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27) 다음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생글생글을 휴대폰으로도 본다! 휴대폰으로 생글생글을 읽고 모바일 글쓰기를 통해 실력을 겨뤄보세요. [문제]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이처럼 아무리 많은 양의 지식이라 해도 자기 스스로 철저하게 생각해 본 일이 없는 경우에는 양에 있어서는 적어도 여러 가지 각도로 생각해 본 지식보다는 그 가치가 훨씬 낮다. ②장서가 아무리 많아도 정리되어 있지 않은 도서관은 책수는 적어도 잘 정리되어 있는 서고만큼 도움을...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7월 2일자
1.BDA(방코델타아시아)은행의 북한자금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 ) 실무대표단이 북한을 방문했다.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연구와 국제적인 공동관리를 위하여 설립된 UN 기구는 다음 중 무엇인가? ①IAEA ②ILO ③WHO ④IMF 2.7월부터 현금영수증 발급 의무가 강화되고 미발급 사업자를 신고하면 상금을 주는 제도도 도입된다. 얼마 이상을 현금으로 결제해야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가? ①2000원 ②3000원 ③5000...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스도쿠 여행 (7)
새로운 퍼즐게임 '수학 두뇌를 키워라-스도쿠 여행' 일곱 번째 문제입니다. 스도쿠여행의 참여 열기가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스도쿠(Sudoku)는 가로·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가로,세로는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인 선풍이 ...
-
선생님 논술 아이디어 총집합…논제은행 운영 ... 전국 교사ㆍ강사 논제 공모대회
한국경제신문의 고교생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이 매년 두 차례 '전국 교사·강사 논제 공모 대회'를 개최키로 한 것은 논제 부족에 허덕이는 학교 논술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최근 일선 고등학교에서는 대학들의 논술 비중 강화 영향으로 논술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지만 적절한 논제를 찾아내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5월 국내 최대인 생글생글 논술 경시 대회에 전국에서 6000여명의 학생들이 응시한 것도 일선 학교 현장에서 논...
-
커버스토리
뭐? 실업자 되기도 어렵다고?
[문제] 다음 중 실업자에 해당하는 경우를 모두 고르시오. ①공무원시험 준비생 ②그냥 노는 백수 ③일거리가 없어 구직활동을 포기한 사람 ④은퇴한 정년퇴직자 ⑤군인(의무병) ⑥부모님의 식당에서 일 봐주는 아들 ⑦일주일에 1~2시간 만 일하는 알바 답을 짐작하겠는가? 정답은 '없다'이다. 모두 다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이다. 15세 이상 생산가능 인구 가운데 ①②③④⑤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돼 실업률(실업자/경제활동인구)을 계산할 때 아...
-
제1회 전국 교사ㆍ강사 논제 공모 대회
한국경제신문은 전국 중·고등학교 논술지도교사 및 일선 학원강사를 대상으로 '제1회 전국 교사·강사 논제 출제대회'를 개최합니다.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가 논술교육과 관련된 참신한 논제를 발굴하기 위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획하는 이번 행사에는 논술을 지도하는 전국의 모든 선생님들이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행사는 매년 2회,상·하반기로 나뉘어 실시되며 1회 대회는 7월9일∼31일에 응모를 받아 외부 심사위원의 평가를 거쳐 8월20일 수상작을 발...
-
경제 기타
6개 사립대, 내신 반영률 50% 확대 거부
소폭 상향안 제시…교육부 "등급간 점수차 자율화 검토"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대 한양대 등 6개 사립대학 입학처장은 21일 합동 성명서를 발표, "정부의 방침대로 내신의 실질 반영비율을 50% 수준으로 높이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내신 1~4등급을 묶어 만점을 주는 방안을 포기하고 내신 실질 반영비율도 지난해보다 소폭 확대할 수 있다"며 타협안을 내놨다. 이에 대해 교육인적자원부는 "내신의 실질 반영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
-
경제 기타
구멍가게 1만개 이상 문닫아 外
◆구멍가게 1만개 이상 문닫아 대형 할인매장과 24시간 편의점의 확산으로 주택가 구멍가게가 2001년 이후 4년 만에 1만1398개나 문을 닫아 숫자가 10%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발표한 '서비스업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같은 기간 편의점은 143.8%,대형 할인매장은 32.8% 증가한 반면 구멍가게는 크게 줄었다. 또 전자상거래 업체 수도 이 기간 중 두 배로 늘었다. ―구멍가게가 하루 8개꼴로 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어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