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15) - '소리적기'와 '형태적기'한글맞춤법은 ‘우리말을 쓸 때 이렇게 통일해 적자’는 약속이다. 명칭은 법이지만 국회에서 통과된, 강제력을 띠는 법률(law)은 아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고시하는 일종의 사회적 규칙(rule)이다.한글맞춤법은 모두 57개 항으로 돼 있다. 항목은 많지 않지만 세부적인 내용으로 들어가면 분량이 만만치 않다. 항마다 붙임과 단서 조항이 있다. 게다가 부록으로 문장부호 용법까지 포함하고 있어 웬만한 책 한 권 분량이다. 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큰 줄기를 이루는 원칙이 있다.맞춤법을 규정하는 기본정신은 총칙 제1항에 담겨 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소리대로 적되, ②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게 골자다. 한글맞춤법의 비밀을 푸는 두 열쇠인 셈이다. 하지만 이 말을 글자 그대로 이해하려고 해서는 의미 파악이 쉽지 않다.우선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는 말은 곧 말을 발음 나는 대로 적는다는 뜻이다. 이른바 ‘소리적기’ 원칙이다. 가령 구름이나 바람, 하늘, 나타나다, 예쁘다 따위의 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으면 된다. 이를 음소주의라고 한다.‘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은 형태소의 본 모양을 밝혀 적는다는 뜻이다. 이는 ‘형태적기’를 말한다. 우리말은 소리 나는 대로만 적을 수 없는 것이 많다. ‘바람’에 조사가 붙으면 [바라미, 바라믈, 바라메, …] 등으로 발음이 흘러내린다. ‘꽃’은 [꼬치, 꼬츨, 꼬체]로 바뀌고 합성어에서는 [꼰나무(꽃나무), 꼰노리(꽃놀이), 꼰망울(꽃망울)] 등으로 발음이 변형된다. 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14) - 'ㅂ'받침 용언의 다양한 변신가)고맙게, 고맙고, 고맙지만, 고맙네, 고맙더라도, 고맙기도….나)고마워, 고마운데, 고마우니, 고마웠던, 고마워하기는커녕….우리말은 교착어다. 교착어란 ①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 또는 어간에 ②문법적인 기능을 가진 요소가 차례로 결합해 말을 만드는 언어 유형을 말한다. 여기서 ‘교착’은 단단히 달라붙는 것을 뜻한다. 쉽게 말하면 단어의 어간이나 어근에 각종 어미 또는 조사 따위가 붙어 말을 이어가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말은 어미 활용이 변화무쌍하고 수많은 조사가 발달했다고 말한다. 한국어ㆍ터키어ㆍ일본어ㆍ핀란드어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우리말의 동사나 형용사는 어간에 여러 개의 어미가 붙어 다양한 의미의 변화를 주는데 이를 ‘활용’이라 한다. 활용할 때 보통 어간은 변하지 않는데 이를 규칙활용이라 하고 어간의 형태가 함께 변하는 것을 불규칙 활용이라 한다.‘고맙다, 아름답다, 차갑다, 괴롭다, 춥다, 무겁다, 서럽다...’ 등과 같이 어간이 ‘ㅂ’받침으로 끝나는 말의 대부분은 ‘ㅂ’불규칙 용언이다. 이들은 활용할 때 어간에 있는 받침 ‘ㅂ’이 불규칙적으로 변한다. 가)와 나)에 보이는 기본형 ‘고맙다’의 다양한 변형을 보면 금세 알 수 있다.(맞춤법 제18항 규정이다. 어간과 어미의 활용 규칙에 대한 것으로, ‘용언의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는 내용이다.)그런데 가)와 나)를 보면 활용의 형태에서 서로 다른 게 눈에 띈다. 가)는 어간(‘고맙’)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데 비해 나)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13) - '쌍룡'인가 '쌍용'인가“고얀 녀석이로군.” “괘씸한 년 같으니….” “땡전 한 닢 없다.”일상에서 흔히 말하고 듣는 문장이다. 그런데 여기 쓰인 ‘녀석’ ‘년’ ‘닢’ 같은 말은 지금까지 익힌 두음법칙의 기준으로 보면 맞지 않는 표기다. 두음법칙은 한자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고유어 중에서도 ‘녀석’ ‘년’ ‘닢’ 등 일부 의존 명사는 한글맞춤법에서 그 표기를 따로 예시했다. 이들은 사람들이 자주 표기를 헷갈리는 사례인데, 두음법칙과 상관없이 표기를 고정시켰다.한자어 의존 명사 중에는 ‘량(輛), 리(理, 里)’ 등을 두음법칙과 관계없이 본음대로 적는다. 예외인 셈이다. 이에 따라 ‘객차 오십 량(輛)’ ‘그럴 리(理)가 없다’ ‘천 리(里) 길도 한걸음부터’처럼 적는다.‘쌍룡(雙龍)’과 ‘쌍용’도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표기다. 단어 첫머리 이외의 경우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본음대로 적으면 된다. ‘쌍룡’이 맞는 표기다. 다만, 쌍용자동차와 쌍용양회 등 고유명사로 쓸 때는 고유한 대로 적는다. 이 역시 예외에 해당한다.‘속음’에 관해서도 알아둬야 한다. 한자어 중에는 속음으로 읽히는 말이 있다. 가령 ‘토론’과 ‘의논’에는 모두 한자 ‘論’이 쓰였다. 똑같은 음운환경이지만 하나는 ‘론’이고 다른 하나는 ‘논’으로 적는다. 왜 그럴까? ‘의논’에서는 속음으로 읽기 때문이다. ‘속음’이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습관음으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rs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⑫ - 청녹두와 청록색한자로 ‘冷’은 ‘찰 랭’ 자다. 이 말이 우리말 안에서 무수한 단어를 생성해냈다. ‘냉동, 냉방, 냉수, 냉혹하다’를 비롯해 ‘고랭지, 공랭식, 한랭전선, 보랭 효과’ 등 셀 수 없이 많다. 두 부류는 표기에서 ‘랭’과 ‘냉’으로 갈린다. 어디에 있느냐에 따른 차이다. 두음법칙, 즉 단어 첫머리에서 ‘ㄹ’을 피하는 것이다. 하지만 둘째 음절에서부터는 본음대로 적으면 된다.대부분의 모국어 화자는 따로 두음법칙을 배우지 않아도 단어 첫머리에 오는 말을 틀리지 않게 적을 수 있다. 그러나 고랭지 등 첫머리가 아닌 경우는 헷갈려할 때가 많다. ‘고랭지 재배’와 ‘고냉지 재배(×)’, ‘공랭식’과 ‘공냉식(×)’, ‘한랭전선’과 ‘한냉전선(×)’, ‘보랭 효과’와 ‘보냉 효과(×)’. 이런 말들이 뒤의 것이 틀렸음을 분별할 수 있고 왜 잘못됐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면 두음법칙의 절반은 이해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말들을 까다롭게 하는 것은 대부분 ‘글자의 결합을 어떻게 가르느냐’에 따라 해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청녹두(靑綠豆)’와 ‘청록색(靑綠色)’에 쓰인 ‘녹’과 ‘록’은 모두 한자 ‘綠’을 표기한 것이다. 대개는 ‘청녹두’를 ‘청록두’로 쓰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청록색’은 ‘청녹색’으로 적는 이가 의외로 많다. 같은 위치, 같은 한자인데 어떤 경우는 ‘녹’이고 다른 경우는 ‘록’으로 적는다. 왜 그럴까. 비밀의 열쇠는 &ls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⑪ - '님'과 '임'의 구별지난 호에서 두음법칙의 개념과 용법을 어느 정도 익혔다면 이제 각각의 단어들에 응용해 보자. 두음법칙을 풀어내는 요령은 ‘단어 간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복합어에서는 각각의 단어별로 두음법칙을 적용한다는 것이 핵심이다.예를 들어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보자. 이 말은 ‘전국+경제인+연합회’로 구성돼 있다.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부분은 ‘연합회’이다. 말에도 경제원리가 작용해 이처럼 긴 말은 줄여 쓰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준말은 어떻게 될까.준말은 보통 머리글자를 따서 만드는데, 이때 ‘전경연’으로 할지, ‘전경련’으로 할지가 문제다. 준말에서는 각각의 음절이 독립된 단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때는 준말 전체를 하나의 단어로 보고 두음법칙을 적용하면 된다. 그러니 ‘전경련’이 맞는 표기다. 마찬가지로 대한교육연합회는 정식 명칭이고, 이를 줄일 때는 대한교련으로 적는다.두음법칙은 간단히 말하면 ‘단어 첫머리에 ㄴ, ㄹ이 오는 것을 피한다’는 규정이다. 이를 충실히 익힌 사람이라면 ‘금 한 냥, 은 두 냥쭝, 십 년’ 같은 표현에 의문을 갖는 것이 정상이다. 이들은 왜 단어 첫머리에 ‘ㄴ’이 오는 것을 허용했을까?이는 의존명사인 ‘냥(←兩), 냥쭝(←兩-), 년(年)’ 등이 독립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큰 틀에서 보면 이 역시 두음법칙을 적용하는 원리에서 벗어나는 게 아니다. 의존명사는 그 앞의 말과 연결돼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는 것이므로,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소리 나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⑩ - '연륙교'는 육교가 아니다두음법칙은 간단히 말하면 ‘단어 첫머리에 ㄴ, ㄹ이 오는 것을 피한다’는 규정이다. 모국어 화자라면 ‘여자’를 ‘녀자’라고 하지 않듯이, 대부분 따로 배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말하고 적을 수 있다.하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까다로워진다. 우선 지난 호에서 두음법칙은 한자어에서만 적용하는 규정이라고 했는데, 바로 이 부분에서 어려움이 생긴다. 한자와 함께 본음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한자 의식이 약해진 요즘 세대에서는 더할 것이다. 흔히 볼 수 있는 예문 몇 가지를 통해 이를 살펴보자.①최후를 (장렬/장열)하게 마치다. ②포탄이 (작렬/작열)하다. ③태양이 (작렬/작열)하다.이런 유형의 단어는 무수히 많다. 그 많은 단어를 일일이 외울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해법은 무얼까. 우선 세 문장에 나오는 괄호 안 단어들은 소리로는 구별이 안 된다. 세 단어 모두 [장녈]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일단 두음법칙에서 ‘렬’의 규정을 상기해 보자. <모음이나 ㄴ받침 뒤>에선 ‘열’, 그 외에는 본음인 ‘렬’이다. 이 원칙을 적용하면 단어 표기를 모를지라도 ①‘장렬’ ②‘작렬’이 맞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③에서는 달라진다. ‘작렬’이 아니라 ‘작열(灼熱)’이다. 장렬(壯烈)과 작렬(炸裂)에서는 본음이 ‘렬’이지만 작열의 ‘熱’은 본음이 ‘열’이기 때문이다. 이쯤 되면 골치가 좀 아프겠지만 어쩔 수 없다. 우리말을 정확히 구사하고 이해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둬야 한다.17세기 영국의 시인 존 밀턴이 지은 서사시 ‘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⑨ - 성공'률'과 실패'율'의 구별두음법칙은 우리 맞춤법에서 사이시옷 규정과 함께 양대 난제 중 하나다. 두음법칙이란 말 그대로 단어의 첫머리에서 일부 소리를 피하는 현상이다. 규정 자체가 복잡한 데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다. 규정부터 살펴보자. 두음법칙은 한글맞춤법 57개항 가운데 제3장 ‘소리에 관한 것’으로, 제10항, 11항, 12항에 들어 있다. ①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②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③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누, 느’로 적는다.이 규정은 외우기도 힘들뿐더러 실제 글쓰기에서 적용하기란 쉽지 않다. 요령이 있다. 우선 두음법칙은 우리말의 한자어에서만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두자. 둘째, ‘단어 첫머리에 ㄴ, ㄹ이 오는 것을 피한다’는 게 핵심이다. 예를 들면 한자어 ‘녀자(女子)’는 ‘여자’로, ‘래일(來日)’은 ‘내일’로, ‘렬차(列車)’는 ‘열차’로 적는 것이다.(ㄴ→ㅇ으로, ㄹ→ㅇ 또는 ㄴ으로 바꾼다)뒤집어 말하면 단어의 첫머리 이외에서는 한자의 본음대로 적는다는 뜻이다. ‘개량(改良), 협력(協力), 급류(急流), 혼례(婚禮)’ 같은 게 그런 사례다. 이런 것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우리말을 써온 사람이라면 잘못 적는 경우가 없을 터이므로 따로 익힐 필요도 없다.그런데 &ls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이’모음 역행동화는 한마디로 뒤에 있는 ‘이’모음의 영향으로 앞음절에 ‘이’음이 첨가되는 현상이다. 수많은 단어를 일일이 외울 필요는 없다. 원칙을 알고 나면 나머지는 응용해 쓰면 된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우리말에서 ‘이’모음 역행동화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를 다른 말들에 적용해 보자. 아무것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은? ‘무지렁이’일까, ‘무지랭이’일까? 이 밖에도 헷갈리는 게 꽤 많다. 아기와 애기를 비롯해 오라비와 오래비, 가자미와 가재미, 노랑이와 노랭이, 쓰르라미와 쓰르래미, 창피하다와 챙피하다 따위는 사람에 따라 유난히 헷갈리는 단어들이다. ‘이’모음 역행동화를 이해했다면 설령 이들의 정확한 표기를 몰랐다고 해도 맞는 말을 찾아 쓸 수 있다. ‘이’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나기 전의 형태가 표준이다. 그러니 모두 앞의 말을 고르면 틀림이 없다. 다만 예외는 따로 알아둬야 한다. 접미사로 쓰이는 ‘-내기’와 ‘남비’ ‘동댕이치다’는 이미 굳어진 말로 보아 ‘이’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형태를 표준으로 삼았다. 여기에 접미사인 ‘-쟁이/-장이’를 구별해 쓸 수 있으면 된다. 우선 ‘-내기’는 본래 어형이 ‘-나기’였으나 사람들이 ‘풋나기’ 등을 오히려 어색해하므로 ‘-나기’를 버리고 ‘-내기’로 통일했다. 예컨대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 풋내기’라 적는 게 맞고 ‘-나기’라고 하지 않는다. ‘냄비’와 ‘동댕이치다’는 본래 ‘남비’ ‘동당이치다’로 적던 것이었으나 1988년 새로운 표준어사정 원칙이 나오면서 ‘냄비’ ‘동댕이치다’로 바꿔 적기로 했다. 사람들의 발음이 이미 그리 굳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