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의 역사
 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산업이 커지다 보니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치솟았죠. 이럴 때 나오는 것이 바로 ‘버블론’입니다. 한마디로 ‘거품이 낀 것 아니냐’는 우려의 시각입니다.

역사적으로 버블론은 인류의 경제활동과 함께 성장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빈번하게 등장했습니다. 투자와 투기는 새롭고 매력적인 대상이 나타날 때마다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었고, 그 과정에서 ‘지나친 기대’가 가격을 끌어올리곤 했습니다. 자본주의가 등장하면서 위험을 감수하고 더 높은 수익을 얻으려는 사람이 많아졌고, 과열과 거품을 낳았습니다. 17세기 네덜란드가 대표적 사례입니다.

당시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 중 하나였고, 금융·무역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이때 귀족과 상인 사이에서 튤립이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희귀 품종은 하루가 다르게 가격이 오르자 사람들은 ‘지금 사두면 더 비싸게 팔 수 있다’는 믿음으로 몰려들었습니다. 결국 튤립 한 알의 가격이 장인의 연간 임금 수십 배, 심지어 집 한 채 값에 육박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 가격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폭락이 시작됐죠. 최초의 금융버블 사례로 역사에 기록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100년 뒤 자본주의가 꽃피우던 미국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죠. 1920년대 미국은 경제가 고성장했어요. 전기·자동차·라디오 같은 신기술이 등장해 삶을 바꿔나갔죠. 주식은 빠르게 올랐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수요가 둔화되자 가격에 대한 우려가 커졌죠. 1929년 주가 폭락으로 시작된 공황은 전 세계 경제를 흔들 만큼 강력했어요.

1980년대 일본은 세계를 호령했습니다. 일본 경제가 호황인 때 일본 부동산도 급등했죠. 당시 도쿄 한복판의 땅값이 미국 전체 땅값보다 비싸다는 말까지 돌았을 정도입니다. 기업은 부동산을 담보로 더 많은 대출을 받아 투자를 확대했고, 자산 가격은 끝없이 오르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행이 저금리 시대를 끝내고 긴축정책을 펼치자 부동산과 주식 시장은 동시에 무너졌어요. 그렇게 시작된 게 ‘잃어버린 20년’이라 불리는 일본의 경제침체기입니다.

우리나라에도 닷컴버블 사건이 있었죠. 전 세계적 현상이었지만, 한국에서도 타격이 컸어요. 1990년대 후반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이름이 ‘닷컴’만 붙어도 주가가 치솟았죠. 매출과 이익은 아직 나지 않는데, 끝없이 오른 주가는 결국 무너졌어요. 2008년 전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린 미국 금융위기 역시 집값에 대한 막연한 상승 기대에서 비롯된 것이었어요.

버블은 왜 반복될까요. 새로운 기술과 자산이 등장하면 사람들은 낙관적 미래를 꿈꿉니다. 꿈에 투자하는 것이죠. 꿈은 모일수록 커지고, 투자금도 자연스레 불어납니다. 공통적으로 금리가 낮을 때 투자금을 쉽게 구할 수 있었죠. 내가 빚을 내서 투자하는 게 빚을 내지 않는 것보다 이익이라는 판단이 서는 겁니다. 그러다가 누구도 알 수 없는 임계점을 넘으면 와르르 무너지는 것이지요. 단순히 해프닝이 아니라 인간의 기대와 욕심, 불안, 군중심리 등이 복합적으로 만들어내는 자연스러운 경제적 행동입니다. 반복되는 역사적 필연인 셈이죠.

버블은 그렇다면 마냥 나쁘기만 할까요. 꼭 그런 것도 아닙니다. 버블이 나타났다는 것은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과 산업에 그만큼 기대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투자 자본이 대규모로 몰리면서 새로운 인력과 기술이 쌓이죠. 예를 들어 닷컴버블이 없었더라면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초거대기업이 등장하고, 오늘날의 인터넷 생태계가 이렇게 빨리 확장되기 어려웠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미국의 철도, 전기 등도 다 비슷한 사례죠.

그렇다면 지금의 AI도 버블처럼 언젠가 터져버릴까요? 그건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한 가지 확실한 건 사람들의 꿈이 모이면 버블이 생기고, 현실이 꿈과 너무 멀어지면 버블은 붕괴해왔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과정에서 산업은 한 단계 발전해왔단 겁니다.NIE 포인트
고윤상 한국경제신문 기자
고윤상 한국경제신문 기자
1.경제적 버블은 무엇이고, 발생 원인은 무엇일까?

2.버블로 인해 큰 경제위기가 온 한 가지 사례를 들고 이유를 설명해보자

3. 버블이 가져오는 효과를 부정적·긍정적 부분으로 나눠 설명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