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명품, 이젠 소비가 아니라 투자대상이다

    올해 세계 명품시장 140조원 규모…럭셔리 펀드ㆍ럭셔리 지수 주목 '명품은 이제 소비하는 대상이 아니라 투자하는 대상이다.' 명품 브랜드가 최근 글로벌 투자자들 사이에 떠오르는 투자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사모펀드와 투자은행 관계자들이 유명 브랜드의 투자 전망을 살피러 패션쇼와 의상 전시회를 방문하는 일이 많아지는가 하면,명품 브랜드로 이뤄진 '럭셔리 펀드'와 '럭셔리 지수' 등도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선진국은 물론 중국,인도,...

  • 과학 기타

    무선충전의 시대, 본격 열리나

    미국 사이언스誌 소개 노트북 컴퓨터는 이제 우리 일상에서 거의 필수품처럼 자리 잡고 있다. 요즘 비즈니스 맨 치고 노트북 컴퓨터 한 대 정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을 찾아 보기 힘들 정도다. 기자들은 불과 십수년 전만 해도 원고지에 기사를 썼지만 이제 취재 현장에서 또 다른 현장으로,회사로,집으로 바쁘게 오가야 하는 기자들에게 노트북 컴퓨터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 됐다. 노트북 컴퓨터에는 이동성이 으뜸이다. 무선으로 웬만한 건 다 된다. ...

  • 경제 기타

    김영종 비자코리아 사장

    긍정의 카리스마가 엄청난 힘 발휘한다 "한국군을 믿지 않는 미군들에게 욕을 하도 많이 하다 보니 영어가 자연스레 늘었죠." 김영종 비자코리아 사장(62)은 35년 넘는 직장 생활의 대부분을 외국계 금융회사에서 보냈다. 1971년 체이스맨해튼 은행(현 JP모건)에 들어가 1986년 체이스맨해튼 투자금융 대표를 거쳐 푸르덴셜생명 사장까지 항상 마음에 드는 직장을 골라 다니는 행운을 누렸다. 비자코리아 대표로도 10년째 재직 중이다. 김 사장이 ...

  • 경제 기타

    유류세 인하하면 왜 안되나요?

    ☞ 한국경제신문 6월 12일자 A6면 재정경제부와 정유사가 정유사들의 휘발유 정제 마진을 둘러싸고 11일 한바탕 날카로운 신경전을 벌였다. 재경부가 석유 제품에 대한 할당관세 관련 보도자료를 내면서 정유사들의 휘발유 정제마진이 5개월 새 59.0% 급증했다고 언급하자,정유사들이 즉각 반발하고 나선 것. 재경부가 한국석유공사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원화로 환산한 ℓ당 국내 원유 도입가는 341원,정유사들의 세전 휘발...

  • 경제 기타

    이건 주식도 아니고, 채권도 아니야!? ^^

    주식연계 채권발행 급증 지난해 국내 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발행한 전환사채(CB)나 교환사채(EB),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해외 주식연계채권 물량이 전년도에 비해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2006년 국내 기업의 해외 주식연계채권 발행 규모는 모두 36억3500만달러(약 3조3660억원)로 전년도 16억6600만달러(약 1조5427억원)에 비해 118.2% 급증했다. 기업별로는 한국전력의 해외 EB 발행 ...

  • 캡틴씅! 클리닉‥논술공부 어떻게 할까요?

    게릴라 특강의 묻고 답하기 문:이단아인척 튀는 글을 쓰려고 노력하는데 맞는 방향인가요. 캡틴씅!:혹시 엉뚱한 쪽을 튀는 게 아닌지부터 확인하세요. 이번 주 생글생글i(www.sgsgi.com) 코너에서는 논술 공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글친구의 질문에 대해 게릴라특강을 담당하는 의 답변을 소개합니다. 여러분의 고민에 대한 실전적인 답변을 원하시면 생글생글i로 언제든 Go! Go! 해주세요. [학생 질문] 고3의 중...

  • (53) 건설관련 직업

    아자! 세계에서 제일 높은 빌딩을 내손으로 6월18일은 건설의 날이다. 건설인들의 사기 진작과 건설 산업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해 1980년에 제정됐다. 정부는 매년 건설의 날 기념식을 갖는데 올해는 특히 우리나라 건설 60년을 기념하는 전시회인 대한민국 건설대전이 6월20~23일 서울 COEX에서 열린다. 우리나라 국민총생산(GDP) 중 건설 산업의 비중은 8.2%, 건설업 고용비율은 7.9%(181만4000명)로 국가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신세계 여주아울렛 이름이 2개인 까닭

    홍기택 <중앙대 정경대학장ㆍ경제학 > ☞한국경제신문 6월 14일자 A39면 올해는 1997년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 10년이 되는 해다. 이를 맞아 또다시 우리 경제의 위기발생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지난번과 같은 외환위기가 재연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무엇보다도 우리 경제의 투명성이 크게 증대됐기 때문이다. 우선 정부의 정책결정 과정이 보다 투명해졌다. 지난 외환위기 당시 과장된 외환보유액 발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