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모든 논증 추론의 출발점은 '최대·최소 정리'

    수능과 논술을 포함해 고등학교 수학 과정의 모든 증명과 정리는 ‘최대·최소 정리’를 전제로 한다. 최대·최소 정리도 엄밀한 증명이 필요하지만 고교 과정에서는 이를 자명한 사실로 받아들이고 그 바탕 위에 다른 증명이나 정리를 하나씩 쌓아간다. 건물을 지을 때 가장 바탕이 되는 초석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최대·최소 정리는 사잇값 정리와 롤의 정리, 그리고 평균값 정리로 이어...

  • 대학 생글이 통신

    국어 실력, 대학 진학 후에도 필수 역량이죠

    국어를 공부하다 보면 지문을 통해 수많은 글과 문학 작품을 마주하게 됩니다. 특히 비문학 난이도는 여전히 많은 수험생을 불안에 떨게 합니다. 국어를 공부할 때 마음가짐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 국어에 대한 마인드 대학생이 되고 나서 돌아보니 수능 국어 공부가 문해력과 어휘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 제 언어 능력도 고등학교 3학년 때 정점이었던 것 같네요. 특히 문과일수록 대학에서 교양부터 전공까지 다양한 텍스트를 읽...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00년 넘게 쓴 섭씨·화씨…태생은 외래어죠

    “텨......ㄹ썩, 텨......ㄹ썩, 텩, 쏴......아./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가,/지금까지, 없거던, 통기하고 나서 보아라,/진시황, 나팔륜, 너희들이냐,/누구누구누구냐 너희 역시 내게는 굽히도다,/나허구 겨룰 이 있건 오나라./텨......ㄹ썩, 텨......ㄹ썩, 텩, 튜르릉, 콱.” 한국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의 일부다. 육당 최남선이 1908년 잡지 <소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上善若水 (상선약수)

    ▶한자풀이 上: 윗 상 善: 좋을 선 若: 같을 약 水: 물 수 최고의 선(善)은 물과 같다 물의 성질을 이상적 경지로 삼음 - <도덕경(道德經)> 중국 철학의 두 주류는 유가(儒家)와 도가(道家)다. 공자 맹자 순자로 대표되는 유가는 인의예지(仁義禮智)가 바탕이고, 노자 장자 열자로 대표되는 도가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이 근간이다. 무위자연은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는 삶의 태도를 이른다. ...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읽거나 들은 내용을 온전히 정리할 수 있어야

    5.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조선에서 편찬자가 미상인 유서가 많았던 것은 편찬자의 개인적 목적으로 유서를 활용하려 했기 때문이다. ② 조선에서는 시문 창작, 과거 시험 등에 필요한 내용을 담은 유서가 편찬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③ 조선에서는 중국의 편찬 방식을 따르면서도 대체로 국가보다는 개인에 의해 유서가 편찬되었다. ④ 중국에서는 많은 학자를 동원하여 대규모로 편찬한 유서를 통해 왕조의 위엄을 드러내었다. ...

  • 대입전략

    의약학 417~388점 전망…서울대 의예과 417점 최고

    자연계 최상위권이 몰리는 의약학계열은 1점 차이로 대학이 갈릴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그만큼 가·나·다군별 지원전략을 치밀하게 고민해야 한다. 2023학년도 의약학계열 정시 지원점수를 분석해본다. 의대 최고 417~최저 401점 전국 의대는 39곳에 이른다. 종로학원 분석 결과 의대 정시 지원 가능 점수는 국어, 수학, 탐구(2) 표준점수 합(600점 만점) 기준으로 최고 417점(서울대)에서 최저 401점(고신대...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스타트업의 만능 문제해결사 비즈옵스

    기업의 문제를 데이터로 해결한다... 김지은 채널코퍼레이션 비즈옵스 리드 순간의 선택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한다. 그 찰나의 순간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하는지에 따라 기업은 뻗어나갈 수도 있고, 문을 닫을 수도 있다. 기업의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직무인 ‘비즈옵스(BizOps)’가 주목받고 있다. 안팎으로 수많은 문제와 직면하고 그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 고민하는 직업 비즈옵스는 경기가 호황일 때보다 불황일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簞食瓢飮 (단사표음)

    ▶한자풀이 簞: 대광주리 단 食: 밥 사 瓢: 표주박 표 飮: 마실 음 한 소쿠리의 밥과 표주박의 물 매우 소박한 생활을 비유하는 말 - <논어(論語)> 공자는 평생 3000여 명의 제자를 둔 것으로 전해진다. 공문십철(孔門十哲)은 그중 뛰어난 열 명의 제자로, 안회(顔回)·민자건(閔子騫)·염백우(伯牛)·중궁(仲弓)·재아(宰我)·자공(子貢)·염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