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학습·진로 기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새해 첫날'과 '설'은 쓰임새 달라요
‘글쎄, 해님과 달님을 삼백예순다섯 개나/공짜로 받았지 뭡니까/그 위에 수없이 많은 별빛과 새소리와 구름과/그리고/꽃과 물소리와 바람과 풀벌레 소리들은/덤으로 받았지 뭡니까//이제, 또다시 삼백예순다섯 개의/새로운 해님과 달님을 공짜로 받을 차례입니다 … (하략)’ 굳이 제목을 말하지 않아도 새해를 맞는 시인의 소박한 마음이 잘 드러난다. ‘풀꽃’으로 유명한 나태주 시인의 시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韋編三絶 (위편삼절)
▶한자풀이 韋: 가죽 위 編: 엮을 편 三: 석 삼 絶: 끊을 절 책을 묶은 가죽끈이 세 번 끊어지다 배우고자 하는 열의가 뜨거움을 비유 -<사기(史記)> 공자는 평생을 배우고 익혔다. <논어>가 시작되는 문구, ‘배우고 익히면 그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는 공자의 삶을 그대로 투영한다. 말년의 공자는 주역(周易)에 심취했다. 그는 <주역>을 읽으면서 “나는 발분(發...
-
영어 이야기
정면승부는 take the bull by the horns로 표현
Korean exporters, both big companies and smaller enterprises, are no strangers to turning crises into opportunities. In 1974, when inflation was rampant due to the first oil shock, Samsung Electronics acquired a near-bankrupt Korean chipmaker. In t...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열의 본질 - '순서'를 세다
수열은 ‘순서대로 나열된 수’를 말한다. 나열된 각각의 수에는 순서가 매겨진 항이 부여되고, 이 정보로부터 여러 가지 추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 2, 3, …, n으로 주어진 수열에서 k번째 항이 k가 된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n, n-1 ,n-2, …, 3, 2, 1로 주어진 수열에서 k번째 항을 물어본다면 약간의 논리적인 추론 과정을 거쳐야 올바른 답을 말할 수 있...
-
대입전략
총 6967명 선발…의대 3091명·약대 1948명, 경쟁관계인 SKY 자연계·과기원 등 6430명 모집
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약대 등 의약학계열은 1점 차이로 대학 수준이 달라질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지역별, 대학별 모집 규모를 꼼꼼히 점검하는 것이 우선이다. 경쟁관계에 있는 SKY 자연계 일반학과 등도 확인해야 한다. 2024학년도 의약학계열 선발 규모를 분석한다. 의대 3091명 선발…서울권 비중은 약대가 39.1%로 가장 높아 2022학년도부터 37개 약대가 학부 선발로 전환한 이후 의약학계열 모집 규모는 70...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기술과 영업 모두 통달한 직업 반도체 FAE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허정혁 필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FAE) 기술적 지식과 세일즈 마인드를 두루 갖춘 인재는 많은 기업이 바라는 인재상이다. 두 가지 역량이 서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가지는 한꺼번에 갖추기 쉽지 않은 역량이기도 하다.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직업이 주목받고 있다. 바로 필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FAE·Field Application Engineer)다. FAE는 새로운 기술의 탄생과 진보...
-
대학 생글이 통신
체력관리 하려면 규칙적인 식사·공부 습관을
체력 관리로 고민하는 학생들을 위해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저도 체력 관리에 고민이 많아 30분 정도 아침 운동(주로 산책이나 조깅)을 시도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시적인 성과는 느낄 수 없었고 이른 아침 운동으로 인한 체력 소모 때문에 오후 시간이 되면 집중력이 떨어지는 등 부작용만 커질 뿐이었습니다. 이후 운동을 하지 않았지만, 사실 한 학기 동안 운동을 하지 않아도 체력이 부족하다는 생각은 딱히 들지 않았습니다. 기초체력이 많이 부족...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언제나 발문에 집중하고 답의 이유를 생각하자
지난 시간 문제였던 아주대 2021학년도 수시 기출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생글생글 2022년 12월 19일자 16면 참조). 1번 문제는 비교 문제입니다. 비교는 대상 간 공통점이나 차이점 등에 대해 분석하고 사고하는 유형입니다. 1-1 문제는 ‘목표를 달성하는 상반된 방법’에 대해 비교하라고 하였으므로, 우선 각자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봐야 합니다. 언제나 발문에 집중하고, 답을 찾은 이유에 이유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