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명제는 단순한 문장이 아닌 수학적 사고의 출발점
명제의 개념은 무엇이며, 이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 칼럼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현 교육과정의 명제 단원에서는 명제와 조건의 뜻을 이해하고,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증명, 역과 대우에 대해 배운다. 명제는 참과 거짓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문장이나 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사과가 재배되고 있다’는 명제이지만, ‘사과는 맛있다’는 명제가 아니다....
-
경제 기타
배터리 분리막 손상 땐 양극·음극 부딪혀 열폭주
우리 주변에서 전기차는 이제 너무나 쉽게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최근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며 막대한 재산 피해를 야기했지요. 이 문제로 전기차에 대한 대중적 공포가 높아졌습니다. 전기차 화재는 주로 어떤 이유 때문에 발생하는지, 비문학 기술 관련 지문을 대비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또 전기차 화재를 이유로 규제를 강화하는 문제도 함께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배터리에 불붙는 이유 멀쩡하던 배터리가 왜 갑자기 터지듯 불붙...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임대료 상한제
[문제] A국의 정부는 주택에 대해 임대료 상한제를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관련해 나타날 현상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기> ㄱ. 규제 이후 암시장이 생겨날 수 있다. ㄴ. 임대료 상한제 시행 이후 주택 임대시장에는 초과공급이 발생한다. ㄷ. 규제 이후 임대주택에 대한 초과수요로 줄서기 현상이 나타나고 배급제가 시행될 수 있다. ① ㄴ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
-
대입전략
인문계열 내신 합격선 2·3등급대 73% 차지…'수능 최저'로 '내신 불이익' 만회하기 어려워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을 포함해 2024학년도 서울·경인권 주요 38개 대학 수시 학교 내신 합격선은 인문계열 내신 2등급대 학과가 47.2%로 가장 많고, 3등급대 25.9%, 1등급대 9.5%, 4등급대 5.9%, 5등급 이하가 1.5%로 집계됐다. 서울, 경인권에서는 2등급과 3등급대의 학교 내신 학과가 전체 1284개 학과 중 939개 학과로 73.1%를 차지했다. 자연계에서는 학교 내신 2등급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8월 19일 (857)
1. 국내 2차전지 기업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NCM 배터리’에서 N이 의미하는 것은? ① 니켈 ② 코발트 ③ 망간 ④ 리튬 2. 매년 8월 미국 캔자스시티연방은행이 주요국 경제·금융 수장 등 전문가를 초청해 와이오밍주 휴양지에서 여는 정책 심포지엄은? ① 다보스포럼 ② 잭슨홀미팅 ③ FOMC ④ 블랙프라이데이 3. 코스피지수나 코스닥지수가 전날보다 각각 8%, 15%, 20% 하락할 때마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상승 때'와 '상승할 때'의 차이
‘지방 소멸’이 국가적 화두로 떠올랐다. 저출산·고령화와 맞물려 지방의 도시들이 머지않은 장래에 사라진다는 암울한 얘기다. 고령인구는 빠르게 늘어나지만, 아이들은 태어나지 않는 지역이 많다는 뜻이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제2 도시인 부산마저 예외가 아니라는 지적이 나왔다. “영호남과 강원 지역의 농어촌 대부분이 이런 상황으로 보면 됩니다.” 한 미래전략 전문가의 지적은 지방 소멸이 국가의 명...
-
테샛 공부합시다
세계 경제 위협하는 폴리코노미 리스크
○폴리코노미(Policonomy)= 정치(politics)와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정치가 경제를 휘두르는 현상을 말한다. 정치인들이 표를 얻기 위해 각종 공약을 쏟아내면서 이에 따라 한 국가의 경제정책이 뒤흔들릴 수 있다. 포퓰리즘의 일종이다. 특히 올해는 각국에서 대통령이나 의회 선거가 많다. 미국은 국내 일자리 보호를 명분으로 높은 관세율을 부과하고, 지난 총선 한국에서는 전 국민 1인당 25만원 지원 등과 같은 보호무역주의나 ...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언어감수성을 발휘하면 좋은 관계가 시작된다
우리는 매일 수많은 말을 한다. 생각을 언어로 표현할 때 나는 얼마나 신중할까. 행여 내 말이 상대방을 기분 나쁘게 하는 건 아닐까. 이는 누구나 고민하는 부분일 것이다. <신지영 교수의 언어감수성 수업>의 저자 신지영 교수는 사람들이 “피부 좋으시네요” “동안이세요” 같은 인사를 주고받을 때 피부처럼 언어도 예민하게 가꾸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언어감수성’을 떠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