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사진으로 보는 세상
파리 올림픽 D-4…"태극 전사들 금빛 꿈 응원해요"
오는 26일 열리는 ‘2024 파리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15일 프랑스 파리 개선문 인근 샹젤리제 거리에서 프랑스 유명 파티시에 니나 메테예(왼쪽)와 프랑스계 이스라엘 가수 아미르 하다드가 함께 올림픽 성화를 봉송하고 있다. 파리 올림픽은 8월 11일까지 17일간 열린다. 한국은 144명의 선수들이 16개 종목에 출전한다. 태극 전사들의 멋진 활약을 기대한다. AP연합뉴스
-
미리 보는 파리올림픽
주니어 생글생글 제121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2024 파리 올림픽이다. 오는 26일 개막하는 이번 대회는 100년 만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하계 올림픽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 파리 올림픽에서 처음 채택된 종목 등 대회 이모저모를 미리 살펴보고 고대 올림픽부터 근대 올림픽에 이르는 올림픽의 역사를 정리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의 주인공은 온라인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세계 최강자 페이커 이상혁이다. 어려운 환경을 이겨...
-
인구 위기, 어떻게 대응할까?
제857호 생글생글은 인구 위기 문제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는 등 저출산이 촉발한 인구 위기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노동력 부족과 지방 소멸 등 인구 감소가 몰고 올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미래 세대의 관점에서 살펴봤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에선 정부의 전기·가스요금 인상 억제에 대한 찬반 의견을 정리했다. 대입 전략에선 6월 ...
-
커버스토리
인구 감소 위기는 청소년 세대의 문제
우리나라 인구 위기와 관련한 뉴스가 연일 쏟아집니다. 급기야는 지난달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회의를 주재하며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했습니다. 대통령은 ‘2030년까지 합계출산율 1.0명’(작년 기준 0.72명)을 달성하겠다고 밝혔지만, 무척이나 어려운 과제란 사실을 모르는 국민은 없습니다. 그동안의 출생아 수 감소로 인해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15세 이상...
-
생글기자
최저임금 논의, 노동시장에 미칠 악영향 고려해야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이 늦어지고 있다. 지난달 27일로 정해져 있던 법정 심의 기한을 넘긴 지 오래다. 최저임금이 법정 심의 기한 내에 결정되지 않은 것은 올해만이 아니다. 최저임금제도를 도입한 1988년 이후 37년간 28차례나 심의 기한을 어겼다. 이런 일이 반복되는 것은 노사 간 의견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올해도 노동계는 대폭적인 최저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작년 최저임금 인상률이 2.5%로 소비자물가 상승률(3.6%)에 못 미쳤던...
-
대학 생글이 통신
여름방학을 '수능 최저' 맞출 기회로 삼아야
다가올 여름방학을 맞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고민하는 학생이 많을 겁니다. 제 나름의 방학 공부법을 여러분과 공유하려 합니다.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할 것은 공부 장소입니다. 저는 학교 자습실, 집, 스터디 카페, 독학 재수 학원, 기숙학원 등 여러 장소에서 공부를 해봤습니다. 우선 예비 고3 겨울방학 때 기숙학원에 입소했습니다. 저는 잠이 많아 아침 일찍 일어나는 것을 굉장히 힘들어 합니다. 이런 수면 습관을 고치고 싶어 기숙학원을 택했습니다...
-
생글기자
잇따르는 프로선수 사건·사고…책임감 가져야
최근 프로스포츠계에서 마약, 음주 운전, 성폭행, 도박 등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경기 전날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는 장면이 팬들에게 포착되고, 전 애인과의 갈등이 드러나는 등 사생활 문제도 터져나오고 있다.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는 않더라도 팬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모습이다. 프로스포츠는 대중의 사랑을 먹고산다. 프로선수에겐 그만큼의 책임이 따른다. 그래서 프로선수들의 부도덕한 행동은 팬들에게 큰 실망을 안겨준다. 프로선수를 꿈꾸는 ...
-
경제 기타
사회보험 지속가능성 '제로'…국민 부담, 어디까지 가능할까
정부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8대 사회보험과 기초연금, 기초생활보장 등 공공부조를 아우른 사회보장제도의 40년 뒤 재정 전망을 추계해 오는 10월께 공개하기로 했다. 고령화로 복지지출이 급격히 불어나는 가운데 각종 복지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2024년 7월 9일 자 한국경제신문- 정부가 국민연금 등 주요 사회복지제도가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지 총점검에 나섰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이는 바꿔 말하면 정부 스스로가 그들이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