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쓰고 또 쓰고, 고치고 또 고쳐라“훌륭한 글을 지으려면 먼저 뜻을 얽고, 말을 다듬고, 말과 뜻이 서로 넘치지 않게 해야 한다. 글은 소리가 울려 아름다운 리듬이 있어야 한다. 또 많이 짓는 것은 많이 고치는 것만 못하고 많이 고치는 것은 많이 지워버리는 것만 못하다.”창강 김택영, 매천 황현과 함께 구한말의 3대 문장가로 꼽히던 이건창(1852~1898)이 전하는 문장론이다. 그는 김택영이 고려, 조선시대를 걸쳐 꼽은 문장가 9인(麗韓九家·여한구가) 가운데 한 명으로, 당대의 대문장가였다.(이건창, 《조선의 마지막 문장》, 송희준 역, 글항아리)예나 지금이나 글쓰기에 왕도는 없는 것 같다. 있다면 오로지 쓰고 또 쓰고, 고치고 또 고치는 것이다. 처음엔 대개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할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태반일 것이다.그렇다고 낙담할 필요는 없다. 글쓰기 능력은 후천적 노력에 따라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1%의 타고난 문재(文才)를 예외로 치면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글을 쓸 수 있다.우선 남의 글을 읽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이때 남의 글을 읽되 어색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면서 읽는 게 요령이다. ‘나라면 이렇게 쓸 텐데’ 하고 바꿔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글쓰기의 오류들이 눈에 들어오고 그것이 체계적으로 몸에 익으면 그게 곧 자신의 글쓰기 능력이 된다.모든 글은 ‘내용물’과 ‘형식’의 결합으로 이뤄진다. 내용물이란 글에 담길 정보(아이디어)를 말한다. 형식은 이 내용물을 담는 틀이다. 글쓰기에 앞서 ‘무엇을 담을까’를 궁리한다면 그것은 글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