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23) - 동사와 형용사의 다양한 세계우리말에서 용언(동사와 형용사)의 활용 양상은 매우 탁월하고 현란하기까지 하다. 이는 교착어인 우리말의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용언의 어미를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말을 얼마든지 이어갈 수 있다. 그런 만큼 우리 맞춤법은 용언의 활용 규칙을 자세히 밝히고 있다. 이를 잘 지키는 것은 글쓰기의 정서법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다.지난 호에서 용언의 ‘탈락’과 ‘불규칙’에 대해 살펴봤다. ‘ㄹ’탈락과 ‘으’탈락 현상은 해당 음을 갖고 있는 모든 용언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래서 이들을 불규칙이라 하지 않고 학교문법에서는 ‘탈락’이란 용어를 쓴다는 것도 알아봤다. 그 외에는 활용 시 어간이나 어미의 변하는 양상이 단어마다 일관되지 않다. 그런게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그런 점에서 이들을 ‘불규칙 용언’이라 부른다. 한글 맞춤법 18항이 이에 관한 규정이다.다만 한글 맞춤법에서는 탈락이나 불규칙이란 말을 직접 쓰지는 않았다. ‘원칙에서 벗어나면 벗어난 대로 적는다’고 했다. 이는 결국 줄거나 형태가 바뀌는 것은 바뀐 대로 적는다는 뜻이다. 탈락이나 불규칙 현상은 학자에 따라 다르게 보는 경우가 있어서 이런 표현을 쓰지 않은 것으로 보면 된다.우리말의 불규칙 용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① ‘ㅅ’불규칙: 어간 끝에 ‘ㅅ’받침을 가진 용언 가운데 일부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로 활용할 때 ‘ㅅ’받침이 줄어든다. ‘긋다, 낫다, 붓다’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벗다, 빼앗다, 씻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22) - '탈락'과 '불규칙' 현상의 차이한글맞춤법은 모두 57개 항과 부록으로 구성돼 있다. 부록은 문장부호에 관한 규정이다. 하나하나가 다 소중하고 간단치 않은 내용이지만, 그중에서도 글쓰기에서 비교적 자주 부닥치는 항목을 몇 가지로 추릴 수 있다.우선 ‘소리에 관한 것’(5~13항)에서는 최소한 된소리 적는 방식과 두음법칙을 알아야 한다. ‘형태에 관한 것’(14~40항)에서는 모음조화를 이해하고 용언이 활용하는 법칙을 익혀야 한다. 나머지는 띄어쓰기(41~50항)와 그 밖의 것들이다. 이렇게 큰 틀로 나눠 살펴보는 게 이해하기 쉽고 편하다. 그동안 우리는 된소리 적는 방식과 두음법칙, 모음조화 등에 관해 살펴봤다. 최근 몇 차례 다루고(‘으’ 탈락, ‘르’ 불규칙, ‘러’ 불규칙 용언) 앞으로 계속 짚어볼 활용의 법칙까지 이해하면 맞춤법의 두 축인 소리적기와 형태적기의 중요한 부분은 얼추 훑는 셈이다.용언(동사와 형용사)의 활용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규칙 용언과 불규칙 용언의 개념부터 알아둬야 한다. 규칙과 불규칙을 가르는 구분은 어간이 변하느냐 그대로 있느냐에 있다. 가령 ‘먹다’를 보자. 이는 먹고, 먹지, 먹게, 먹자, 먹어, 먹으면, 먹으니, 먹은, 먹어라, 먹었다… 식으로 다양하게 변하지만 어간 ‘먹’은 늘 바뀌지 않고 고정된다.이에 비해 ‘놀다’는 바뀌는 양상이 좀 다르다. 이는 ‘놀고, 놀지, 놀게, 놀자, 놀아, 놀면, 노니, 논, 놀아라, 놀았다…’ 식으로 활용한다. 여기서 ‘노니, 논’이 문제가 된다. 특정 어미와 결합할 때(이를 학술적으로는 ‘음운환경이 달라질 때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21) - '르' 불규칙, '러' 불규칙도 있다“언젠간 가겠지 푸르른 이 청춘~ 지고 또 피는 꽃잎처럼~ 달 밝은 밤이면 창가에 흐르는~.”삼형제 가수 산울림이 1980낸대 초 부른 가요 ‘청춘’의 도입부에 나오는 노랫말이다. 나이 듦을 구슬픈 목소리로 잔잔하게 불러 당시 큰 인기를 모았다.하지만 노랫말에 나오는 ‘푸르른’은 아쉽게도 어법에 맞지 않는 말이었다. 기본형이 ‘푸르다’이므로 이 말의 관형형은 ‘푸른’만 인정됐었다. 2015년까지는 그랬다. 언중이 ‘푸르르다’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그 나름대로 쓰임새가 인정돼 국립국어원은 이를 별도의 표준어로 채택했다. 2015년 12월 ‘푸르르다’는 ‘푸르다’를 강조해 이르는 말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랐다. 정식 단어가 된 것이다. 그러니 이제는 ‘푸르른~’을 마음껏 써도 된다.지난 호에서 잠그다, 치르다, 담그다, 예쁘다 등 ‘으’ 탈락(‘으’ 불규칙) 용언의 활용 형태를 살펴봤다. 이들은 모두 ‘잠가, 치러, 담가, 예뻐’ 등 어간의 ‘으’가 모음어미로 연결될 때 탈락한다는 게 공통점이다. 그런데 ‘푸르다’ 역시 ‘푸르고, 푸르니, 푸르지’ 하다가 모음어미가 연결되면 ‘푸르러, 푸르렀다’ 식으로 어간의 일부 형태가 바뀐다. 이때 주의할 것은 ‘푸르다’의 경우는 ‘으’ 탈락 용언과 조금 다른 형태로 바뀐다는 점이다. 모음어미가 연결될 때 ‘러’ 발음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이를 따로 ‘러’ 불규칙이라고 한다. ‘러’ 불규칙 용언에는 이 외에도 ‘이르다(至ㆍ이르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20) - '으' 탈락  단어 사용의 이해 ②지난 호에서 ‘으’ 탈락 용언에는 어떤 게 있고, 이를 구별하는 요령은 무엇인지 살펴봤다.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은 사람은 발음을 해보면 대부분 알아챌 수 있다는 것도 이해했다. 그런데 이 ‘으’ 불규칙 용언 가운데는 잘못된 발음에 이끌려 자칫 표기까지 틀리기 십상인 말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담그다’가 대표적인 사례다. 요즘은 김장을 담그는 집이 점점 줄어들긴 하지만, 날이 더 추워지기 전에 집집마다 겨우내 식구들이 먹을 김장을 담그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럴 때 많은 사람이 “김장김치를 담궜다”라고 쓰는데, 이는 틀린 표기다. ‘담그다’가 기본형이므로 ‘담갔다’로 해야 바르다.이 말은 ‘으’불규칙 동사다. 활용할 때 ‘담그면, 담그니’ 하다가 ‘담가서, 담가라’처럼 어간의 ‘으’가 떨어져 나간다. 이때 ‘담그다’의 어간 일부가 때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말의 특성 중 하나인 모음조화에 대해 알아둬야 한다. 이는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양성(‘아, 오’)이냐 음성(그 외 ‘애, 어, 우, 으, 이’ 따위)이냐에 따라 뒤에 붙는 어미도 양성(아)이나 음성(어)을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담그다’의 경우 어간의 모음이 음성이므로 활용할 때 1차로 ‘담그+어’가 된다. 이때 이 말은 ‘으’가 탈락하는 동사이므로 일단 ‘담거’로 바뀐다. 그 뒤 잇따라 일어나는 모음조화에 따라 어미 ‘어’가 ‘아’로 바뀌어 결국 ‘담가’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말을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18) - '으' 탈락 단어 사용의 이해 ①올해 수능 시험(11월17일)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대입 수험생을 둔 부모들은 자식이 시험을 잘 치르기를 빌며 가슴을 졸인다. 주위 사람들은 시험이 끝나고 나면 “시험을 잘 치뤘느냐”고 묻는 말이 인사가 되곤 한다.그런데 이때의 ‘치뤘느냐’는 말은 어법에 맞지 않는 표기다. 기본형이‘치르다’인 이 말은 ‘치르고, 치르니, 치러서, 치러’로 활용한다. 과거형 역시 당연히 ‘치렀다’다. 이를 자칫 ‘치루고, 치루니, 치뤄서, 치뤄, 치뤘다’ 식으로 적는 것은 모두 틀린 표기다. 우리 어법에서 인정하지 않는 ‘우’ 모음을 개입해 적었기 때문이다.맞춤법 제18항은 우리말의 여러 불규칙 용언들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 ‘불규칙’(또는 ‘변칙’이라고도 한다)이란 용언(동사와 형용사)이 활용할 때 어간의 일부가 불규칙적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예컨대 위에서 본 ‘치르다’ 같은 말에서 어간의 일부인 ‘으’가 ‘치르고, 치르니’ 하다가 ‘치러서. 치렀다’ 식으로 ‘어/아’ 계열음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한글맞춤법에서는 이를 ‘어미가 바뀔 때, 즉 활용할 경우 그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것이 큰 틀에서의 규칙이다. 그 중 하나가 어간의 끝 ‘ㅜ, ㅡ’가 줄어지는 경우인데, 이를 ‘원칙에서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는 게 우리 맞춤법 규정이다. 하지만 이 규정을 글자 그대로 외우려고 하면 너무 원리적이라 익히기 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18) - '법석'과 '짭짤하다'의 차이“약삭빠른 사람보다 우직한 사람이 좋다.” “대수롭지도 않은 일에 왜 그렇게 법석을 피우느냐.” “지난여름에는 수박 장사를 해서 짭짤하게 재미를 보았어.”그동안 우리는 ‘소리적기’ 원칙을 살펴보면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된소리로 적는다’는 것을 알았다.위 예문에 보이는 ‘약삭빠르다’ ‘법석’ ‘짭짤하다’가 소리적기 원칙을 정복하는 마지막 단계의 사례들이다. 우선 ‘약삭빠르다’ ‘법석’ 따위는 발음이 [약싹] [법썩] 식으로 된소리로 나는데도 예사소리로 적은 게 특이할 것이다. 이는 이 단어들이 맞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뚜렷한 까닭’에 해당하기 때문이다.즉, ‘ㄱ, ㅂ 받침 뒤에서는 된소리로 나더라도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는 게 그것이다. 이 역시 그냥 외울 게 아니라 원리를 알아두면 이해하기가 쉽다. 그 원리는 ‘ㄱ, ㄷ’이 받침으로 쓰일 때는 소리가 폐쇄되므로 뒤따르는 음절이 자연스럽게 된소리로 발음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굳이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고 이해하면 된다. 실제 발음으로 확인해 보면 훨씬 쉽다.다음 단어들을 유심히 살펴보자.가) 깍두기, 왁자지껄, 폭삭, 떡갈나무, 색시, 북적거리다, 쑥덕거리다.나) 몹시, 덥석, 맵시, 납작하다, 밉살스럽다, 집적거리다. 업신여기다.가)와 나)에는 공통점이 있다. 가)는 ‘ㄱ’ 받침이, 나)는 ‘ㅂ’ 받침이 들어가는 단어들이라는 점이다. 이들은 받침으로 인해 소리가 폐쇄되므로 굳이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 그러면 ‘짭짤하다’나 &l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17) - '눈꼽'이 아니라 '눈곱'으로 적는 이유지난 호에서 ‘몹시 귀찮게 구는 짓’을 나타내는 말을 ‘등쌀’로 적는 까닭, 즉 소리적기에 대해 살펴봤다. 이에 비해 ‘등살’은 등에 붙은 살을 뜻하므로 발음은 똑같이 [등쌀]로 나더라도 그 형태를 밝혀 적는다(형태적기)는 원칙도 알았다.이를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자. ‘내일 떠나야 할 이 마을에 나는 눈꼽만큼도 미련이 없다.’ 이제 우리는 이 문장에서 ‘눈꼽’이 왜 틀렸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소리적기’ 원칙에 따라 소리 나는 대로 눈꼽이라 적으면 될 것 같은데, 이 경우엔 다르다. 우리가 외워두어야 할 최소한의 부분은 바로 이것이다. 우리말 표기 가운데는 ‘발음은 된소리로 나지만, 된소리로 적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른바 ‘형태적기’ 원칙이다. 이것만 구별하면 나머지는 다 된소리로 적으면 된다.우선 합성어를 적는 방식을 알아야 한다. 합성어란 말 그대로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해 만들어진 말이므로 그 원형을 살려 적는다고 이해하면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이때는 ‘형태 밝혀 적기’가 적용된다는 얘기다. 따라서 뒷말이 된소리로 나더라도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눈곱’은 눈에서 나오는 진득진득한 액이 말라붙은 것을 가리킨다. 이때 ‘곱’은 부스럼이나 헌데에 끼는 고름 모양의 물질을 뜻한다. 그래서 발음은 [눈꼽]이지만 원형을 살려 ‘눈곱(눈+곱)’이라고 적는다. ‘눈곱’과 ‘배꼽’을 비교해 보면 좀 더 이해하기 쉽다. 비슷한 것 같지만 ‘배꼽’을 소리대로 배꼽으로 적는 이유는 그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16) - '등쌀'과  '등살'의 구별지난 호에서 우리 맞춤법을 관통하는 양대 원칙, 즉 ‘소리적기’와 ‘형태적기’에 대해 살펴봤다. 수많은 단어 표기를 일일이 외우는 것은 불가능할뿐더러 비효율적인 일이다. 요즘은 인터넷과 모바일이 발달해 정확한 단어 표기도 금세 찾아 볼 수 있다. 글을 쓰다가 표기가 헷갈릴 때 간단히 찾아볼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진 것이다. 따라서 개별적 단어 표기를 외우는 것보다 한글 맞춤법의 원칙을 이해하는 게 더 중요하다. 원칙을 알고 나면 나머지는 응용해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다음 문장에는 소리적기와 형태적기를 보여주는 대표적 단어들이 있다. 우선 어떤 게 잘못 쓴 단어인지 찾아보자.가)그 아이는 엄마의 등쌀에 마지못해 피아노 학원을 다녔다.나)내일 떠나야 할 이 마을에 나는 눈꼽만큼도 미련이 없다.다)그의 무례한 행동에 나는 저절로 눈살이 찌푸려졌다.라)얘기를 너무 많이 하다 보면 초점이 흐려지기 일쑤다.마)지난여름에는 수박 장사를 해서 짭짤하게 재미를 보았다.예문에는 ‘등쌀, 눈꼽, 눈살, 일쑤, 짭짤하게’가 들어 있다. 이들은 글쓰기에서 자칫 표기를 잘못하기 쉬운 단어다. 답부터 말하면 나)의 눈꼽은 눈곱이라 적어야 맞는다. 나머지는 모두 바른 표기다. 헷갈리는 표기지만 그렇다고 이들을 무작정 외울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용례들에는 일관된 원칙이 적용돼 있다.우리말을 적는 기본 원칙 중 하나인 소리적기는 말 그대로 우리가 쓰는 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이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된소리를 적는 방식이기도 하다. 맞춤법에서는 이를 ‘한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