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장롱 속에 갇힌 '먹는샘물'“생수 판매를 금지하는 것은 헌법상 보장된 직업의 자유와 국민의 행복추구권(깨끗한 물을 마실 권리)을 침해한다.”1994년 3월 헌법재판소는 국내 생수산업 발전에 중대한 전환점이 되는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에 따라 그동안 불법이던 ‘생수’의 제조, 시판이 공식적으로 허용됐다. 이듬해 정부는 ‘먹는물관리법’을 제정해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했다. 시장도 본격적으로 커지기 시작했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생수 판매액은 2000년 1500억원에서 2015년 6220억원으로 늘었다.이 과정에서 우리 어법과 관련해서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 있다. 생수 시판을 법제화하면서 튀어나온 ‘먹는물’ ‘먹는샘물’이 그것이다. 이들은 특정 상표명이 아니라 보통명사로 쓰인 말이다. ‘먹는물’은 예전부터 쓰던 한자어 ‘음용수’를 고유어로 순화한 것이다. ‘먹는샘물’은 생수를 바꾼 말이다. 음용수와 생수는 사전에 올라 있는 단어지만, ‘먹는물’ ‘먹는샘물’은 아직 단어로 인정받지 못해 사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국립국어원에서 수집하는 ‘신어자료집’에 ‘먹는샘물’이 등재돼 있을 뿐이다. 2003년에 올랐으니 10년도 훨씬 더 됐다.정부에서는 상업적으로 ‘생수’란 말을 쓰지 못하게 규제한다. 자칫 “수돗물 등 다른 음용수는 ‘죽은 물’이란 말이냐”란 시비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다. 그러다 보니 ‘생수’는 시중에서 통용되는 말이지만 법적으로나 정부 방침으로나 근거가 없는 어정쩡한 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독립신문, 띄어쓰기를 말하다“우리신문이 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 샹하귀쳔이 다보게 홈이라. 또 국문을 이러케 귀졀을 떼여 쓴즉 아모라도 이신문 보기가 쉽고 신문속에 잇난 말을 자세이 알어 보게 함이라.”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사설에 나오는 대목 한 부분이다. 1896년 4월 7일 첫 호를 냈으니 지금으로부터 꼭 120년 전 글이다. 독립신문은 언론사적으로도 의미가 크지만 국어사적으로도 두 가지 점에서 큰 획을 그었다. 우리나라 신문 최초로 순 한글을 썼으며, 무엇보다 띄어쓰기를 도입했다는 점이다. 띄어쓰기를 하는 것은 ‘누구나 보기 쉽고 말을 알아보게 하기 위한 것’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라는 글쓰기 원리를 생각할 때 지금 다시 봐도 선구자적 혜안이라 할 만하다.독립신문 창간사설은 2개 면에 걸쳐 실었는데, 그중 절반을 할애해 한글 전용과 띄어쓰기 방침 등 우리말의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밝혔다. 한국 언론의 태동기인 당시에 독립신문이 이 같은 혁신적인 기사쓰기를 할 수 있었던 것은 서재필 등 창간 인사들이 우리말의 중요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개화기 우리말 문법의 초석을 놓은 국어학자 주시경 선생이 ‘언문조필’로 참여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했을 일이다.띄어쓰기는 우리 어문규범 가운데서도 비중이 매우 높은 분야다. ‘한글 맞춤법’은 모두 57개 항으로 구성돼 있는데, 그중 10개 항(41~50항)이 띄어쓰기에 관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책 한 권 분량이 될 정도로 복잡하고 방대하다. 북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검은돈'과 '눈먼 돈'의 차이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이달 초 폭로한 ‘파나마 페이퍼스’란 자료가 큰 파문으로 번지고 있다. 각국 유력인들의 조세 회피 의혹이 담겨 있어 전·현직 지도자들과 정치인, 유명인사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한다. 전 세계 언론을 달구는 관련 보도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핵심어 세 개가 있다. ‘돈세탁’ ‘비자금’ ‘검은돈’이 그것이다.이들의 공통점은 정당하지 못한 돈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것이다. 어법적으로도 같은 게 있다. 모두 합성어라는 점이다. 이 가운데 ‘검은돈’은 띄어쓰기와 관련해 주의해야 할 말이다. ‘검은 돈’ 식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검은돈’은 ‘뇌물의 성격을 띠거나 그 밖의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주고받는 돈’을 이르는 단어다. 애초에는 ‘검은 돈’으로 띄어 쓰던 것인데, 오랫동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특정한 의미로 쓰여 하나의 단어로 재탄생했다.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1980년대 중반부터 간간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글말에서 쓴 지 벌써 30여년이 됐음을 알 수 있다.‘검은손’도 비슷한 과정을 거친 말이다. 이는 ‘속셈이 음흉한 손길, 행동, 힘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한자어로는 ‘마수(魔手)’다. ‘검은손’이나 ‘검은돈’은 ‘검다(黑)’란 의미를 벗어나 단어가 된 말이다. 따라서 띄어 써서는 안 되며 항상 붙여 써야 한다. 수사적으로는 전의(轉義)에 해당하며 구체적으로는 환유 또는 은유를 거친 단어다.이처럼 둘 이상의 낱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잊지 말자 '구K-1'2009년 1월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미디어법 등 쟁점 법안을 놓고 야당이 국회를 점거한 채 여야 대치상황이 계속되고 있었다. 이날 새벽 국회사무처는 농성 중이던 야당 의원과 당직자 등을 강제로 끌어내기 위해 경위 30여명을 전격 투입했다. 농성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야당 측은 다양한 ‘폭력 기술’을 선보이며 저항했다. 육탄돌격과 멱살잡이는 초보적인 기본기였다. 목조르기를 비롯해 안면 강타, 헤드록 등 현란한 격투기 기술이 등장했다. 그중 압권은 분을 못 이긴 한 의원이 국회 사무총장을 찾아가 탁자 위로 날아오르며 이단옆차기를 시도한 것이었다. 이른바 ‘공중부양 사건’의 전말이다.국회 폭력은 이미 그 전부터 쇠사슬과 전기톱이 동원됐는가 하면 해머가 등장하고 나중엔 최루탄이 터지는 등 ‘조폭 수준’을 능가할 정도였다. 이즈음을 전후해 우리 네티즌은 폭력 국회의원들을 발음이 비슷한 ‘구K-1’이란 말로 빗대 인터넷에서 활발하게 퍼 날랐다. 이 말은 ‘국케이원, 구케이원, 국K-1, 국K1’ 등 조금씩 다른 형태로 전파됐는데 모두 당시 한창 인기를 끌던 이종격투기 ‘K-1’에서 따온 것이다. ‘나라 국(國)’에 K-1을 합성해 싸움질만 하는 국회의원을 비꼰 조어다.‘국K-1’은 수사학적으로는 일종의 동음이의어(칼랑부르) 수법에 의한 말장난이다. 언론에서 만들어 쓴 ‘弗難집’(불난집: 외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빗댄 말), ‘雪雪기다’(설설기다: 눈이 많이 와 교통대란이 일어난 상황), ‘연봉錢爭’, ‘외국錢力&rsquo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우리 사회를 떠도는 정체불명의 말들 (2)지난 2월 청년 실업률이 12.5%를 기록했다고 통계청이 발표했다. 1999년 실업자 기준을 바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우리 사회에 ‘최악의 청년 실업난’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청년 실업난 심각하다’ ‘청년실업난 해소, 전문대학에 답 있다’ ‘실업난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다’….그런데 여기에는 옥에 티가 하나 있다. ‘실업난’이 그것이다. 우리말을 병들게 하는 비논리적 표현이기 때문이다.‘-난(難)’은 명사 아래 붙어 ‘어려운 형편이나 처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식량난, 전력난, 구인난 등처럼 무언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어려움에 처해 있음을 나타낸다. ‘-난’ 앞에는 구체적인 어려움의 대상이 온다. 식량이 부족하면 식량난, 전력이 부족하면 전력난이다. 사람을 구하는 게 어려우면 ‘구인난’이다. ‘인력난’이란 말도 쓰는데 이는 좀 더 넓은 의미다. 반대로 직장을 구하기 어렵다면 ‘구직난’이다. 이를 달리 취직이 어렵다는 의미로 ‘취직난’ 또는 ‘취업난’이라 해도 된다.이들은 모두 결합이 가능한 표현이다. 그런데 ‘실업+난’은 좀 이상하다. 실업이란 ‘일자리를 잃거나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한 상태’를 말하는 것이라, 그 자체로는 ‘-난’과 결합하기 어렵다. 의미적으로 공기(共起)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구직난’ 또는 ‘취업난’이라 해야 할 것을 잘못 쓴 것이다. 굳이 ‘실업’을 살리고 싶다면 ‘실업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우리 사회를 떠도는 정체불명의 말들 (1)“한우고기가 수입산 소고기보다 맛을 좋게 하는 물질 함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소고기 맛을 결정하는 물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한우고기가 수입산보다 단맛과 감칠맛을 좌우하는 성분이 많고 신맛과 쓴맛을 내는 성분은 적었다고 밝혔다.”최근 농촌진흥청에서 한우고기의 품질 우수성을 입증한 보도자료를 하나 냈다. 국내 소고기 시장 개방으로 늘어난 수입 제품과 국내산 한우고기의 맛과 품질 차이를 처음 객관적으로 밝힌 것이기에 여러 언론에서 이 자료를 비중 있게 보도했다. 하지만 우리말 관점에서는 치명적인 오류를 안고 있는, 부실한 자료였다. ‘수입산’이란 정체불명의 말을 사용했기 때문이다.‘우리 농산물이 수입산보다 좋은 이유’ ‘값비싼 수입산 새우’ ‘국산 대 수입산 맥주 전쟁’…. 우리말에 ‘수입산’이 유령처럼 떠돌고 있다. 여기저기 가져다 쓰는 데도 많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2000년대 들어 한국이 세계 각국과 무역협정 협상을 벌이면서 신문에 가장 빈번히 오르내린 용어는 아마도 FTA(자유무역협정)일 것이다. 그와 함께 우리 눈에 익숙해진 표현이 ‘수입산’이다.하지만 ‘수입산’이란 말은 들여다보면 정체를 알 수 없는, 의미적으로 매우 비논리적인 단어다. ‘-산(産)’은 어디에서 산출되거나 생산된 물건임을 나타내는 접미사다. 한국산, 미국산, 일본산처럼 쓴다. ‘수입산’은 국산 또는 국내산에 대응하는 말로 쓰는 것 같은데, 수입이란 ‘외국의 물품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알파고, 우리말에 '略語 숙제'를 남기다인류를 대표한 이세돌 프로바둑 9단과 구글이 개발한 인공지능 알파고 간 5번기가 숱한 화제를 뿌린 채 15일 막을 내렸다. 알파고의 4 대 1 승리로 끝난 ‘세기의 대결’은 우리말과 관련해서도 여러 생각거리를 남겼다. 그중 하나가 우리말 속에 넘쳐나는 영문약어(略語) 현상이다.반상 대결이 벌어지는 동안 화제의 핵심은 단연 ‘인공지능’이었다. 하지만 그 옆에는 늘 ‘AI’라는 영문약어가 등장하면서 자신의 존재를 알렸다. AI는 ‘인간의 지능이 가지는 학습, 추리, 논증 따위의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을 가리키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머리글자를 딴 말이다. 2001년 미국의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가 제작한 영화 제목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도 개봉돼 화제가 된 이 영화는 우리말 속에 AI가 널리 퍼지고 뿌리 내리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AI의 우리말 대체어가 ‘인공지능’이다. 두 말은 언어세력 면에서 경쟁 관계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인공지능’과 ‘에이아이(AI)’를 모두 표제어로 올리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과 ‘AI’가 전문용어의 단계를 넘어 둘 다 일반적인 쓰임새를 보인다는 것으로, 우리말 체계 안에서 동등하게 단어의 지위를 얻었다는 뜻이다.AI는 또 다른 의미에서 우리에게 낯익다. ‘조류인플루엔자’로 알려진 AI(avian influenza)가 그것이다. 이때의 AI는 닭, 오리 등 조류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독감을 말한다. 초기에는 ‘조류독감’으로 불렸는데 이 말이 본격적으로 언론에 등장한 것은 1997년께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나파륜'은 살아있다2008년 미국발(發)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가 전 세계를 강타했다. 이른바 ‘금융위기’였다. 한국 역시 주가와 원화 가치가 곤두박질치면서 경제 한파에 떨어야만 했다. ‘서부포람(西富泡濫).’ 서브프라임 사태가 맹위를 떨치던 당시 한 신문에 소개되면서 알려진 이 용어는 한자를 이용한 조어다. ‘서양의 부(富)가 거품으로 넘쳐난다’쯤으로 풀이되는 이 말은 서브프라임과 발음도 비슷하면서 의미에서도 사태의 본질을 꿰뚫은, 절묘한 음역어였다.우리 외래어표기법은 외국어를 현지 발음에 가깝게 한글로 적는다는 게 기본 정신이다. 하지만 1986년 나온 현행 외래어표기법이 자리 잡기 전, 우리는 오랫동안 한자를 빌려 비슷한 소리로 음역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음역어는 소중한 가치를 안고 있는, 우리말 역사를 보여주는 거울인 셈이다. ‘서부포람’같이 일반명사에도 쓰였지만, 지난 호에서 살폈듯이 국명 등 지명과 인명을 옮기는 데 주로 사용됐다.‘나파륜(拿破崙), 피택고(皮宅高), 색사비아(索士比亞), 야소(耶蘇), 석호필(石虎弼)….’암호처럼 보이는 이 말들의 정체 역시 음역어이다. 모두 외국 인명을 한자로 옮기고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나파륜은 나폴레옹, 피택고는 피타고라스, 색사비아는 셰익스피어다. 지금은 이런 이름을 쓰지도 않고, 기억하는 이도 없겠지만 지난날 우리말에서 쓰이던 이름이다. 이 중 나파륜과 피택고, 야소는 당당히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다. 야소는 예수(Jesus)를 음역한 말이다. 예전에 개신교를 ‘야소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