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노블레스 오블리주' 일상생활에서 실천을
'노블레스 오블리주'.언론과 책 등을 통해 심심찮게 접할 수 있는 용어이다. '가진 자의 도덕적 의무'로 통하는 이 말은 '○○그룹 회장'등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있는 극소수에게만 해당될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은 생각한다. 하지만 그 의미를 확대시켜보면 '오블리주'는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분야에서 남들에게 현실적 도움을 줌으로써 누구나 실천할 수 있다. 잘 하는 분야에서만큼은 모두가 '노블레스'이기 때문이다. 조동성 서울대 교수(경영학...
-
경제 기타
경찰대ㆍ사관학교 응시생에 허수 많다
일부 학생 실력테스트용 지원…학교 강요도 뜻있는 경찰ㆍ군인 지망학생 기회 박탈 지난 8월 경찰대를 비롯한 특수목적대학교들의 1차 전형이 있었다. 경찰대가 43.5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경찰대와 육해공군사관학교의 인기는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높은 경쟁률의 이면에 사회의 모순이 자리 잡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에 지원한다 함은 해당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인데,타 대학과는 다르게 이른 시기에 전형을 실시하는 특수목적대...
-
교양 기타
(57) 피에르 클라스트르 '폭력의 고고학'
원시사회는 국가에 대항했던 사회 사회는 그 자체로 볼 때 철학적이지도,과학적이지도,종교적이지도 않다. 사회엔 철학,과학, 종교가 혼재하고 있으며 철학,과학,종교로 환원될 수 없는 독자적인 고유의 영역이 있다. 그것이 바로 정치다. 사회는 정치적이다. 피에르 클라스트르(Pierre Clastres,1934~1977)는 프랑스의 정치인류학자이다. 그는 오랜 기간에 걸쳐 파라과이와 베네수엘라의 인디언들과 함께 생활하며 연구를 했다. 오래...
-
커버스토리
'한국=다민족 국가' Are U Ready?
'5000년 역사의 배달민족'에서부터 '우리 민족끼리'까지…. 해방 이후부터 지금 이 순간까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줄기차게 들어온 말들이다. 한민족은 단일민족 국가를 유지하고 있으며,이로 인해 미국 등 다민족 국가가 안고 있는 인종 문제는 없다고 자부해왔다. 또 순수 혈통인 한민족이 주변 민족들보다 우월하다고 강조해왔고,이 같은 순혈주의는 식민시대 독립운동이나 건국,근대화 과정에서 순기능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세상이 바뀌면...
-
경제 기타
美펀드매니저 연봉 엄청나네
일류급 6180억원… 대기업 CEO보다 18배 많아 사모펀드 헤지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매니저의 평균 연봉이 기업 최고경영자(CEO)나 연방정부 관료들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대기업 CEO들의 평균 연봉은 1080만달러(달러당 940원으로 환산하면 우리돈 약 102억원)로 일반 노동자들의 평균 연봉(2만9544달러·우리돈 2777만원)보다 36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책연구소(IPS)와 공정경제연합(UFE)이 8...
-
경제 기타
서비스업 생산 4년9개월 만에 최대 外
◆서비스업 생산 4년9개월 만에 최대 7월 서비스업 생산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9.8% 늘어 2002년 10월 이후 4년9개월 만에 최대 증가를 기록했다고 통계청이 30일 발표했다. 특히 도소매업 판매가 7.1% 늘어나면서 전달(3.7%)에 비해 증가세가 빨라졌고 숙박 음식점업 개인서비스업 등 체감경기와 밀접한 업종도 회복세를 이어가는 등 경기 회복의 온기가 모든 업종으로 퍼져 나가는 분위기다. - 수출과 금융 보험업 등 일부 업종에...
-
경제 기타
정부 "세금많이 깎아주겠다"에 대통령 선거 앞둔 생색내기 논란
정부가 내년에 국민들로부터 세금을 얼마나 또 어떻게 걷을지 대강의 얼개를 보여주는 '세제개편안(稅制改編案)'이 지난달 22일 발표됐다. 이번 세제개편안에는 과세표준(課稅標準) 구간 조정,출산ㆍ입양 등에 대한 소득공제 신설 및 확대,비과세 감면혜택 추가 등 세금을 깎아주는 감세(減稅) 관련 내용이 대폭 포함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올해 연말에 있을 대통령 선거를 의식해 국가의 재정 부담을 고려치 않고 내놓은 '선심성 정책'이 아니냐는 논란...
-
커버스토리
단일민족국가 vs 다민족국가
알량한 혈족주의에 침을 뱉어라 세계에는 3000여개의 민족이 있지만 국가는 200개 남짓(세계은행 통계 229개)에 불과하다. 우리는 그동안 '한국=단일민족국가'라고 배우며 하나의 민족의 하나의 국가를 이루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왔다. 하지만 '민족=국가'라는 개념은 오히려 극히 이례적이다. 혈통상 100% 순수한 단일민족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보통 2~3개 민족에서 많게는 수십개 민족이 모여사는 나라가 대부분이다. 스위스처럼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