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TESAT 공부하기 기타
사유재산제도를 인정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
문제 1 다음 중 자본주의 체제의 사유재산제도가 사회발전 및 안정에 미치는 긍정적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회의 생산적 자원을 관리,감독해서 보존 및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② 사회의 생산적 자원을 증식(增殖)시키는 기능을 한다. ③사회의부(富)를분산시켜다양한가치를창조하고의사결정권력의분산을가져온다. ④ 소비자 주권을 확대하여 도덕적이며 건전한 소비를 정착시킨다. ⑤ 개인과 그 가족에게 경제적 안정을 부여하고 사회 안전성을 ...
-
경제 기타
(6) 다양한 소비행태와 수요곡선
남들이 산다고 덩달아 사는 건 비이성적 소비행위일까 우리는 물건을 구매할 때 가격,디자인,성능 등 여러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매할지 말지를 결정한다. 그런데 우리가 제품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사항들은 이러한 제품 내부 요인 이외에 다른 사람들이 해당 재화를 얼마나 많이 구매하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특정 브랜드의 청바지가 유행이라 나도 덩달아 샀던 경험이 있다거나 정반대로 다른 사람들이 너도 나도 구입해 너무 흔...
-
경제 기타
6·2지방선거…어른들 싸움에 학생들 등 터진다
전국 동시 지방선거를 얼마 남겨두지 않은이 시점에서, 야당과 여당은 온갖 정치 공방을 펼치며 민심을 얻으려고 한다. 진보단체에 선무상급식을 주장하고,보수단체에선 전교조 명단을 공개하며 서로가 서로를 할퀴고 물어뜯는 중이다. 공부에 집중해야 할 학생입장에서 선거나 정치에 대해 아직 큰 관심이 없는 어른들만의 일이겠지만 일부어른들의 그릇된 선거운동에 눈살이 절로 찌푸려진다. 며칠전 서울의 한고등학교에 등교하는 학생들이 교문을 들어 설즈음,교문...
-
경제 기타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역사적 근거 아세요?…올바른 국사 교육 절실
"선생님, 독도가 왜 우리나라 땅이에요?" S고교 한국지리 시간. 3학년에 재학 중인 K양이 질문을 한다. 이에 한국지리 선생님은 "왜 그런 생각을 했니?"라고 되물으신다. 그 학생은 "제가 일본인 친구들과 펜팔을 하는데요,독도문제에 대해서 그 친구들과 논쟁을 한 적이 있었어요. 저도 처음에는 '당연히 독도는 한국 땅이다. 해방 후,일본이 불법적으로 점령했던 독도를 포함해 한반도를 되찾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어요. 그렇지만 일본 친구들은...
-
학습 길잡이 기타
] 67. 버트란트 러셀「게으름에 대한 찬양」
“게을러져라! 자유와 가치의 창조, 즐거움을 얻으리니” ⊙ 아무것도 하지 않고 숲에서 있기 숲에서는 거의 모든 일을 할 수 있지만,그 중 가장 기쁘고 빛나는 일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일'이다. 물론 조금 걸을 수도 있고, 가로질러 가며 '조깅'을 할 수도 있지만, 그저 나무그늘 아래 돗자리를 깔고, 나무에 기대는 것보다 나은 것은 아니다. 이것은 봄의 오후,여름밤,가을 낮,눈 쌓인 겨울,어느 때나 마찬가지다. 그러면 곧,마치 첫 키스...
-
학습 길잡이 기타
2010년도 성균관대학교 수시(인문계열) 논술 기출 문제풀이 (下)
동일한 현상도 이해도 인식의 틀에 따라 달라진다. 지난 호에는 오늘 풀 문제의 기본 전제가 제시문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제시문의 내용은 간략히 다음과 같다. (1) 인간의 삶을 통제하고 지배한다던 거대이론은 무너졌다. 이제는 절대적 담론이 아닌 다원주의적 대화가 필요한 시대이다. (2) 신고전파 경제학자들은 '합리적으로 유용성을 극대화하려는 개인'이라는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인간 행위의 모든 면을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다. (3...
-
경제 기타
웃으며 공부하는 핀란드…울며 공부하는 한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관한 국제 학력조사에서 핀란드가 1위, 한국이 2위를 거두었다. 한국과 핀란드의 점수 차이가 0.5점인 것을 본 한국의 교육 관계자가 말했다. "허허, 근소한 차이로 저희가 졌습니다. " 그러자 그 말을 들은 핀란드의 관계자는 차갑게 답했다. "아니, 핀란드가 엄청난 차이로 한국을 앞섰습니다. 핀란드 학생들은 웃으면서 공부하지만 한국 학생들은 울면서 공부하지 않습니까?" 2009년 12월 핀란드의 특별한 교육방식...
-
'청소년문제토론회·개최
국회 아동청소년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 · 대표의원 최영희)과 전국 고등학교 토론 동아리 연합(이하 NHDC 대표 곽영석)은 오는 29일(토) 오후 7시 국회 의원회관 128호에서 '대한민국 청소년들은 어떤 위치에 있는가'라는 대주제로 토론회를 갖는다. 이날 행사는 정영훈 생글기자(중앙대 사회학과 1년) 등이 '한국 교육 입시제도의 문제점' 등에 대해 주제 발표를 하고 참가 학생들이 토론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문의: nhdc카페(club.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