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5) 세테리스 파리부스와 수요 곡선
수요 곡선은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가격과 수요량과의 관계 경제 주체가 소비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만족을 가장 크게 하는 것이다. 만족은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커지기 때문에 소비량은 많을수록 좋고,만족은 끝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소비량의 끝도 알 수 없다. 다만 소득이 주어져 있기 때문에 적정한 소비량을 결정할 뿐이다. 소득이 늘어나면 더 많은 재화들을 소비할 것이고,가격이 하락하면 더 많은 재화를 소비할 것이다. 그러나 소비하려는 재...
-
학습 길잡이 기타
66. 막스 베버「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사람들은 왜 일을 해야 하는가 ? 고등학교 사회문화 중 관료제에 대한 부분이 있다. 보통은 네트워크 집단과 관료제 집단을 비교해서 공부하게 되는데,관료제라는 개념을 만들어 낸 사람을 베버라고 알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고등학생들에게 있어서 막스 베버는 관료제와 연관된 인물일 뿐 그가 사상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사람인지를 잘 모르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막스 베버는 현대 사회학의 아버지라고 불릴 만큼 아주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사상은...
-
학습 길잡이 기타
2010년도 성균관대학교 수시(인문계열) 논술기출문제 풀이(上)
“절대성을 신봉하는 것은 하나같이 병적(病的)인 것이다” ⊙ 성균관대 논술은 이렇습니다 전통적으로 성균관대는 자료 해석형 문제를 자주 냈기 때문에,많은 이들의 뇌리에 다른 학교와는 유별나게 다른 형태라는 것이 각인되어 있다. 실제로도 동급의 학교나 상위권의 대학들이 고난이도 텍스트를 중심으로 읽고 이해하는 것,혹은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생각을 전개하는 것을 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면,성균관대는 텍스트 읽기보다는 어떠한 논점에 대한 다양한 ...
-
경제 기타
우리사회 '소수인권'에 대한 생글기자들의 주장
십대 미혼모 홀로서기 돕는 사회 복지시설 늘려야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3월 임신을 이유로 청소년에게 자퇴를 강요하는 것은 차별행위라는 판단을 내리고 10대 미혼모의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우리나라 10대 미혼모의 90%가 학업을 계속하길 원하지만 실제로는 80% 이상이 학업을 중단한다. 또한 복학을 하려는 경우 학부모위원회에서 반발을 하는 경우가 과반수이며, 동급생들의 따돌림 때문에 학업을 다시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
-
경제 기타
그리스 국민과 정부 자구 노력없이 재정위기 벗어날까
어느 개인이나 기업,심지어 정부라도 수입보다 지출이 많으면 경제는 불안해지게 마련이다. 지금 그리스 정부가 심각한 재정위기에 처했다. 정부는 거둬들인 세금이나 각종 사업에서 얻은 수익의 범위 내에서 지출을 해결해야 하는데,지나친 인기 지향적 정책을 펴고 국민들 또한 나태한 태도를 보이다 보니 재정 적자를 피할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다.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는 정부 재정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이렇게 그리스 정부가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
-
경제 기타
늙어가는 대한민국…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 방안 없나?
'둘만 낳아 잘 기르자' '아들 딸 구별 말고 하나만 낳자'. 이 말들은 1970,80년대 출산율을 억제하기 위해 정부가 내세웠던 정책들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2100년엔 인구가 반토막이 되고,2500년에는 한민족이 소멸된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과거와는 달리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들을 찾고 있다. 하지만 저출산 고령화 현...
-
커버스토리
⑬ 논술은 답을 먼저 찾고, 글을 쓰기 시작해야
하루에 들어오는 이메일의 양이 점점 늘고 있네요. 하지만 의외로 아직 논술을 제대로 접해보지 못한 학생들이 많은 것을 보고 조금 놀라고 있습니다. 기초수준의 문제유형이 다 끝나면 점차 복잡하게 만들어진 기출문제를 가지고 풀 예정이니,그때까지 어느 정도 기반은 닦여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지면 관계상 해설을 길게 하지 못하므로,242호에 실린 <2008학년도 숙명여대 모의논술 문제>의 예시답안만 말씀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60>
실험 결과에 대한 논리적 추론 〔2009 중앙대학교 수시 2- 2 자연계열 논술문제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