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냄비’에 담긴 우리말 열쇠 두 개지난해 우리는 어려운 경기 속에서도 ‘구세군 자선냄비’ 등 기부문화 확산으로 훈훈한 세밑을 보냈다. 대한구세군자선냄비본부는 며칠 전 2015년 12월 한 달간 거둔 성금액이 71억원을 넘겨 역대 최고 모금액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미국에서 시작한 구세군 자선냄비는 우리나라에 1928년 처음 등장했다. 당시에는 나무 막대기로 만든 지지대에 가마솥을 매단 형태였다고 한다. 세월이 흐르면서 자선냄비도 진화했다. 2004년 독일 프리미엄 주방용품회사인 휘슬러코리아에서 기증한 철제 자선냄비로 교체되더니, 2006년엔 신용카드로 기부할 수 있는 ‘디지털 자선냄비’가 등장했다. 최첨단 정보기술(IT)로 무장한 냄비인 셈이다. 2015년엔 한 번 더 발전해 터치스크린 방식의 ‘스마트 자선냄비’, 모바일 앱(응용프로그램) ‘자선냄비 따끈이’ 등이 선보였다.일상에서 흔히 보는 ‘냄비’에도 우리말의 진화 모습이 담겨 있다. 하나는 ‘이’모음 역행동화 현상이고, 다른 하나는 ‘귀화어’ 흔적이다. 냄비는 순우리말인 것처럼 보이지만 일본말 ‘나베(なべ·鍋)’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과거에 오랫동안 ‘남비’가 표준어였던 까닭도 이 말이 ‘나베’에서 형태를 바꾼 것이기 때문이다. 1989년 새로운 표준어사정 원칙이 나오면서 ‘냄비’를 표준으로 했다.‘남비’가 ‘냄비’로 바뀐 것은 ‘이’모음 역행동화 때문이다. 이는 쉽게 말하면 뒤에 있는 ‘이’모음의 영향을 받아 앞 음절 발음에 ‘이’음이 첨가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X마스’에 얽힌 비밀“스타벅스가 크리스마스를 지내지 않기로 한 것 아니냐. 내가 대통령이 되면 크리스마스를 확실히 복원시키겠다.”미국의 대통령선거 후보 경선전이 성탄절을 앞두고 ‘크리스마스 컵 논란’으로 불똥이 튀었다. 유명 커피 체인점인 스타벅스는 연말이 되면 눈사람, 별, 썰매 등 무늬가 새겨진 컵으로 성탄절 분위기를 띄웠다. 그런데 올해는 이들 문양을 모두 빼고 컵 색깔만 빨갛게 하기로 한 게 발단이 됐다.‘막말 공세’로 비난과 지지를 동시에 받고 있는 공화당 경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이를 놓치지 않고 스타벅스에 시비를 걸고 나섰다. 그 배경에는 프로테스탄트 국가인 미국에서 기독교인들의 ‘표심(票心)’을 결집하려는 노림수가 있었을 것이다. 얼마 전 국내 통신사 연합뉴스는 미국에서 최근 몇 년 사이 종교색 등을 이유로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예전보다 많이 가라앉았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보수 성향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반발이 일자 트럼프가 그 틈새를 파고든 것이라는 설명이다.언어는 사용하는 사람의 이해관계에 따라 은폐와 왜곡이 담길 때 이데올로기가 된다. 트럼프의 발언에서도 크리스마스를 둘러싼 ‘언어 이데올로기’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크리스마스를 뜻하는 또 하나의 말인 ‘X마스’에는 그런 역사의 흔적이 오래됐다. 그 이면을 보려면 ‘X마스’의 정체부터 살펴야 한다.‘크리스마스(Christmas)’는 누구나 알고 있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일, 즉 성탄절이다. 영어로 ‘그리스도(Christ)의 미사(mas)’란 의미를 담은 합성어다. ‘X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KS 인증’ 받은 장례용어들“망자, 망인, 사자, 고인 등이 함께 쓰이고 있는데, 이 가운데 ‘고인’을 표준용어로 삼는다.”“조문은 쓰지 말고 ‘문상’을 표준으로 한다.”“상제나 주상은 버리고 ‘상주’를 표준용어로 한다.”2003년 1월 정부에서 장례식장 표준용어 제정에 나섰다. 국어정책을 책임지는 문화체육관광부도, 우리말 실태를 조사하고 표준을 정하는 국립국어원도 아니었다. 표준 장례용어를 발표한 곳은 국가기술표준원이었다.기술표준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관으로 국가 산업규격을 관장하는 곳이다. 2000년대 들어 장례산업 규모가 급속히 커지자 이용자 편의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장례용어의 KS(Korean Standard)를 정한 것이었다. 일제 이후 왜곡된 의례(儀禮)의 본래 의미를 되찾는다는 명분도 더해졌다. 부음을 ‘부고’로 바꾸고 방명록을 ‘부의록’으로, 영안실을 ‘안치실’로 쓰도록 한 게 그런 사례들이다.하지만 ‘말글 시장’에선 정부가 표준을 정한다고 해서 곧바로 실생활에 뿌리내리는 것은 아니다. 언어에는 강제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언중이 망자나 망인, 사자 같은 말보다 ‘고인’을 더 많이 쓰는 것은 그 말이 돌아가신 이를 높여 부르는 표현으로 적합하기 때문이다. 자연스레 언중에 의해 쓰임새가 커졌다.그러나 조문과 문상의 관계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정부에서 KS를 정할 당시 조문(弔問)은 ‘일본식 표기며 문의를 애도한다는 뜻이 돼 엉뚱한 의미’란 점을 들어 ‘문상(問喪)’을 쓰도록 권장했다. 하지만 언중은 문상보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쓰고 또 쓰고, 고치고 또 고쳐라“훌륭한 글을 지으려면 먼저 뜻을 얽고, 말을 다듬고, 말과 뜻이 서로 넘치지 않게 해야 한다. 글은 소리가 울려 아름다운 리듬이 있어야 한다. 또 많이 짓는 것은 많이 고치는 것만 못하고 많이 고치는 것은 많이 지워버리는 것만 못하다.”창강 김택영, 매천 황현과 함께 구한말의 3대 문장가로 꼽히던 이건창(1852~1898)이 전하는 문장론이다. 그는 김택영이 고려, 조선시대를 걸쳐 꼽은 문장가 9인(麗韓九家·여한구가) 가운데 한 명으로, 당대의 대문장가였다.(이건창, 《조선의 마지막 문장》, 송희준 역, 글항아리)예나 지금이나 글쓰기에 왕도는 없는 것 같다. 있다면 오로지 쓰고 또 쓰고, 고치고 또 고치는 것이다. 처음엔 대개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할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태반일 것이다.그렇다고 낙담할 필요는 없다. 글쓰기 능력은 후천적 노력에 따라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1%의 타고난 문재(文才)를 예외로 치면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글을 쓸 수 있다.우선 남의 글을 읽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이때 남의 글을 읽되 어색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면서 읽는 게 요령이다. ‘나라면 이렇게 쓸 텐데’ 하고 바꿔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글쓰기의 오류들이 눈에 들어오고 그것이 체계적으로 몸에 익으면 그게 곧 자신의 글쓰기 능력이 된다.모든 글은 ‘내용물’과 ‘형식’의 결합으로 이뤄진다. 내용물이란 글에 담길 정보(아이디어)를 말한다. 형식은 이 내용물을 담는 틀이다. 글쓰기에 앞서 ‘무엇을 담을까’를 궁리한다면 그것은 글의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