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아픈 민족사의 상처 보듬는 가슴시린 이야기
<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은 2009년에 출간한 <잘가요, 언덕>의 개정 증보판이다. 2021년에 선보인 개정 증보판이 최근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필수 도서로 선정되면서 종합 베스트셀러 10위권에 진입했다. 작가가 배우 차인표라는 점도 주목받는 요소 중 하나다. ‘배우가 쓴 소설’을 읽다 보면 어느새 ‘소설가 차인표’를 만나게 된다. 저자가 이 소설을 쓰게 된 배경에...
-
생글기자
교권 침해 막을 더 구체적인 대책 필요하다
서울서이초등학교 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지 1년이 지났다. 이 사건은 교권 침해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됐다. 정부는 지난해 8월 교권 회복 및 보호 강화 종합 방안을 마련했고, 9월엔 교원지위법, 초중등교육법, 유아교육법 등 각종 법률의 교권 관련 조항이 개정됐다.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도 개정됐다. 교원이 아동학대로 신고당하더라도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직위해제 처분을 금지하며, 교원의 정당한 생활지도는...
-
생글기자
심각해지는 사교육 역기능…학교 역할이 약해진다
지난해 대한민국 초·중·고교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78.5%에 이른다. 청소년 10명 중 8명은 학원에 다니는 등 사교육을 받는다는 얘기다. 대부분 학생이 수학과 영어 학원은 거의 필수적으로 다닌다. 이러한 사교육은 양면성을 지닌다. 사교육의 순기능으로는 학생들이 교과목을 보다 깊이 있게 배울 수 있다는 점이다. 학원에 다니면 학교에서 접하는 것 이외에 학습 자료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학원은 학교 수업을 마친 학생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8월 12일 (856)
1. ‘팀 코리아’ 컨소시엄이 지난달 17일 이 나라가 발주한 원전 사업을 수주했다. 유럽연합(EU) 회원국으로 수도는 프라하인 이곳은? ① 포르투갈 ② 체코 ③ 벨기에 ④ 덴마크 2. 한때 미국의 제조업 중심지였으나 산업 쇠퇴로 지역 경제가 침체된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오하이오 등을 통칭하는 용어는? ① 실리콘밸리 ② 러스트벨트 ③ 매그니피센트7 ④ MAGA 3. 기업 외부의 투자자들에게 좋은 실적을 보여주기...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출제 빈도 높아진 '공간도형' 눈여겨봐야
수리논술에서 기하 및 확률과통계의 최근 출제 경향 중 주목할 만한 부분은 과목별로 교과서 전반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출제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확률과통계에서는 이전에 이항분포, 조건부확률, 정규분포에 출제가 집중되었던 반면에 최근 들어 중복조합, 신뢰구간 등이 자주 다뤄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하에서도 정사영과 삼수선의 정리 등 이전에 많이 나오지 않던 공간도형 단원의 주제들이 자주 출제되고 있는데, 이는 대학들이 교...
-
대학 생글이 통신
국어영역 독서 정답률 높이는 가채점 공부법
수능 국어 영역 독서 문항에 대비해 제가 했던 공부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다른 과목도 비슷하지만, 국어 역시 ‘밑 빠진 독에 물 붓듯이’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일 학습량을 정해두고 꾸준히 공부해야 실력이 유지되고, 학습량이 충분해야 점수가 오릅니다. 자투리 시간을 독서 문항에 투자해보세요. 점심시간 등 중간중간 애매하게 남는 시간을 다 합치면 하루 40분에서 1시간 정도는 자투리 시간이 나올 것입니다. 이 시간에 독...
-
교양 기타
다산은 이곳으로 좌천될 줄 어찌 알았을까 [고두현의 아침 시편]
금정시참(金井詩讖) 정약용 금정(金井)의 찬 기운 벽오동 감싸는데 물 긷는 소리 끊기고 까마귀는 울며 간다. 이제야 알겠네, 해 지고 별 뜨는 즈음 황혼의 시각 보내기 새삼 어려운 줄. 金井寒煙鎖碧梧 聲斷度啼烏 偏知日沒星生際 銷得黃昏一刻殊 * 정약용(丁若鏞·1762~1836) : 조선 후기 시인, 학자. 다산 정약용이 1794년 8월 5일 밤 죽란(竹欄)에 앉아 쓴 시입니다. 죽란은 다산이 살았던 서울 명례방 집의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트럼프 대관식'에 숨은 뉴스언어의 오류
11월 대선에 나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후보로 공식 지명한 공화당 전당대회가 지난달 18일 마무리됐다. 나흘 일정의 이번 전당대회는 트럼프의 유세 중 피격이란 극적 장면까지 더해져 시종일관 열광적 분위기에서 치러졌다. ‘트럼프 대세론’이 확산되면서 그의 당선 가능성을 한껏 높였다. 그런 까닭인지 우리 언론들 보도에도 그런 분위기가 반영된 듯하다. 대관식은 즉위할 때 왕관 쓰는 의식 “막 오른 트럼프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