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 이야기
실속이나 가성비를 추구할 땐 'bang for the buck'
South Korea’s homegrown fast-fashion brands are expected to continue making big strides at home as cost-conscious consumers shifted toward more bang for the buck.According to Shinsung Tongsang, sales of the company’s budget-friendly fashion brand Topten jumped 15% on-year to 900 billion won last year and are estimated to have grown nearly 10%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from a year ago. “At the current pace, its sales are expected to surpass 1 trillion won this year,” said a Shinsung Tongsang official.Other Korean fast-fashion brands Spao run by E-Land Group and 8Seconds under Samsung C&T Corp. also saw rising domestic sales last year.However, Japanese fast-fashion brand Uniqlo saw its sales drop in Korea last year. Brisk sales of the local fast-fashion brands were driven largely by the growing number of thrifty consumers seeking value for money amid high inflation, said market analysts.비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가성비 높은 제품으로 눈을 돌림에 따라 한국 패스트패션 회사들은 국내에서 큰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신성통상에 따르면 자사의 중저가 패션 브랜드 탑텐의 작년 매출은 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이상 늘었고, 올해 1분기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신성통상 관계자는 “지금 추세라면 올해 사상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랜드 그룹이 운영하는 스파오와 삼성물산의 에잇세컨즈 등 다른 한국 패스트패션 회사들의 국내 매출도 작년에 증가했다. 반면 작년 유니클로 한국 매출은 줄어들었다.국내 패스트패션 회사의 매출 증가는 고물가 시대에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증가에 힘입은 것이라고 시장 분석가들은 말했다. 해설패스트패션(fast fashion)은 유행에 따라 발빠르게 저렴한 가격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愚夫愚婦 (우부우부)
▶한자풀이愚: 어리석을 우 夫: 남편 부 愚 : 어리석을 우 婦: 아내 부어리석은 남편과 어리석은 아내평범한 남녀나 백성을 이르는 말 - <서경> <서경>은 고대 중국의 요순(堯舜) 임금 시절부터 하(夏)나라, 은(殷)나라, 주(周)나라에 이르기까지 각 제왕의 정치와 관련한 글을 모은 것이다. <서경> 오자지가(五子之歌)는 ‘다섯 형제의 노래’라는 글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순임금에게 천하를 물려받은 우(禹)임금이 하나라를 세웠는데, 그 아들인 계(啓)가 왕위를 계승하고 그다음으로 계의 아들인 태강(太康)이 군주가 되었다. 그러나 태강은 유람과 사냥을 즐기며 백성과 나라를 돌보지 않았다. 어느 날 낙수(洛水) 남쪽으로 사냥을 나간 태강은 백성을 살피지 않는 군주를 달갑게 여기지 않은 제후국 유궁(有窮)의 후예(后)에게 쫓겨 돌아오지 못하게 되었다. 낙수 북쪽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던 다섯 아우와 모친은 원망의 마음으로 하나라 왕조의 시조인 우임금의 훈계 내용을 담은 노래를 불렀다.“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본이 튼튼해야 나라가 편안하다. 내가 천하의 백성을 둘러보건대, 아무리 어리석은 남자, 어리석은 여자라 하더라도 한 사람이 나를 이길 수 있느니라(予視天下 愚夫愚婦 一能勝予). 임금 한 사람이 여러 번 인심을 잃었으니, 백성들의 원망을 어찌 꼭 밝게 드러내야 알겠는가. 원망이 드러나기 전에 미리 조처해야지.”우임금의 훈계를 빌려 자신의 향락에만 빠져 백성을 돌보지 않은 태강의 잘못을 지적한 것이다. 군주의 위치에 있으면서 덕행을 베풀지 않고 백성 한 사람 한 사람을 귀하게 여기지 않아 나라 전체를 위기에 빠뜨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사전에서 사라진 '-ㅁ직하-'를 찾아서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는 것만으로도 그 파장이 크기 때문에 ‘절세 플랜’을 미리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세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금융소득 발생 시점을 분산하는 것도 고려해봄 직하다.” 금융투자소득세 시행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절세’가 개인투자자 사이에 화두로 떠올랐다. 이를 전한 두 기사 문장의 서술어를 주목할 만하다. ‘바람직하다’와 ‘고려해봄 직하다’. 두 말은 형태가 비슷하지만 의미와 통사 용법은 전혀 다르다. 표현의 미세한 차이가 문법성을 가르기 때문에 정통 한국어를 구사하기 위해 꼭 알아둬야 할 대목이다.‘-ㅁ/음 직하다’는 가능성을 나타내‘바람직하다’와 ‘고려해봄 직하다’에는 공통적으로 ‘-ㅁ직하다’가 들어 있다. 그런데 앞에서는 붙여 썼고 뒤에서는 띄어 썼다. 이 차이가 문법이고, 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두 말은 학계에서도 오랫동안 ‘-(으)ㅁ직’의 정체를 놓고 그 성격이 무엇인지 ‘-(으)ㅁ직’과 ‘하다’를 붙여야 할지, 띄어야 할지 등 많은 혼란이 있어왔다.그래서인지 지금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 ‘-ㅁ직하-’가 사라졌다. ‘사라졌다’는 의미는 원래 <표준국어대사전>이 1999년 종이 사전으로 처음 나올 때는 접미사 ‘-ㅁ직하-’가 표제어로 올라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ㅁ직하-’는 ‘그렇게 할 만한 가치가 있음’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로 풀이했다. <금성판 국어대사전>(1991년)에서도 같게 풀이했다. 이는 ‘바람직하다/믿음직하다/먹음직하다’
-
학습 길잡이 기타
도형 문제는 좌표 이용하면 쉽게 풀수 있어
“중학교 도형 문제는 보조선만 잘 그리면 된다.” 이런 말 들어본 적 있나요? 중학교에서 도형의 성질이 성립함을 보이거나 도형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때 보조선을 긋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이 이 보조선을 못 그어서 도형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등학교에서는 도형을 좌표평면 위로 옮기는 것을 배우는데, 이렇게 하면 도형의 성질이 쉽게 확인되거나 도형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다음 도형의 성질을 ‘파포스의 정리’라고 합니다.이 파포스의 정리를 서로 다른 두 가지 방법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첫 번째는 삼각형 ABC의 꼭짓점 A에서 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 H를 찾아 선분 AH를 긋고, 두 직각삼각형 ABH, AH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해 ①이 성립함을 설명하는 방법입니다.이 방법은 중학교 때 배운 피타고라스 정리만 활용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적절한 보조선을 생각하기 힘들고 식을 정리하기에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여기서는 선분 AM의 길이를 구해야 하는데, 선분 AM은 비스듬합니다. 비스듬한 선분의 길이를 구할 때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하기 위해 직각삼각형을 만들려고 보조선인 선분 AH를 그었습니다. 그런데 이 보조선인 선분 AH를 긋는 것이 학생들에겐 상당히 어렵습니다.두 번째는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아 각 꼭짓점의 좌표를 정하고, 세 변의 길이를 구하여 ①이 성립함을 설명하는 방법입니다.이 방법은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놓아 각 꼭짓점의 좌표를 정하고, 좌표평면 위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해 대수적으로 설명한 것인데, 이렇게 풀면 아주 쉽게 풀립니다.여기서 삼각형 ABC를 좌표평면 위에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올해 논술선발 1007명…내년에는 의예과도 40명 예정
가천대는 올해 수시모집에서 논술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며, 내년에는 의예과에서 논술로만 40명을 선발할 예정이어서 관심을 가져볼 만한 대학이다. 가천대는 올해부터 논술 100%로 선발하며, 수능 최저도 일부 상위학과를 제외하면 1개 3등급을 충족하면 되므로 내신과 수능 성적이 불리하더라도 큰 부담 없이 도전해볼 수 있다. 시험 유형은 국어와 수학을 모두 치르며 수학 문항의 변별력이 큰 만큼 수학 학습에 보다 큰 비중을 두어야 한다. 문항은 대체로 수학 3~4등급대의 학생들이 어려움 없이 풀 수 있는 평이한 난이도로 출제되나 확실한 킬러 문항이 1~2문항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 여부가 상위 학과에서는 당락을 결정하게 된다(가천대 관련 이전 기사는 생글생글 731호, 777호 참고). ▶가천대학교 수리논술 대비전략 주요 포인트◀1. 순환진도학습에 의한 가천대 논술 합격전략- 수학 4-5 등급대 학생은 연습량이 부족할 뿐 이해도는 2-3 등급대 학생과 큰 차이 없어- 순환진도에 의한 반복의 힘으로 갭을 메꿔야 가천대 합격 가능2. 시기별 약술형 수리논술 대비전략 세워야- 5~7월 : 단원별 약술형 논술 기초 및 핵심개념 완성- 8월~9월 : 약술형 논술 심화문항 집중대비 (킬러문항 대비)- 10~11월 : 실제 구성과 동일한 모의고사로 실전력 극대화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吮癰舐痔 (연옹지치)
▶한자풀이吮: 빨 연癰: 종기 옹舐: 핥을 지痔: 치질 치고름을 입으로 빨고 항문을 혀로 핥다역겨운 일을 하면서까지 아첨함을 비유 -<장자>송(宋)나라 조상(曹商)이란 자가 왕명을 받아 진(秦)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떠날 적에는 송나라 왕에게서 몇 대의 수레를 얻었을 뿐이었는데, 진나라 왕이 그를 좋아하여 수레 100대를 하사했다. 귀국 후 조상은 장자(莊子)를 만나 자랑스레 말했다.“가난한 시골 마을의 비좁고 지저분한 뒷골목에서 살면서 짚신을 삼아 겨우 입에 풀칠하고, 비쩍 마른 목에 누렇게 뜬 얼굴을 하고 사는 것은 내가 잘하지 못하는 일이네. 그러나 한 번 만승 대국의 군주를 깨닫게 해서 나를 따르는 수레가 100대나 되게 하는 것은 내가 잘하는 일이라네.” 조상의 말을 들은 장자가 나무라듯 말했다. “진나라 왕이 병이 나서 의사를 부를 때 종기를 터뜨리고 부스럼을 없애주는 자는 수레 한 대를 얻고, 치질을 핥아서 치료해준 자는 수레 다섯 대를 얻는다고 하더군. 치료해준 부위가 밑으로 내려갈수록 수레를 더 많이 얻은 것이니, 그래 그대는 진나라 왕의 치질을 치료해주었단 말인가? 얼마나 했으면 수레를 그렇게 많이 얻었단 말인가? 그만하고 물러가시게!”<장자> 열어구에 나오는 이야기다.연옹지치(癰痔)는 ‘고름을 입으로 빨고 항문을 혀로 핥다’는 뜻으로, 더럽고 역겨운 일을 하면서까지 아첨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같은 고사에서 유래한 지치득거(痔得車) 또한 ‘왕의 치질을 핥아주고 수레를 얻는다’는 말로, 연옹지치와 의미가 같다. 상대방의 종기를 빨아준다는 뜻의 사자성어로는 연저지인(疽之仁)도 있다. 오
-
영어 이야기
협력하다, 힘을 합치다 'join forces'
Hyundai Motor Group agreed to join forces with SK Enmove to develop next-generation vehicle refrigerants, which are used in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heat pumps of cars.Under their agreement, SK Enmove will lea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refrigerants to enhance heating performance by more than 30%, compared to the existing models.Hyundai Motor will focus on developing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s fitting with SK Emove’s new refrigerants to improve electric vehicles’ (EVs) mileage in winter.Unli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EVs do not generate engine waste heat that warms the interior of cars, so they need to use refrigerants for both cooling and heating.SK Enmove produces EV lubricants and immersion cooling fluid funneled into pump system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The two companies will cooperate to develop technologies to recover and recycle waste refrigerants.현대자동차그룹은 자동차 공조 장치, 히트펌프 등에 사용하는 차세대 차량용 냉매를 개발하기 위해 SK엔무브와 함께 협력하기로 했다.협약에 따라 SK엔무브는 기존 냉매 대비 난방 성능을 30% 이상 개선하는 첨단 차량용 냉매 개발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전기차의 겨울철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SK엔무브가 개발한 신규 냉매에 맞는 차량 열관리 시스템 개발에 집중한다.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차내 난방에 활용할 엔진 폐열을 발생시키지 않아 냉난방 겸용 냉매가 필요하다.SK엔무브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한 펌프 시스템에 유입되는 전기차 윤활유와 침지 냉각액을 생산한다. 두 회사는 폐냉매 회수와·재활용 기술 개발에도 협력한다.해설엔진을 사용하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배터리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기차는 주행 중 냉난방에 사용할 만큼의 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별도의 냉매가 필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영수회담'이 일깨운 우리말 몇 가지
지난달 29일 윤석열 정부 들어 첫 영수회담이 열렸다. 영수회담의 어근이라 할 수 있는 ‘영수’는 흔히 쓰는 일상의 말은 아니다. 그런 만큼 우리말 관련해서도 많은 얘깃거리를 쏟아냈다. ‘영수(領袖)’의 사전적 풀이는 “여러 사람 가운데 우두머리”다(<표준국어대사전>). <연세 한국어사전>은 좀 더 구체적으로 풀었다. “정당이나 큰 집단의 우두머리”가 그 의미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은 여기에 ”옷깃과 소매”라는 또 하나의 풀이를 더했다. 이 풀이를 주목해야 한다. 영수가 ‘우두머리’란 의미를 지니게 된 배경이 여기에 있기 때문이다.대통령과 영부인, ‘령’ 자 서로 달라<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은 ‘영수회담’을 “한 나라에서 여당과 야당 총재 간의 회담”으로 풀었다. 하지만 이는 현실 어법과 좀 다르다. 우리는 지금 영수회담을 ‘대통령과 제1 야당 대표 간의 회담’으로 쓰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예전에 대통령이 여당 총재를 겸하던 시절엔 영수회담이 대통령과 제1 야당 대표의 만남을 가리키는 말로 적합했다. 지금은 대통령은 당무에서 분리돼 여당 대표가 따로 있기 때문에 이런 풀이가 적절한지 논란이 있다. 반면에 대통령이 실질적으로 당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영수회담이 맞다는 주장도 있다.영수는 ‘옷깃 령(領)+소매 수(袖)’의 결합으로 이뤄졌다. 이 말이 어떻게 우두머리란 뜻을 나타내게 됐을까? 우선 ‘령(領)’은 ‘우두머리 령(令)+머리 혈(頁)’이 합쳐진 글자로, ‘다스리다, 거느리다’란 뜻으로 흔히 알려져 있다. 원래는 머리와 맞닿은 목 부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