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산술 기하평균 부등식의 활용
-
학습 길잡이 기타
정적분의 활용
-
학습 길잡이 기타
비둘기집의 원리
-
학습 길잡이 기타
토러스의 부피와 정적분
-
진로 길잡이 기타
포스텍·KAIST '소수정예의 힘'
포스텍(포항공대)과 KAIST 등 과학기술 특성화대학들이 산업계 평가에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포스텍은 전체 6위, KAIST는 8위에 그쳤다.포스텍과 KAIST는 영국의 타임스고등교육(THE) 평가에서는 연세대 고려대보다 높아 세계 100위 안에 드는 명문 대학이다. 지난해 10월에 발표된 THE 세계 대학 순위에서 KAIST는 52위, 포스텍은 66위를 나타내 서울대(50위)와 함께 국내 대학 3곳이 100위권에 들었다.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뤄진 이번 이공계 평가에서는 다소 부진했다. 상대적으로 대학의 역사가 짧고 졸업생과 기업체에 취업한 숫자가 적다 보니 산업계 전반의 평판도가 낮게 평가됐다는 분석이다.설문 항목별 평가를 보면 포스텍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발전가능성, 기술개발역량은 각각 5위이나 조직친화력이 15위에 그쳐 전체 순위를 끌어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KAIST도 전공이론 이해는 5위, 발전가능성 및 기술개발역량은 6위, 채용희망은 7위 등으로 높았지만 조직친화력(16위)과 인문학적 소양(10위)이 다소 부진해 종합 점수가 낮아졌다. 소수정예의 연구중심대학을 추구하기 때문에 산업계와의 네트워크가 다소 부진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이 같은 평가의 배경으로 꼽힌다. 설문집단별로 교수들의 평가는 서울대 연세대 KAIST 고려대 포스텍 한양대 성균관대 순으로 조사된 것과 일맥상통한다.정태웅 한국경제신문기자 redael@hankyung.com
-
진로 길잡이 기타
한양대, 실용연구서 연·고대 앞서…국공립선 서울시립대 '도약'
국내 산업계가 꼽은 최고의 이공계 대학은 어디일까. 한국경제신문이 전문조사업체인 글로벌리서치와 함께 ‘2015 이공계 대학 평판도 조사’를 실시했다. 이 설문조사에는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임원 및 인사담당자, 대학교수 등 1041명이 참여해 7개 항목에 대해 응답했다.7개 항목은 채용희망, 인문학적 소양, 실용적 연구 및 기술개발 역량, 발전 가능성, 전공이론 수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조직친화력이다. 서울대는 조직친화력을 제외한 6개 항목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포스텍, 서강대, 카이스트 순이었다.국내 50개 주요 이공계 대학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곳은 서울대였다. 연구와 기술개발역량 등을 포함해 평가항목 대부분에서 1위를 차지해 국내 최고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줬다. 이와 함께 ‘공대가 강한 한양대’ 이미지가 이번 평가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시립대는 토목과 도시계획 등 분야에서 우수 인재를 길러낸 데 힘입어 서울대와 KAIST를 제외하면 국공립대 중 가장 높은 12위에 올랐다.서울대 7개 항목 중 6개 1위한국경제신문과 조사전문업체인 글로벌리서치가 공동으로 시행한 ‘2015 이공계 대학 평판도’ 결과 국내 주요 이공계 대학 50곳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곳은 서울대였다. 종합 점수 53.64로 1위를 차지했다. 2위 연세대(48.19)와는 5점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이어 고려대(47.51), 한양대(43.74), 성균관대(25.95), 포스텍(24.88), 서강대(24.09), KAIST(24.01) 순으로 집계됐다.서울대는 평가기준인 △창의적인 문제해결 방식 △전공이론 이해수준 △연구역량·기술공헌 등 발전가능성
-
진로 길잡이 기타
중앙대, 벤처·中企 평가서 5위…광운대·아주대도 호평
정보기술(IT)·바이오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평판도 조사에서 한양대가 눈길을 끌었다. 연세대와 고려대를 제치고 서울대에 이어 2위에 올랐다.한양대는 IT·바이오벤처기업 임원과 인사담당자 21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서울대(43.54점)에 이어 2위(41.18점)를 차지해 종합순위(4위)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다. 7개 평가 항목 중 조직친화력과 채용 희망에서는 1위였고 △전공이론 이해 수준 △연구역량 등 발전가능성 △창의적인 문제해결방식 △실용적인 연구 및 기술개발 역량 등 4개 항목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한양대가 IT·바이오벤처 업계에서 이처럼 좋은 평가를 받은 데 대해 관련 업계는 이공계 위주의 실용적인 학풍으로 형성된 막강한 ‘동문 네트워크’와 대학 측의 적극적인 창업 지원을 이유로 꼽았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1985년 이후 국내 증시에 회사를 상장한 벤처 창업자 482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조사한 결과 한양대 출신이 40명(8.3%)으로 서울대(123명·25.5%)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중소기업 임원과 인사담당자 258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도 한양대는 △조직친화력 △실용적인 연구 및 기술개발 역량 △채용 희망 등 3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서울대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고려대는 높은 조직친화력 점수에 힘입어 벤처와 중소기업 모두에서 3위를 차지, 4위에 그친 연세대를 앞질렀다. 종합 9위인 중앙대는 벤처와 중소기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는 모든 분야에서 고른 점수를 얻으며 5위에 올랐고, 종합 7위 서강대도 IT·바이오벤처 조사에서는 한 계단 높은 6위를 차지했다.서울시립대는 벤처에서 7위, 중소기
-
진로 길잡이 기타
서울대 연구역량 1위, 연세대 창의성 1위, 고려대 조직친화 1위
대기업 임원진 등 41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기업 평판도’ 조사에서 서울대는 62.80으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연세대(60) 고려대(58.80) 한양대(49.37) 포스텍(34.44)이 그 뒤를 이었다.전공 이해도 돋보인 서울대서울대는 ‘전공이론 이해 수준’ ‘연구역량·기술공헌 등 발전가능성’ ‘실용적인 연구 및 기술개발 역량’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전공이론 이해 수준과 연구역량·기술공헌 등 발전가능성 부문에서는 2위보다 19점가량 높은 78.91, 74.19를 각각 기록했다.서울대 졸업생은 이론·연구 등 기초역량을 발휘하는 데 탁월하다는 것이 대기업 임원들의 평가다. 전공에 대한 이해가 높은 만큼 이를 업무에 활용하는 과정에서도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는 것이다.이경우 서울대 공대 교무부학장(재료공학부 교수)은 “서울대 공대는 전공 60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는 등 다른 대학보다 졸업 요건이 까다롭고, 공학교육인증제도를 도입하고 있어 높은 전공 역량을 갖출 수밖에 없다”며 “졸업 후 어느 분야에 가더라도 뒤처지지 않도록 기초 공통과정을 잘 다질 수 있는 교육과정을 짜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연세대는 대기업 평판도 조사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방식’ ‘인문학적 소양’ ‘채용 희망’ 부문에서 1위에 올라 전체 2위를 차지했다. 이공계 인력임에도 다른 학문과 융합된 업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졸업생이 많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설명이다.손봉수 연세대 공과대학장은 “비전공자라고 해서 생활에 필요한 학문을 소홀히 해선 안 된다”며 “오는 2학기부터 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