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경범죄' 발음이 [경범-쬐]라고?“‘경범죄’란 말이 있습니다. 사람들이 대부분 이 말을 [경범-쬐]라고 발음합니다. 심지어 방송의 뉴스 전달자들도 마찬가지고요. 하지만 이는 틀린 것입니다. [경-범죄]라고 해야지 이를 된소리로 발음할 이유가 없습니다.”문화체육관광부·한글학회가 선정한 ‘우리말 지킴이’ 김선덕 선생은 젊은 시절 한국마사회에서 아나운서로 활약한 재야의 우리말 연구자다. 우리말 발전과 육성을 위해 언중 사이에서 잘못 쓰는 우리말 실태를 꾸준히 지적하고 있다. 그가 얼마 전 사전에 잘못 올려진 발음정보를 날카롭게 꼬집었다. 한글학회에서 펴내는 ‘한글 새소식’ 524호(2016. 4월호)를 통해서다.그에 따르면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 ‘경범죄(輕犯罪)’는 우리가 잘못 알고 발음하는 대표적 사례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해 대다수 사전이 발음정보를 [경범-쬐]로 올리고 있는데 이는 틀린 것이라는 주장이다. 발음정보가 잘못 된 까닭은 이 말의 구성을 ‘경범+죄’의 결합으로 봤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하지만 이 말은 ‘경+범죄’로 풀어야 이치에 맞는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범죄의 가볍고 무거운 정도에 따라 말이 ‘경+범죄’ ‘중+범죄’로 달라진다는 게 그 근거다. 그리 보면 이를 [경범-쬐] [중범-쬐]로 발음할 까닭이 없는 셈이다(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중범죄’는 표제어로 다루지 않았다). 성(性)과 관련한 범죄를 가리키는 말 ‘성범죄’(성+범죄)를 [성-범죄]로 발음하지 이를 [성범-쬐]라 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인 셈이다.[OO-쬐]로 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세종대왕 태어나신 날“수레의 두 바퀴를 부모라 치면/ 이끌어 주시는 분 우리 선생님/ 그 수고 무엇으로 덜어드리랴(하략)…오월에도 보름 날로 날을 받아서/ 세종날을 스승의 날 삼았습니다/ 오늘 하루만이라도 걱정 안끼쳐(하략)….”‘동요의 아버지’로 불리는 윤석중 작사, 김대현 작곡의 ‘스승의 날 노래’다. 지난 5월15일은 ‘스승의 날’이었다. 그런데 이 노랫말은 우리가 익히 아는,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로 시작하는 ‘스승의 은혜’(강소천 작사, 권길상 작곡)와는 전혀 다르다. 이 날을 처음 기념하기 시작한 대한적십자사에서 애초 보급한 노래는 이 ‘스승의 날 노래’였다고 한다. 스승의 날은 대한적십자사 중앙학생협의회에서 1963년 스승의 고마움을 기념하는 사은행사를 연 데서 비롯했다. 처음에는 5월26일이었다. 대한적십자사가 국제적십자연맹에 가입한 날을 잡은 것이다. 그 뒤 스승의 날과 국제적십자연맹 가입일이 별 연관이 없어서 날짜를 지금의 5월15일로 바꿨다.이날이 스승의 날로 정해진 데는 까닭이 있다. 스승의 날 노래에 그 단서가 드러나 있다. ‘세종날을 스승의 날 삼았습니다.’ 이날이 바로 세종대왕 탄신일인 것이다.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한민족의 큰 스승으로 받들고 기린다는 의미에서 세종대왕이 태어난 날을 스승의 날로 삼았다. 그래서 한글학회를 비롯해 한글 단체들은 이날 따로 ‘세종날’ 기념행사를 연다. 올해가 탄생 619돌이다.한글이 한자에 치이고 영어에 밀려 앓고 있다는 것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누구나 우리 글자로 글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서울지하철이 되살린 '학여울'서울지하철 3호선은 경기 고양시 지축역에서 출발해 서울 강남구를 거쳐 송파구를 잇는 도시지하철도다. 1993년 10월30일 서울 양재~수서역 구간이 연장개통하면서 강남구 대치동에 ‘학여울역’이 생겼다. 지난 호에서 살핀 ‘탄천(숯내 또는 검내)’과 양재천이 만나는 지점인 이곳에 1999년 서울무역전시장(지금은 SETEC으로 이름을 바꿨다)이 들어서면서 ‘학여울’은 우리에게 더욱 친근한 말로 다가왔다.학여울은 ‘학(鶴)’과 순우리말 ‘여울’의 합성어다. ‘여울’은 ‘강이나 바다의 바닥이 얕거나 폭이 좁아 물살이 세게 흐르는 곳’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 옛날 양재천이 곡류하면서 탄천과 만나는 곳에 자연스럽게 여울이 생겼는데, 이곳에 백로가 빈번히 날아들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 ‘학여울’이다. ‘학이 노닐던 여울’이라니…. 정겹고 멋스러운 그 말 속에서 우리 조상들이 즐겼을 풍류가 고스란히 느껴진다.원래 이 지역은 대동여지도에서 ‘학탄(鶴灘)’으로 전하던 곳이다. 고유어 ‘여울’을 한자로 옮긴 게 ‘탄(灘)’이다. 예로부터 학탄으로 알려져 있던 것을 지하철 개통 때 학여울역이란 이름을 붙이면서 우리 고유어가 되살아난 셈이다.2015년 10월에는 서울지하철 2호선 ‘신천역’이 ‘잠실새내역’으로 이름을 바꿔달기로 했다. 서울시지명위원회에서 주민 민원을 수용해 결정했다. ‘새내’는 한자어 ‘신천(新川)’에 대응하는 우리 고유어다. 서울지명사전에 따르면 송파구 신천동은 이 마을의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판교고등학교는 예전 이름이 삼평고등학교였다. 2015년 4월 삼평고는 학교 이미지 제고를 위해 판교고로 교명 변경을 추진했다. 이 학교는 그동안 “4평도 안 되는 3평 학교냐”는 등 교명으로 인해 놀림 소리를 들어왔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인접한 판교동 주민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판교동에 고교가 추가 설립되면 ‘판교’라는 명칭을 써야 하는데, 다른 곳에서 이를 먼저 써서는 안 된다”는 게 요지였다. ‘판교’를 둘러싼 삼평동-판교동 주민 간 갈등은 교육청에서 삼평고의 손을 들어줘 올해 3월 교명을 판교고로 바꾸면서 일단락됐다. ‘판교(板橋)’는 시쳇말로 요즘 뜨는 지명이다. 2000년대 들어 판교신도시가 개발되고 판교테크노밸리 등이 들어서면서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곳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경기 광주군 낙생면에 속해 있던 이름 없는 작은 마을에 지나지 않았다. ‘판교’라는 지명이 우리 입에 오르내리게 된 것은 1970년 산업화의 상징인 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되면서부터다. 1972년 ‘판교나들목(판교IC)’이 개통되면서 판교는 ‘경제 대동맥’인 경부고속도로를 서울과 수도권으로 퍼져나가게 잇는 교통 요충지로 떠올랐다. ‘판교톨게이트’도 낯익은 말이 됐다. ‘판교’는 그렇게 경부고속도로의 탄생과 함께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기 시작했다. 지금의 성남시 분당구 일대다. 판교가 각광 속에 우리 곁으로 다가온 뒤안길에는 사라져간 우리말도 있다. 원래 조상 대대로 불러오던 ‘널다리’ 또는 ‘너더리’란 지명이 그것이다. 우리말과 땅 이름에 관심을 두고 전국 각지의 지명을 연구해온 배우리 선생은 “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장롱 속에 갇힌 '먹는샘물'“생수 판매를 금지하는 것은 헌법상 보장된 직업의 자유와 국민의 행복추구권(깨끗한 물을 마실 권리)을 침해한다.”1994년 3월 헌법재판소는 국내 생수산업 발전에 중대한 전환점이 되는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에 따라 그동안 불법이던 ‘생수’의 제조, 시판이 공식적으로 허용됐다. 이듬해 정부는 ‘먹는물관리법’을 제정해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했다. 시장도 본격적으로 커지기 시작했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생수 판매액은 2000년 1500억원에서 2015년 6220억원으로 늘었다.이 과정에서 우리 어법과 관련해서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 있다. 생수 시판을 법제화하면서 튀어나온 ‘먹는물’ ‘먹는샘물’이 그것이다. 이들은 특정 상표명이 아니라 보통명사로 쓰인 말이다. ‘먹는물’은 예전부터 쓰던 한자어 ‘음용수’를 고유어로 순화한 것이다. ‘먹는샘물’은 생수를 바꾼 말이다. 음용수와 생수는 사전에 올라 있는 단어지만, ‘먹는물’ ‘먹는샘물’은 아직 단어로 인정받지 못해 사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국립국어원에서 수집하는 ‘신어자료집’에 ‘먹는샘물’이 등재돼 있을 뿐이다. 2003년에 올랐으니 10년도 훨씬 더 됐다.정부에서는 상업적으로 ‘생수’란 말을 쓰지 못하게 규제한다. 자칫 “수돗물 등 다른 음용수는 ‘죽은 물’이란 말이냐”란 시비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다. 그러다 보니 ‘생수’는 시중에서 통용되는 말이지만 법적으로나 정부 방침으로나 근거가 없는 어정쩡한 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독립신문, 띄어쓰기를 말하다“우리신문이 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 샹하귀쳔이 다보게 홈이라. 또 국문을 이러케 귀졀을 떼여 쓴즉 아모라도 이신문 보기가 쉽고 신문속에 잇난 말을 자세이 알어 보게 함이라.”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사설에 나오는 대목 한 부분이다. 1896년 4월 7일 첫 호를 냈으니 지금으로부터 꼭 120년 전 글이다. 독립신문은 언론사적으로도 의미가 크지만 국어사적으로도 두 가지 점에서 큰 획을 그었다. 우리나라 신문 최초로 순 한글을 썼으며, 무엇보다 띄어쓰기를 도입했다는 점이다. 띄어쓰기를 하는 것은 ‘누구나 보기 쉽고 말을 알아보게 하기 위한 것’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라는 글쓰기 원리를 생각할 때 지금 다시 봐도 선구자적 혜안이라 할 만하다.독립신문 창간사설은 2개 면에 걸쳐 실었는데, 그중 절반을 할애해 한글 전용과 띄어쓰기 방침 등 우리말의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밝혔다. 한국 언론의 태동기인 당시에 독립신문이 이 같은 혁신적인 기사쓰기를 할 수 있었던 것은 서재필 등 창간 인사들이 우리말의 중요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개화기 우리말 문법의 초석을 놓은 국어학자 주시경 선생이 ‘언문조필’로 참여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했을 일이다.띄어쓰기는 우리 어문규범 가운데서도 비중이 매우 높은 분야다. ‘한글 맞춤법’은 모두 57개 항으로 구성돼 있는데, 그중 10개 항(41~50항)이 띄어쓰기에 관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책 한 권 분량이 될 정도로 복잡하고 방대하다. 북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검은돈'과 '눈먼 돈'의 차이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이달 초 폭로한 ‘파나마 페이퍼스’란 자료가 큰 파문으로 번지고 있다. 각국 유력인들의 조세 회피 의혹이 담겨 있어 전·현직 지도자들과 정치인, 유명인사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한다. 전 세계 언론을 달구는 관련 보도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핵심어 세 개가 있다. ‘돈세탁’ ‘비자금’ ‘검은돈’이 그것이다.이들의 공통점은 정당하지 못한 돈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것이다. 어법적으로도 같은 게 있다. 모두 합성어라는 점이다. 이 가운데 ‘검은돈’은 띄어쓰기와 관련해 주의해야 할 말이다. ‘검은 돈’ 식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검은돈’은 ‘뇌물의 성격을 띠거나 그 밖의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주고받는 돈’을 이르는 단어다. 애초에는 ‘검은 돈’으로 띄어 쓰던 것인데, 오랫동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특정한 의미로 쓰여 하나의 단어로 재탄생했다.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1980년대 중반부터 간간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글말에서 쓴 지 벌써 30여년이 됐음을 알 수 있다.‘검은손’도 비슷한 과정을 거친 말이다. 이는 ‘속셈이 음흉한 손길, 행동, 힘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한자어로는 ‘마수(魔手)’다. ‘검은손’이나 ‘검은돈’은 ‘검다(黑)’란 의미를 벗어나 단어가 된 말이다. 따라서 띄어 써서는 안 되며 항상 붙여 써야 한다. 수사적으로는 전의(轉義)에 해당하며 구체적으로는 환유 또는 은유를 거친 단어다.이처럼 둘 이상의 낱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잊지 말자 '구K-1'2009년 1월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미디어법 등 쟁점 법안을 놓고 야당이 국회를 점거한 채 여야 대치상황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날 새벽 국회사무처는 농성 중이던 야당 의원과 당직자 등을 강제로 끌어내기 위해 경위 30여명을 전격 투입했다. 농성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야당 측은 다양한 ‘폭력 기술’을 선보이며 저항했다. 육탄돌격과 멱살잡이는 초보적인 기본기였다. 목조르기를 비롯해 안면 강타, 헤드록 등 현란한 격투기 기술이 등장했다. 그중 압권은 분을 못 이긴 한 의원이 국회 사무총장을 찾아가 탁자 위로 날아오르며 이단옆차기를 시도한 것이었다. 이른바 ‘공중부양 사건’의 전말이다.국회 폭력은 이미 그 전부터 쇠사슬과 전기톱이 동원됐는가 하면 해머가 등장하고 나중엔 최루탄이 터지는 등 ‘조폭 수준’을 능가할 정도였다. 이즈음을 전후해 우리 네티즌은 폭력 국회의원들을 발음이 비슷한 ‘구K-1’이란 말로 빗대 인터넷에서 활발하게 퍼 날랐다. 이 말은 ‘국케이원, 구케이원, 국K-1, 국K1’ 등 조금씩 다른 형태로 전파됐는데 모두 당시 한창 인기를 끌던 이종격투기 ‘K-1’에서 따온 것이다. ‘나라 국(國)’에 K-1을 합성해 싸움질만 하는 국회의원을 비꼰 조어다.‘국K-1’은 수사학적으로는 일종의 동음이의어(칼랑부르) 수법에 의한 말장난이다. 언론에서 만들어 쓴 ‘弗難집’(불난집: 외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빗댄 말), ‘雪雪기다’(설설기다: 눈이 많이 와 교통대란이 일어난 상황), ‘연봉錢爭’, ‘외국錢力&rs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