과 기술 정보를 요구하는 것은 기업을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고 이 장관은 말했다. 해설오늘 살펴볼 표현은 예문 첫 문장에 나오는 strings attached입니다. 단어 뜻 그대로 보면 끈(strings)이 붙어 있다(attached)는 것이지요. string에는 series(연속되는 것)라는 뜻이 있습니다. 줄줄이 이어지는 것입니다. He told the committee a string of lies(그는 위원회에서 연달아
-
대학 생글이 통신
3월 모의고사 이후 8개월이 진짜 실력 판가름
3월 모의고사는 고등학교 3학년 진급 이후 처음으로 치르는 전국단위 시험입니다. 수험생들은 “3모가 곧 수능 성적이라는 게 진짜예요?” “3모에서 이런 성적이 나왔으니 저는 수시보다 정시가 유리하겠죠?” 등 3모에 남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많은 학생이 3모에서 자기 실력이 철저히 검증됐다고 믿고, 그 성적이 수능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지레짐작합니다. 3모를 잘 본 학생은 스스로를 과신하고, 망친 학생은 주눅이 들어 수능 공부를 놓아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하죠.정말 3모가 미래의 수능 성적을 가늠케 하는 막강한 지표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3모는 수능과 거리가 먼 모의고사입니다. 왜 그럴까요.첫째로는 ‘시간적 거리’를 꼽을 수 있습니다. 3모 이후 수능까지는 대략 8개월이라는 시간이 주어지는데, 수능 공부에서 8개월은 천지가 개벽하고도 남을 정도로 긴 시간입니다. 현행 수능 기조는 시험 범위를 축소해 암기량을 줄이고 문제의 난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 개념조차 잡히지 않은 이른바 ‘노베이스’ 학생일지라도 8개월이면 수능 전 범위 개념을 훑어볼 수 있습니다. 기본 개념을 이미 잡았다면 고난도 문제, 이른바 ‘킬러 문항’에 대비해야 하는데, 킬러 대비의 핵심은 최대한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풀어보는 것입니다. 최소한의 정보력만 뒷받침된다면 8개월은 거의 모든 유형의 문제를 접해볼 수 있을 만큼 넉넉한 시간입니다.‘응시표본의 차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교육청이 주관하는 3모는 평가원 주관인 수능과 달리 졸업생(n수생)이 응시하지 않는 시험입니다. n수
-
대입 전략
국어·수학 선택과목별 백분위·표준점수 분석 중요…통합수능 문과생 미적분·기하 선택 5.2 → 7.1%로 늘어
고등학교 3학년 대상 3월 모의고사는 재학 중 통합수능 방식으로는 처음 치러보는 시험이다. 고3 들어 본인의 전국 위치를 점검해볼 수 있는 시험이며, 연간 학습 전략을 결정지을 중요한 시험이다. 3월 모의고사의 의미를 짚어보고, 시험 직후 분석 포인트 및 수능 학습 전략을 소개한다.통합수능이 바꾼 대입지형…서울대 이과생 교차지원 급증통합수능 2년차인 지난해 대입에서 이과생 강세는 더 뚜렷해졌다. 수학 1등급 내 이과생(미적분 또는 기하 응시) 비중은 2023학년도 수능에서 88.9%로 통합수능 1년차 2022학년도 수능의 85.3%와 비교해 더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수학 1등급 열에 아홉은 이과생이었다는 것이다. 국어도 이과생 강세가 여전했다. 국어 1등급 내 ‘언어와 매체’ 비중이 65.0%에서 72.1%로 크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언어와 매체’는 이과생 비중이 높은 과목이다. 2023학년도 수능에서 문과생 중 ‘언어와 매체’를 응시한 비중은 27.0%에 그쳤지만, 이과생의 경우 44.4%가 ‘언어와 매체’를 선택했다.통합수능에서 이과생 강세는 대입 지형을 바꿨다. 이과생들이 수학, 국어에서의 강세를 앞세워 인문계 학과로 대거 교차지원했다. 서울대 정시 인문계 학과 합격생 중 이과생 비중은 2022학년도 44.3%에서 2023학년도 51.6%로 7.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인문계 학과 합격생의 절반 이상이 문과생이 아니라 이과생이라는 것이다.문과생 미적분 응시 증가 추세, 선택과목 강약 분석 중요고교 2학년까지는 모의고사에서 국어, 수학은 공통과목만 시험을 치렀다. 이번에 처음으로 국어, 수학 선택과목을 지정해 응시한다. 국어, 수학에서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