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 솔로의 경제성장 모형
자본축적을 위해서는 자본재를 구매하는 투자가 계속되어야 한다. 투자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자본재를 지속적으로 생산해야 한다. 자원이 희소한 상황에서 자본재를 계속 생산하기 위해서는 소비가 갑자기 증가해서는 안 된다. 소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소득 중 일정 부분은 저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축이 꾸준히 이루어져야만 자본재 생산이 가능하고 자본축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소비가 감소하고 저축의 비중이 커진다면 자본이 더 많이 축적되어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게 된다. 물론 한 나라의 국민이 소비는 거의 하지 않고 소득의 대부분을 저축한다면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하겠지만 국민은 건강한 노동자가 되지 못해 이러한 성장은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국민이 과소비하지 않고 절약하는 생활 속에서 저축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 수준의 자본축적일 것이다. 경제성장의 과정자본축적을 통해 노동자 1인당 자본량이 증가하고 1인당 생산량도 늘어난다. 하지만 자본의 한계생산이 체감하는 상황에서 자본증가 속도가 감소하고 인구 증가 속도와 같아지면 1인당 생산량은 더 이상 확대되지 않는다. 인구 증가율과 자본 증가율이 같아지면 증가한 자본을 증가한 인구가 사용하게 되고 1인당 자본량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1인당 생산량이 더 이상 증가할 수 없는 것이다. 솔로의 성장과정은 맬서스의 성장과정처럼 음(-)의 경제성장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지속적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특징이 있다. 이는 외생적 경제성장 모형이 갖는 한계점이다. 성장과정에 대한 평가솔로의 경제성장 과정이 결국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는 이유는 자본축적이 한없이 지속될 수 없을뿐더러 자본도 한계생산 체감의 법칙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모형은 자본축적을 통한 저개발 국가들의 빠른 경제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경제가 계속 발전하는 선진국들의 성장과정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솔로가 자본 투입으로 노동의 한계생산 체감을 극복한 것처럼 솔로의 모형을 통해 선진국의 경제성장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투입으로 자본의 한계생산이 체감하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해야 한다. 그러나 기술은 노동이나 자본처럼 투입되는 생산요소로 보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 기억해주세요
![[경제야 놀자] 응급실 뺑뺑이…문제는 '의료시장 가격상한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93.3.jpg)
![[경제학 원론 산책] 자원이용 효율성 높이는 게 금융의 역할](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707.3.jpg)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IMF "한국, 세율 낮아 저성장 머물 위험"](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71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