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진로 길잡이 기타

    ⑨ 동국대학교

    남산 안의 아름다운 캠퍼스…서정주·황석영 배출 생글이들 만나서 반가워. 우리는 동국대 홍보대사 ‘동감(同感)’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육학과 2학년 김유나, 교육학과 3학년 안보겸, 경영학부 1학년 류다영이라고 해. 요즘 날씨가 많이 춥지만 미모의 선배들과 함께라면 신나게 캠퍼스를 둘러볼 수 있지 않을까? 목도리를 두르고 동국대로 함께 떠나보자.먼저 동국대 위치를 알아볼까. 서울 지도를 펼쳐놓고 손가락으로 중심을 찍어봐. 서울의 중심 남산. 바로 밑에 동국대 서울캠퍼스가 있어. 명동도 걸어서 10분. 동대문도 버스 한 정거장. 신촌이든 강남이든 20분 내로 갈 수 있지. 한마디로 사통팔달의 요지. 동국인들 모두가 학교 위치 하나는 최고라고 자부하고 있어. 공강 시간에 명동에 나가서 쇼핑하고 커피 한잔 마실 수 있는 건 기본. 시험 기간에 머리가 복잡하면 바로 뒤 남산에 가서 서울 야경을 감상할 수도 있지. 단풍이 고운 가을이면 교수님과 함께 남산으로 소풍을 가기도 해. 다시 말해 남산은 우리 뒷산! 명동은 우리 앞마당! #쉽고 재미있는 불교 수업 동국대 하면 불교를 빼놓고 얘기할 수 없지. 동국대는 1906년 5월 불교계에서 동대문 밖 원흥사(元興寺)에 세운 명진학교가 전신이야. 그러다보니 학교 안에 사찰도 있고 불교학과 불교미술학과 등 관련학과도 있어. 1학년들은 의무적으로 필수교양 과목 ‘자아와 명상’을 들어야 하는데 생각보다 인기가 꽤 높아. 스님과 얘기를 나누면서 마음을 편안하게 만드는 법을 배우기도 하고, 유명한 사람들이 와서 명상을 통해 어떻게 위기를 극복했는지 강연을 할 때도 있어. 재미있는 건 인기가 많은 스님의 수업은 경쟁률도 치열하다는 거지. 학

  • 진로 길잡이 기타

    (8) 한양대학교

    한양대의 슬로건은 ‘The Engine of Korea’다. 1939년 문을 연 한양대의 성장 과정은 한국의 근대화·산업화와 일치한다. 임덕호 총장은 “경부고속도로와 서울지하철, 울산·포항의 중공업 단지, 중동과 동남아시아의 해외 건설 현장에서 한양대 공대 출신들이 맹활약했다”며 “대한민국의 성장엔진 역할을 해왔다는 게 한양대의 역사이자 자부심”이라고 말했다.그동안 한양대는 전임교원 1335명, 학생 수 2만5080명의 종합대학으로 성장했다. 배출한 졸업생 수만 25만6240명에 달한다. 외국인 유학생 2225명, 해외 파견 학생 1931명에 49개국 391개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하는 글로벌 대학으로 컸다.# 상위 1% 신입생 유치한양대는 우수한 신입생을 유치하기 위해 2009년부터 ‘다이아몬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등록금 면제, 어학연수 등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한양대의 주력 학과인 소프트웨어학과 융합전자공학부 미래자동차공학과 에너지공학과 정책학과 파이낸스경영학과에서 운영한다. 삼성전자와 함께 신설한 소프트웨어학과는 4년간 전액 장학금을 지원한다. 하드웨어 개발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정보기술(IT) 산업의 흐름을 반영했다. 재학 중 교수, 연구진과 함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졸업 후에는 전원 삼성전자 취업을 보장받는다.융합전자공학부는 미래 산업을 리드할 공학기술·학문 간의 융합을 화두로 만들어졌다. 현재 그린IT, 자동차IT, 인체공학, 휴대융합,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5개 핵심 전공 트랙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하이닉스 등 대기업들이 전액 장학금과 졸업 후 전원 취업 보장

  • 진로 길잡이 기타

    (7) 숙명여자대학교

    '블루리본'으로 부드럽게… ROTC로 강하게 숙명여대 교정에는 11월부터 눈이 내린다. 매년 이맘때 ‘눈송이 축제’가 열리면 캠퍼스 곳곳이 눈결정체 모양의 은백색 조명으로 빛난다. 숙명여대의 마크에도 눈송이가 들어 있다. 소리 없이 내리는 눈송이처럼 조용한 아름다움·순수함 등을 기르라는 뜻이다.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의 캠퍼스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곳곳에서 숙명여대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정문을 헐고 물이 흐르는 작은 실개천을 만들어 캠퍼스 전체를 탁 트인 공간으로 만들었다. 건물마다 나부끼는 ‘블루리본’은 변화를 상징한다. # 블루리본 프로젝트 지난해 1월 숙명여대는 ‘숙명 블루리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블루리본은 학교의 교색인 청색(Blue)과 혁신을 통한 재탄생(Reborn)의 의미를 담고 있다. 대학개혁 추진과 성공의지를 청색리본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숙명여대는 블루리본 프로젝트에 따라 국제 교류프로그램을 강화했다. 이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것은 ‘숙명 글로벌 특화 프로그램(이하 SSAP).’ 글로벌 탐방단은 SSAP의 세부 프로그램 중 하나다. 글로벌 탐방단에 선발된 학생들에게는 탐방 지역별로 1인당 최고 160만원의 장학금이 지원된다. 매년 20팀 이상이 선발되고 있다. 현재 28개국 197개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숙명여대는 SSAP를 통해 모든 학생들이 재학 중 1학기 해외연수(교환학생·복수학위·해외인턴십)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올해 글로벌 탐방단으로 선정된 김슬기 씨(나노물리 2년)는 독일, 스위스의 대학 캠퍼스를 탐방할 계획이다. 김씨는 “유럽 대학들은 태양열과 지열을 이용해 친환경 캠퍼스를 구축했다”며 “이들의 성공사례를 조사해

  • 진로 길잡이 기타

    (6) 성균관대학교

    전통과 첨단의 조화 … 미래가 더 밝은 대학 서울 명륜동 성균관대에는 조선왕조 최고의 교육기관 ‘성균관’이 있다. 정문 오른쪽에서 돌계단을 올라 작은 문으로 들어서면 우뚝 선 두 그루의 은행나무가 시선을 붙든다. 수령이 600년이나 된 거목들이다. 이 나무 아래에서 율곡 이이가 글을 읽고 추사 김정희가 시를 읊었을 것이다. 맞은편의 명륜당에서는 유생들의 글 읽는 소리가 낭랑하게 들리는 듯하다. 성균관대는 이러한 성균관 600년의 전통을 잇는 대학으로 ‘전통과 첨단의 조화’를 기치로 삼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삼성재단의 힘 성균관대는 지금보다 미래가 더 기대되는 대학으로 꼽힌다. 성균관대는 1996년 삼성그룹이 재단으로 들어오면서 발전 속도가 더 빨라졌다. 재단전입금은 1년당 1000억원을 웃돌고 전임교원 수도 1100명을 넘어섰다. 특히 삼성의 재단 전입 이후 내세운 ‘비전 2010+’ 프로젝트는 학교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 2007년에는 국제화 비전 ‘Global Challenge SKKU’를 선포하고 국제화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현재 55개국 600여개 대학과 학술 교류협정을 체결했고 외국인 교원 80여명을 확보했다. 이 밖에도 성균관대는 BK21사업 선정률 100%로 종합률 1위, 구조개혁 선도대학 1위, 수도권 특성화 최우수대학 선정, 국가고객만족도(NCSI) 종합대 1위 등을 달성했다.글로벌경영학과와 글로벌경제학과는 성균관대의 이러한 눈부신 발전을 상징한다. 각각 2008년과 2009년에 설립됐지만 입시업체들이 분석한 합격선이 연세대, 고려대 주요 학과와 비슷하다. 교양·기초 교육과정은 하버드, 펜실베이니아 와튼스쿨 등 선진 대학을 벤치마킹했고 전공 교육과정은 켈리비즈

  • 진로 길잡이 기타

    (5) KAIST

    1학년부터 연구, 2학년은 강의...'천재들의 학교'KAIST는 ‘천재들의 학교’로 알려져 있다. KAIST를 소재로 한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정도로 대중의 관심이 높다. 올해로 개교 40주년을 맞은 KAIST는 우리나라 이·공계 교육에 혁명적인 변화를 불러일으켰고 과학기술 수준을 업그레이드시켜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KAIST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과학강국 건설’ 정책에 따라 1971년 2월 설립됐다. 전원 기숙사 제공, 학비 전액 면제와 국비 장학금 지급 등의 혜택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KAIST는 국내 과학기술의 산실로 수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지난 2월까지 학사 1만1341명과 석사 2만2796명,박사 8578명 등 모두 4만2715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국가 우주개발계획의 하나로 소형 과학 실험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를 개발해 2003년 우주로 쏘아 올렸으며, 현재 과학기술위성 3호를 개발 중이다. 2004년에는 국내 최초 휴머노이드 이족보행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했다.KAIST 학생들은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한다. 전교생이 24시간 함께 있다 보니 다른 대학생들과 캠퍼스 생활이 조금 다르다. 같은 학년이면 웬만큼 서로 얼굴을 다 알 정도로 가깝다. 현유나 씨(건설·화학공학과 2년)는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친구에게 물어보고 과제도 서로 도우면서 동기들과 가깝게 지낸다”고 했다. 덕분에 캠퍼스 커플도 많이 탄생한다고. 함께 있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동아리 활동도 더 적극적으로 한다. 탁구동아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선혁 씨(신소재공학과 2년)는 “캠퍼스 곳곳에 잔디 축구장 등 운동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영장, 당구장이 인기가 많다”고

  • 진로 길잡이 기타

    (4) 고려대학교

    막걸리 대신 와인 마시는 '안암골 호랑이' “와! 여기가 고대 맞아?”고려대를 처음 방문한 사람이나 오랜만에 모교를 찾은 졸업생들은 정문에 들어서자마자 눈이 휘둥그레진다. 정겹지만 다소 촌스러운 느낌도 있었던 예전 풍경과는 다르게 캠퍼스가 현대적이고 세련되게 변했기 때문이다. 고풍스러운 본관과 대학원 건물 등은 예전 그대로지만 경영관과 지하캠퍼스, 100주년 기념관 등 웅장한 건물들이 곳곳에 들어섰다. 캠퍼스를 거닐다보면 교복을 입은 고등학생은 물론 초등학생들도 자주 볼 수 있다. 이곳에서 만난 김수진 양(18)은 “목표로 하고 있는 고대 캠퍼스를 직접 보고 싶어 왔다”며 “듣던 것보다 건물이 아름답고 시설이 잘 돼 있어 놀랐다”고 말했다.고려대는 1905년 설립됐다. 출발부터 일제의 압박과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던 고려대는 1932년 ‘교육구국(敎育救國)’을 내세운 인촌 김성수가 경영을 맡으면서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했다. 고려대는 독재정권에 항거하여 1960년 4·19 혁명의 촉매제가 된 4·18 의거를 비롯해 각종 시위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1975년에는 고려대를 겨냥해 긴급조치 7호가 내려지기도 했다. ‘민족 고대’라는 별칭은 이러한 역사에 근거한 것이다.고려대는 4·18 의거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4월18일 4·18 기념 마라톤과 구국대장정을 진행한다. 헌화 행사에 이어 오전에는 기념 마라톤이, 오후에는 구국대장정이 진행된다. 재학생뿐 아니라 교직원, 동문들이 참가하며 학교를 출발하여 4·19 국립묘지를 거쳐 다시 학교로 돌아오는 코스다. 이렇게 역사가 깊은 만큼 고려대에는 전통도 많다. 대표적인 것이 사발식이다. 신입생들이 커다란 사발에 부어 놓은

  • 진로 길잡이 기타

    (3) 서강대학교

    소수 정예의 힘… 기업이 먼저 알아본다 서강대는 작다. 근처 연세대나 이화여대 캠퍼스와 비교하면 아담하다는 느낌이 든다. 서울 주요 대학에 비해 학생 수도 적다. 하지만 서강대는 강하다. 대기업과 정규직 취업률에서 매년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졸업생 취업률은 70%를 넘어섰다. 2009년, 2010년 연속으로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작년에는 국가품질경영대회 교육 부문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이런 저력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 수업종·FA제·평생지도 교수제가톨릭 수도회인 한국예수회가 1960년에 세운 서강대는 158명의 신입생으로 출발했다. 6개 학과로 이뤄진 미니 학교였다. 소수 정예 교육과 엄격한 학사관리는 개교와 동시에 시작됐다. 개인별 좌석을 지정하는 지정좌석제, 학점당 2번 이상 결석하면 낙제 처리하는 FA(Failure becauses of Absences)제, 수업을 시작하고 마칠 때마다 종을 울리는 수업 종 등으로 ‘서강고(高)’란 별칭과 함께 ‘작지만 야무지게 공부시키는 대학’이란 명성을 얻었다. 서강대는 치열하되 자유로운 학풍으로 금세 명문사학의 반열에 올랐다. 이렇게 형성된 학풍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단단히 뿌리내렸다.조교로 일하고 있는 강성욱 씨(철학 3년)는 “수업 종이 울리면 10분을 재고 바로 나간다. 10분 안에 들어오면 지각, 이후에 들어오면 무조건 결석처리 된다. 교수님이 들어와서 바로 수업을 시작할 수 있으니 그만큼 수업의 집중도가 높아진다”고 말했다. 서강대는 1996년부터 평생지도교수제를 실시하고 있다. 입학과 함께 배정된 지도교수가 해당 학생의 평생 멘토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학문적인

  • 진로 길잡이 기타

    (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부터 문화까지 … 글로벌 리더를 꿈꾼다 국제 전문인력 양성 교육기관으로 명성을 쌓아 온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박철)는 외국어 학과들을 중심으로 1954년 문을 열었다. 우리나라 경제가 눈부신 발전을 하던 1970~1980년대 한국외대 졸업생들은 해외시장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떨쳤다.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아 한국외대는 몇 년간 언론 대학평가에서 국제화부문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그만큼 각종 글로벌 교류프로그램이 잘 갖춰진 대학으로 평가 받는다. 최근에는 지하캠퍼스를 준공하는 등 시설투자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 외국어 못하면 졸업 못해한국외대 학생들은 “외국어 교육만큼은 최고”라고 입을 모은다. 이 학교는 외국어 인증 제도를 통해 졸업과 동시에 외국어 능통자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생들은 졸업시험과는 별도로 FLEX(Foreign Language Examination) 평가시험에서 일정 점수를 취득해야 졸업할 수 있다. FLEX는 한국외대가 1999년 개발한 외국어 능력시험이다. 한국외대 졸업생이라면 최소한 1개의 외국어를 완벽하게 구사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7+1 파견학생제도’도 한국외대의 자랑거리다. 8학기의 재학기간 중 최소 한 학기는 외국 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글로벌 마인드를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현재 연간 1000여명(서울+용인캠퍼스)의 학생을 선발해 해외 대학에 파견하고 있다. 한국외대는 현재 76개국 412개 대학 및 기관과 교류협력을 체결 중이다. 헝가리에 진출한 국내 기업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인 진지수 씨(헝가리어 2년)는 “동유럽에는 한국 대학과 연계돼 있는 대학들이 잘 없는데 한국외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