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 기타

    "물량 앞세운 美에 연구뒤져 아쉬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구조분석실의 박홍석 박사는 미국이 주도한 침팬지 게놈 분석 발표를 보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침팬지 게놈 연구를 먼저 시작하고서도 물량 공세를 앞세운 미국 연구진에 결과적으로 뒤졌기 때문이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료된 이후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이 국제 컨소시엄을 구성해 침팬지 게놈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지난해엔 침팬지 22번 염색체를 완전 해독해 네이처에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지요. 그런데 그 와중에 미국팀이...

  • 과학 기타

    화석은 진화의 연결고리 푸는 열쇠

    과학잡지 네이처는 지난 4월7일자에서 '2002년 아프리카 차드에서 발굴된 투마이(Toumai)의 두개골을 복원한 결과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유인원이 아니라 직립 보행을 하는 호미니드(hominid·원시인류)의 특징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투마이 두개골이 700만년 전쯤의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인류의 기원이 700만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 결론은 아직 명확히 내려지지 않고 있...

  • 과학 기타

    진화 비밀 풀기위해 유전자 연구 진행

    과학자들이 진화의 비밀을 풀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분야는 유전자 연구다. 화석만으로 인류의 진화를 완벽히 입증하지 못한다고 볼 때 유전자의 특성을 비교하면 진화의 흔적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나온 연구 결과들을 보면 무엇이 사람과 침팬지를 서로 다른 개체로 갈라놓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답은 아직 없다. 다만 유전학적으로 볼 때 특정 유전자의 존재 유무와 유전자 기능 차이의 발생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대표...

  • 경제 기타

    1년씩 두번이나 해외 배낭여행 솔ㆍ빛ㆍ별 자매 제주외고 나란히 합격

    "교과서 대신 세상을 배웠어요." 초등학교를 동시에 그만두고 1년 동안 가족과 함께 세계 27개국을 여행한 세 자매가 있었다. 여행을 마친 뒤 복학했으나 잠시 뒤 "아직 못 본 것이 많다"며 다시 1년 동안 40개국을 배낭여행했다. 그리고 1년 뒤.세 자매는 모두 검정고시를 거쳐 입학하기가 쉽지 않은 제주외고에 나란히 합격했다. 제주외고 1학년 조예솔(17)과 조한빛(16) 조한별(16) 자매가 그 주인공들이다.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위...

  • 경제 기타

    교통요금 낼땐 일반인?

    대중교통을 이용하다보면 교통카드에 요금이 부족할 때가 있다. 이런 경우 일반인들은 교통카드 사용시 할인되는 요금에서 100원을 추가해 900을 내면 되고,초등학생들은 교통카드 사용시와 동일한 요금을 내면 되기 때문에 추가로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그렇다면 청소년인 중·고교생은 어떨까. 청소년은 어른 요금과 동일하게 '900원'을 내야 한다. 서울시는 대중교통 요금체계를 바꾸면서 교통카드 사용 활성화를 위해 많은 혜택도 부여했고,많은 사람...

  • 경제 기타

    '벙어리 영어교육' 이제라도 고치자

    얼마 전 모 대학에서 열렸던 노벨상을 수상한 어느 석학의 강연회에 간 적이 있었다. 그는 한 시간가량 강의를 한 후 학생들의 질문을 기다렸다. 하지만 그 누구도 손을 들지 않았다. 너무 조용해 공허함까지 느껴졌다. 동남아시아에서 유학 온 몇몇 외국 학생들의 질문이 있었을 뿐이다. 우리의 미래인 대학생들은 외국인 앞에서 한마디도 영어로 자신의 궁금한 점을 표현하지 못했다. 영어를 위해 희생한 그 많은 경제적 투자와 시간이 아깝게 느껴졌...

  • 교양 기타

    성균관대 2005년 수시 1학기 기출문제

    I. 과 의 내용을 각각 요약하시오. II.아래 4개의 에 나타난 상반된 두 가지 주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단 각 을 논거로 충분히 활용하고, 3개의 를 모두 인용하시오. ---------------------------------------------------------------------- 경제성장에 대한 현대사회의 강박관념에 가까운 관심에도 불구하고,계속적인 경제성장이 실제로 행복을 증진시키는지에 관한 공개토...

  • 커버스토리

    Baby Boomers 산업지도 바꾼다

    2차 대전 이후 경제가 호조를 보이면서 인구도 급증했다. 전쟁과 죽음의 쓰라린 기억이 출산을 장려했고 때맞추어 경제도 활황이었기 때문에 너도나도 많은 아이를 낳았던 시기가 바로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다. 이때 태어난 사람을 베이비붐 세대라고 부른다. 베이비부머(baby boomers)는 미국 일본 한국 세 나라만 합쳐도 1억명에 육박한다 이 베이비붐 세대가 벌써 머리카락이 희끗희끗한 중.노년층이 되어가고 있다. 인구의 변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