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시카고, 건축산업의 도시로

    뉴올리언스를 강타한 카트리나 참사는 미국의 역대 재해 중에서도 가장 큰 피해를 입힌 대재앙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미국에서는 이번 허리케인 이외에 시카고 대화재와 샌프란시스코 대지진,존스타운 홍수,갤버스턴섬의 허리케인 등이 대표적 재앙으로 꼽힌다. 미국민들은 이런 재앙을 맞아 도시를 더욱 새롭게 재건했다. 시카고 화재는 1871년 10월8일 저녁 황소가 등불을 걷어차면서 시작돼 삽시간에 도시 전체를 덮쳤다. 하룻밤에 1만8000개 빌딩을 ...

  • 커버스토리

    카트리나 향후경제에 어떤영향?

    지난달 말 미국 멕시코만 일대를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미국 자연재해 역사상 최악의 피해를 냈다. 매년 강력한 허리케인을 경험해온 미국이지만 이번에는 사망자가 수천명에 달했고 경제적 피해와 함께 사회 갈등마저 촉발시켰다. 뉴욕타임스는 '수치스런 미국'이란 표현까지 써가며 정부를 질타했다. 초강대국 미국에서 도대체 무엇이 잘못됐길래 이런 일이 생겼는지,이번 재해가 경제와 사회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알아보자. ◆피해 왜 커졌나 카트리나가...

  • 경제 기타

    살아있는 '경영의 신'으로 명성

    잭 웰치는 '살아 있는 경영의 신(神)'으로 불린다. 세계 최대 제조업체 중 하나인 제너럴일렉트릭(GE)이라는 회사를 20년간 이끌며 경영 혁신을 통해 놀라운 성공 신화를 창조했기 때문이다. 일본 기업들의 거센 공세로 수많은 미국 기업들이 문을 닫아야 했던 상황에서,더군다나 성숙 또는 쇠퇴 단계로 접어들기 쉬운 대기업이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는 점에서 그의 성과는 더욱 빛을 발했다. 잭 웰치는 도대체 어떤 실적을 냈기에 이런 평가를 받는 ...

  • 경제 기타

    '6시그마'를 아세요?

    GE의 잭 웰치 전 회장은 6시그마(sigma)를 유행시킨 인물로도 유명하다. 6시그마란 경영혁신 기법의 일환으로 제품 공정을 100만개로 잡았을 때 3.4개 공정에서 불량이 나오는 수준으로까지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것을 말한다. 6시그마가 유행하기 전까지 기업체들의 불량률 목표는 주로 ppm 단위였다. 보통 100ppm이란 목표가 많이 채택됐는데 이는 100만개 중 100개 이내로 불량률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6...

  • 경제 기타

    대통령 중심제에서 연정 가능할까?

    노무현 대통령의 제안으로 촉발된 '연정(聯政·연합정권)'과 '선거구제 개편'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선거구제를 개편만 해준다면 권력을 '내각제 수준'으로 주겠다는 노 대통령의 구상은 "권력을 통째로 내놓을 수도 있다"로 발전한 뒤 '2선 후퇴나 임기 단축'이라는 카드를 내놓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정치권에 미치는 파장도 상당하다. 권력구조 및 선거제도 개편 문제가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노 대통령과의 회...

  • 경제 기타

    선거구제 개편논의 어떻게

    노무현 대통령의 연정 제안을 뒷받침하기 위한 선거제도 개편 논의의 핵심은 중·대 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독일식 정당명부제 등이다. 중·대선거구제는 선거구를 광역화해 하나의 선거구에서 2∼5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제도다. 2,3위 후보자에게 투표한 유권자의 표를 사장시키는 현행 소선거구제의 폐단을 고쳐 특정 지역 의석을 특정 정당이 '싹쓸이'하는 현상을 없애자는 것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반대로 현실적으로 도입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

  • 경제 기타

    원자력 발전소 폐기물 처리장 4개지역서 신청했는데

    ▶한국경제신문 9월 1일자 A21면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방폐장) 유치전이 경주시·군산시·포항시·영덕군 등이 경합하는 4파전 양상을 띠게 됐다. 산업자원부는 지난달 31일 방폐장 유치 신청을 마감한 결과 최종적으로 이들 4개 지방자치단체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그간 유치를 준비해 왔던 삼척시와 울진군은 지방의회의 동의를 얻는 데 실패,신청서를 내지 못했다. 부안군도 찬반 양론이 팽팽한 가운데 지자체가 신청서를 냈으나 지방...

  • 과학 기타

    침팬지 DNA지도 인간과 96% 일치

    진화론은 종래의 인류 과학사를 송두리째 뒤흔든 학설이다.인간은 처음부터 인간이었다는 기존의 관념을 허물어뜨리며 우리 자신의 존재에 대해 새롭게 접근하는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했다. 물론 진화론이 학계에서 온전하게 인정받고 있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진화론에 찬성하지 않고 있으며,특히 이를 인류에게 적용하는 것에는 더더욱 반대하고 있다.하지만 진화론이 현대 과학계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우리 인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