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농산물 가격에 숨은 비밀

    주니어 생글생글 제138호는 농산물 가격이 급등락하는 이유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농산물은 날씨에 따라 생산량이 큰 폭으로 변동한다. 반면 수요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런 특성 때문에 농산물은 다른 재화에 비해 가격이 급등락을 거듭한다는 점을 설명했다. 가격탄력성 개념에 대해서도 정리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바닷가에서 서퍼들이 신던 신발을 세계적인 부츠로 탈바꿈시킨 브라이언 스미스 어그 창업자를 소개했다.

  • 테샛으로 수능 경제 정복

    제873호 생글생글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경제 문제를 분석했다. 이번 수능 경제 과목에선 한국경제신문이 주관하는 국가 공인 경제이해력 시험 테샛 기출문제와 비슷한 문제가 다수 출제됐다. 수능 경제 문제와 비슷한 유형의 테샛 기출문제를 비교, 분석하고 풀이 방법을 설명했다. 대입 전략에서는 수능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의과대학과 주요 대학의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했다. 주요 10개 대학의 지원 가능 점수대는 인문계 245점,...

  • 커버스토리

    '수능 경제' 어렵다고?…테샛이면 정복 가능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작년보다 쉬웠다고 하지만, 탐구영역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사회탐구의 경우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등이 어렵게 출제됐는데요, 이들 과목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경제’보다 높게 나올 수 있다는군요. 과학을 피해 사회탐구를 선택한 이공계 지망 학생들이 적잖이 당황했다는 후문입니다. 그렇다면 일정한 변별력을 매년 보여주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입...

  • 대학 생글이 통신

    예비 고3, 방학이 수학 성적 올릴 마지막 기회

    지난 14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었습니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은 오랫동안 준비해온 수능을 끝내고 약간의 해방감을 맛봤을 것입니다. 반면 이제 고3이 되는 학생들은 이제부터 진짜 수험 생활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출발선에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고민하는 학생도 많을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적지 않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는 수학 공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고3 1월에 사설 인터넷 강의 수강권부터 끊는 학생이 많은데, 저는 ...

  • 경제 기타

    환율안정 위해 정부 개입…과도하면 美 제재 가능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둔 미국이 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재지정했다. 한국이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와 대미 무역흑자를 냈다는 판단에서다. 미 재무부는 14일(현지 시간) 의회에 보고한 ‘주요 교역 대상국의 거시경제 및 환율 정책’ 반기 보고서에서 한국을 포함해 중국·일본·싱가포르·대만·베트남·독일 등 7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관찰대상국에...

  • 숫자로 읽는 세상

    경제학자 "의대 정원 단계적 확대 찬성" 74%

    경제학자 대다수가 의료 개혁을 위한 의대 증원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한국경제학회는 국내 경제학자 94명을 대상으로 ‘의료개혁’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19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학회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38명 중 37명(97%)이 의대 증원에 동의했다. 응답자 중 28명(74%)은 의대 증원의 필요성에 동의하지만, 교육 현장의 상황을 고려해 일단 2000명 미만을 증원하고 단계적으로 정원을 늘리자는 의견을 냈다....

  • 시사 이슈 찬반토론

    공휴일 확대, 국가 경제에 도움될까

    공휴일 확대 여부를 두고 논란이 뜨겁다. 이번 제22대 국회 들어 여야 의원들이 앞다퉈 공휴일법 개정안을 발의하면서다. 국민의힘 나경원, 더불어민주당 윤호중·임오경 의원은 제헌절(7월 17일)을 다시 공휴일에 포함하는 개정안을 각각 대표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노동절(5월 1일)과 어버이날(5월 8일)을 공휴일로, 같은 당 추미애 의원은 임시정부 수립일인 4월 11일을 국경일과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을 냈다. 공휴일 ...

  • 생글기자

    청소년기 무리한 다이어트, 신체·정신적 악영향

    청소년기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다. 더구나 사회적으로 다이어트 열풍이 지속되면서 청소년 중에서도 무리한 체중감량을 시도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극단적 다이어트는 신체적으로는 물론 정신적으로도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성장기의 영양불균형은 두고두고 회복하기 어려운 후유증을 남길 위험이 있다. 나도 중학교 1학년 때 다이어트를 시도해 6개월 만에 10kg 이상 감량한 경험이 있다. 단기간에 체중이 빠르게 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