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직원이 업무중에 발명한 것은 회사 것? … 명확한 규정 만들어야
-> 한국경제신문 2005년 12월29일자 A16면 국내 기업의 직무발명 보상제도 도입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28일 고용인 30인 이상의 2086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직무발명보상제도 운영 실태'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20.1%인 419개 기업만이 직무발명 보상제도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대기업 가운데 42.3%가 제도를 도입한 데 비해 중소기업은 18.1%만이 도입해 중소기업의 직무발명 보상제도 도입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속담도 바뀌어 간다
'새우싸움에 고래등 터진다''얌전한 개 부뚜막에 먼저 오른다'…. 글쓰기에서 속담이나 격언을 사용하는 것은 일종의 수사적 영역에 속한다. 수사적 기법은 적절히만 사용하면 글의 흐름에 '긴장'을 불어넣음으로써 시적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런데 낯익은 속담이나 격언들 가운데 들여다보면 조금씩 변형돼 쓰이는 것들이 있다. 속담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가령 '고래싸움에 새우등...
-
학습 길잡이 기타
돈많이 풀었는데 소비.투자 왜 안늘지?
거시경제학은 경제 전체의 흐름을 연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오늘날 거시경제학의 양대 조류라고 할 수 있는 고전학파와 케인스학파는 경제에 대한 진단 및 처방과 같은 거의 모든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거시경제의 구조와 흐름에 관한 이론에서부터 정책의 효과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정책 효과에 대한 두 학파의 견해는 거의 정면충돌 수준이다. 한마디로 요약하...
-
생글+ 기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중단없는 생명과학연구 미래 '책임'
지난해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파문이 불거졌을 때 외국 언론들은 "한국의 실력 있는 소장파 과학자들의 힘이 진실을 밝혀내는 데 원동력이 됐다"고 보도했다. 생명과학 분야에서 한국 젊은 인재들의 역동성이 살아 있다는 찬사였다. 인류의 미래를 책임 질 '생명'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생명과학 분야는 쾌적하고 풍요로운 삶을 가꾸기 위한 주요 학문으로 대두되고 있다.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은 바로 이 분야를 공부하는 곳이다. ...
-
생글+ 기타
'패러독스 경제학' 연재 노택선 교수 책 발간 '통계와 함께…'
생글생글에 '패러독스 경제학'을 연재하고 있는 노택선 외국어대 교수(경제학)와 동료인 김중렬 교수(외국어대 경제학)가 '통계와 함께 배우는 경제학'(도서출판 해남,1만5000원)을 공저로 발간했다. 이 책은 대부분 경제 교과서들이 가르치고 있는 경제학 이론 외에 각종 통계를 곁들여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두 교수는 서문에서 "경제 문제는 늘상 우리 주변에서 끊임없이 발생하고,또한 모든 사람이 직접적으로 관련돼...
-
경제 기타
환율 세자릿수 급락 … 새해 경제 '고민'
미국 달러화와 한국 원화간의 교환비율을 의미하는 원·달러 환율이 연초부터 큰 폭으로 하락해 1000원선을 밑돌면서 새해 벽두부터 우리 경제에 큰 근심거리로 등장했다. 올해엔 경제 사정이 대폭 좋아질 것이란 사람들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고개를 들고 있다. 최근 몇일간의 환율 급락은 분명 좋지 않은 소식임에 틀림 없다.그러나 이같은 현상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지,그리고 환율 하락이 우리 경제에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
-
경제 기타
우리도 동정 아닌 '기부 문화' 정착해야
냄비만큼 붉은 지폐들이 구세군 자선 냄비에 한가득 채워진다. ARS 결손 돕기를 위한 손가락들이 분주하게 버튼을 누른다. 지난해 구세군의 모금액은 28억5000여만원으로 당초 목표액(27억원)을 초과했고,사랑의 리퀘스트 ARS 모금액도 400억원을 넘었다. 하지만 대기업의 사회 환원,부유층의 위탁 기부 등을 알리는 기사는 지면에서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작은 동정심에는 선뜻 손을 내밀지만 희사 문화에는 인색한 우리 풍토의 단면을 여실히 ...
-
경제 기타
헌혈인구 학생ㆍ군인이 71% 절대 무섭고 힘든 일 아닌데…
서울의 한 고등학교 교실에 학생들의 피를 구하기 위해 적십자사 간호사가 왔다. 학생들은 간호사의 헌혈 필요성에 대한 설명을 진지하게 듣고 난 뒤 상당수가 운동장에 마련된 헌혈 버스로 갔다. 우리나라의 헌혈 인구의 대부분은 학생(약 43%)과 군인(약 28%)이라고 한다. 이 같은 현실을 감안하면 일반인의 자발적인 헌혈이 시급하다. 헌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저조한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국민들이 헌혈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