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미국 금리 빨리 많이 오를수록 '금리 역전' 생긴다는데…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이 금리 인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제로(0)금리 수준인 초저금리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일자리가 늘어나는 등 경기가 회복되고 물가가 오를 조짐을 보이자 금리를 빠른 속도로 올리고 있다. 비정상으로 낮았던 금리를 정상화하는 것이다. 미국 금리의 방향을 좌우하는 미 중앙은행(Fed)은 올해 서너 차례 기준금리(정책금리)를 올릴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당장 미국이 금리를 빨리 큰 폭으로 올리면 다른 나라 금리보다 높아지는 ‘금리 역전’ 현상이 벌어진다. 이렇게 되면 국제적으로 자금이 금리가 높은 나라로 이동하는 등 자금 흐름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된다.우리나라는 현재 기준금리가 연 1.50%로 미국 기준금리인 연 1.25~1.50%와 상단이 같다. 하지만 미국이 한국보다 빠른 속도로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경우 한국 금리보다 높아져 국제자금이 고금리를 좇아 미국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커진다. 이렇게 되면 주식·채권·부동산 등 자산시장에 큰 변화가 초래된다. 따라서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려야 할 요인이 커진다.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은행 금리도 따라 올라가는 등 시중금리가 상승하게 된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 기업 등 경제주체별로, 계층별로, 산업별로 불리해지는 곳도 있고 혜택을 보는 곳도 있다. 당장 부채가 많은 가계 기업 등은 이자 부담이 커지고, 투자 생활자금 등에 필요한 돈을 빌리기도 어려워진다. 반면 현금 자산이 많은 사람이나 기업, 이자 수입으로 생활하는 은퇴자 등은 수입이 늘어난다. 금리를 내릴 때
-
커버스토리
금리 오르면 예금자는 좋지만 대출자는 부담 커져요
국내외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 한국, 미국, 유럽 등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가까이 유지해 온 초(超)저금리 기조에서 벗어나 기준금리 인상에 나선 결과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가 내야 할 이자가 늘어날 뿐 아니라 예금, 주식, 부동산 등 자산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금리 오르면 1400조 가계부채 문제 커져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채권시장의 대표 금리인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월 들어 연 2.2~2.3% 선을 오르내리고 있다. 지난해 초(연 1.6%대)보다 0.6~0.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작년에는 1억원을 빌리면 1년에 160만원 정도를 이자로 내면 됐지만 지금은 연 220만~230만원을 내야 한다는 의미다.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금리도 상승한다. 이렇게 되면 빚을 많이 진 가계(가정)의 부담이 커진다.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국내 가계 빚은 약 1419조원에 달했다. 5년 전인 2012년 12월 말(963조7944억원)보다 450조원가량 불어났다. 과거 금리가 쌀 때 돈을 빌린 가계가 많았다는 의미다. 당시에는 저금리를 이용해 돈을 쉽게 빌릴 수 있었지만 금리가 올라가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그만큼 이자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국내 가계의 이자 부담이 1년에 2조3000억원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가 소비에 쓸 수 있는 돈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은 물론 부채가 많은 가정은 부채상환이 시급해 진다. 정부가 가계부채 문제에 고심하는 이유다.금리가 높아지면 정부나 기업도 자금 조달에 애를 먹게 된다. 채권 발행 금리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일정 기간 후 원금과 이자를 갚겠다고 약
-
커버스토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年 8회 기준금리 정해… 기준금리 오르면 은행 예금·대출금리도 따라 올라요
돈을 빌리면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 그 대가가 이자다.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 비율이다. 이자율이라고도 한다. 쉽게 말해 금리는 돈의 값이다. 어떤 물건 가격이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것처럼 금리는 자금이 거래되는 시장(금융시장)에서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돈을 찾는 사람(수요)이 많으면 금리가 오르고, 시중에 풀린 돈(공급)이 많으면 금리가 내리는 식이다. 중앙은행은 각국의 기준금리(정책금리)를 조절해 시장 금리(시중금리)에 영향을 준다.지표 금리는 만기 3년 국채 금리금리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준다. 가계 저축, 기업 투자, 물가 수준, 국가 간 자금 이동도 금리에 영향을 받는다. 가령 금리가 오르면 저축이 늘어나지만 소비 여력은 줄어든다. 기업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난다. 금리를 통해 경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다.금리가 오르면 물가가 안정되고 해외자금이 고(高)금리를 노리고 국내로 들어와 자국 통화 가치가 뛰기도 한다. 금리는 사회 곳곳에 자금을 적절히 배분해주는 기능도 한다. 예컨대 은행 대출금리가 연 5%라고 치자. 이 금리로 돈을 빌려도 충분히 이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업만 돈을 빌리게 된다. 즉 이익을 많이 낼 수 있는 산업으로 자금이 흘러들어가게 된다.금리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각국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기준금리를 비롯해 시장에서 활용되는 대출금리, 예금금리 등이 대표적이다. 은행끼리 일시적으로 필요한 자금을 거래할 때 쓰는 금리는 콜금리라고 한다.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국고채)에 붙는 금리는 시장금리를 재는 대표적 척도란 점에서 지표금리로 불린다. 한국
-
커버스토리
세계는 똑똑한 미래도시 '스마트시티'를 꿈꾼다
전자쇼 CES에도 ‘스마트시티’ 선보여전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smart city)’ 만들기 경쟁이 뜨겁다. 지난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쇼 CES 주제도 스마트시티였다. 스마트시티란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해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미래도시를 뜻한다. 흔히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담는 큰 그릇’으로 불린다. 교통 에너지 환경 등 모든 신기술이 한 도시에 모이기 때문이다. 공상과학(SF) 영화에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자동차가 도시를 메운 장면을 연상하면 쉽다.핀란드가 버려진 항구 ‘칼라사타마’에 그리고 있는 2030년 미래 도시의 모습이 그렇다. 전체 면적 1.8㎢, 경기 성남 분당신도시의 10분의 1 규모인 이곳이 스마트시티로 완성되면 모든 아파트 단지 안에 자율주행버스가 다니고, 공중을 나는 자율주행택시가 곳곳에서 손님을 맞는다. 태양광, 태양열, 풍력 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기로 공용건물 전력수요를 대부분 충당하게 된다. 2013년부터 헬싱키와 부동산 개발업체, 입주민, 시민단체 등이 함께 참여해 개발하고 있다. 칼라사타마는 스마트시티를 추진하면서 ‘도시 효율성을 높여 시민 한 사람에게 매일 한 시간의 여유를 돌려주자’는 모토를 내걸었다. 현재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중심으로 ICT 시설 구축이 한창이다.핀란드·싱가포르·UAE는 첨단미래도시 꿈꿔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총리 직속의 스마트시티 조직을 신설해 각종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스페인 산탄데르는 시민과 ICT 기업이 참여해 도시 전역을 신기술 시험장으로 만들고 있다. 캐나다 토론토는 ‘구글 사이드워크 랩’
-
커버스토리
"시골 아닌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나를 가르친다"
“시골에 있는 건물들과 나무들은 나에게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지만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나를 가르친다.”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도시의 위대함을 이렇게 표현했다. 도시에는 사람이 모이고, 지식이 교환된다. 에드워드 글레이저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는 도시를 기업에 비유하기도 했다. 분업화·고도화된 도시에서 사람들이 일자리, 정보, 기술을 공유하며 인류 문명을 발달시킬 혁신들이 일어난다는 이야기다.과거나 현재나 도시는 혁신의 중심도시는 역사적으로 혁신의 중심지였다. 서양에서 최초의 메가시티(거대 도시)는 로마다. 로마의 전성기 인구는 100만 명이 넘었다. 근대 도시가 갖추고 있는 도로와 수로, 하수도를 만들어냈다. 많은 인구가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건축, 예술, 정치 등 전 분야가 고루 발전했다. 로마가 이뤄낸 각 분야 혁신은 당시 로마가 통치하던 유럽 지역 거주민들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켰다.18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은 도시 집중화가 전 세계로 퍼져나간 기폭제였다. 공장 노동자로 일하려는 사람들이 런던으로 몰려들었다. 영국은 도시에서 70%의 성장을 이뤄냈다. 평균적으로 어떤 국가의 도시 인구 비중이 10% 늘면 그 나라의 1인당 생산성은 30% 커진다는 게 글레이저 교수의 연구 결과다. 미국은 그 자체로 도시들의 국가다. 1850년 미국은 인구 10만 명이 넘는 도시가 6곳밖에 없었다. 하지만 1900년에는 그런 도시가 38곳으로 늘어났다.예술도 도시를 중심으로 꽃폈다. 15세기 이탈리아 피렌체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등 르네상스를 이끈 당대 예술가들의 무대였다. 18세기 오스트리아 빈에서 하이든과 모차르트는 제자 베토
-
커버스토리
문명이 발달할수록 도시는 진화한다
모든 혁신은 도시에서 일어난다. 새로운 물건과 서비스가 도시를 중심으로 퍼져나간다. 도시는 그 자체가 거대한 고도의 분업 체계다. 인재들이 도시로 모여드는 것도 그래서다. 많은 나라가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한 미래도시 ‘스마트시티(smart city)’ 건설에 총력을 쏟는 이유다. 역사적으로 도시의 발전은 곧 인류 문명의 발달이었다. 과거 고대 시대 도시는 종교적 구조물을 중심으로 형성됐다. 이후 주요 도시는 많은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도록 농업 생산량이 높은 지역에 생겨나기 시작했다. 강을 중심으로 주요 문명이 발생한 이유다.행정·문화의 중심지로 서양문명의 뼈대를 만든 도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리스 아테네와 고대 로마제국의 로마가 대표적이다. 중세 이후에는 도시의 역할이 더욱 다양화·고도화하기 시작했다. 바다 위에 지어진 무역도시 이탈리아 베니스가 그렇다. 현재는 뉴욕 도쿄 홍콩 서울 등 전 세계의 수많은 메트로폴리탄(거대도시)이 행정·문화·경제를 통합하는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도시가 커지면서 도시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도 늘었다. 도시는 폭력과 위험이 난무하고 환경 파괴적이라는 인식이 있다. 뉴욕의 어두운 뒷골목, 인도 뭄바이의 빈민가, 서울 달동네의 판자촌이 상기시키는 이미지다. 도시에 대한 교육도 도시화의 부작용을 강조하는 것에 쏠려 있는 실정이다.하지만 도시는 기회의 땅, 성공의 땅이다. 도시가 있기 때문에 미래가 있다. 그래서 사람이 시골을 떠나 도시로 몰리는 것이다. 도시의 가난보다 더 처참한 것은 시골의 가난이라는 것을 너무 쉽게 지나친다. 환경 파괴를 말하지만 도시에 사는
-
커버스토리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 어디까지 왔나
“자동차가 스스로 알아서 주행하고, 나는 차 안에서 사무를 처리하거나 영화나 본다.” 이제까지 공상과학 영화 또는 드라마에서나 가능했던 이런 꿈 같은 일이 점점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이미 일정 구간에선 운전자가 핸들을 잡지 않아도 자동차가 자동으로 운행되는 수준의 자율주행은 이뤄지고 있다. 이런 기술이 구현된 자동차가 부분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정도다. 운전자가 필요 없는 완벽한 자율주행차 시대도 머지않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때가 되면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앞을 보지 않아도 되고 꼭 자리에 앉아 있을 필요도 없다. 운전은 100% 차에 맡기고 화상으로 회의를 할 수도 있고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어도 된다. 자동차가 이동 수단이 아니라 일하는 사무 공간, 쉬고 즐기는 휴식 공간으로 바뀌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자동차가 달리는 재미와 성능에 집중했다면 자율주행차 시대가 열리면 자동차 안에서 할 일이 더 중요해진다. 정보(information)와 오락(entertainment)의 합성어인 ‘인포테인먼트’ 기술이라는 말이 자동차 업계의 화두로 떠오른 이유다. 실제 자동차 회사들은 차 안에 어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넣을지 고민하고 있다.자동차 회사들은 남보다 먼저 자율주행차를 내놓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동차 회사뿐 아니다. 구글 인텔 등 정보기술(IT) 기업들도 자동차 업체와 손잡고 자율주행차를 개발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전자장비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IT 업체 역할이 커진다. 자동차 업계와 IT 업계 종사자들은 “자율주행차는 미래 최대 유망산업 중 하나”라고 입을 모은다. 불과 몇 년 안에 자율주행차가 대세가 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아직
-
커버스토리
한국, 2020년까지 3단계 자율차 상용화… 선진국과 격차 커
정부는 2020년까지 ‘3단계’ 자율주행 자동차를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국내 자율주행차 기술은 2단계로 유럽 등 선진국(3단계 자율주행차 상용화)보다 늦다. 2단계는 앞에 있는 차량이 속도를 늦출 경우 알아서 감속하거나 차선 이탈을 감지해 막아주는 정도다. 3단계는 고속도로 등 일정 구간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지만 운전자는 주의가 상당히 필요한 수준이다.자율주행차 수준 0~5단계로 분류정부는 2022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제도·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작년 8월 경기 화성에 착공한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 시험장 케이 시티(K-City)도 올해 완공한다. K-City의 고속도로 구간은 업체·연구소 등의 시험을 위해 작년 11월에 먼저 개방했다. 자율주행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민간과 공유하는 ‘자율주행 데이터 센터’도 조성한다. 딥러닝(deep learning) 등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술을 이용하면 자율주행 분야 기술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자율주행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도로’도 구축한다. 3년 동안 수도권 고속도로 85㎞, 서울 시내 버스전용차로·도시고속도로 133㎞, 제주 주요 관광도로 300㎞ 구간을 차량과 도로가 실시간 정보를 주고받는 스마트 도로로 꾸며 시범 운영한다.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정밀 도로지도도 2020년까지 구축한다. 지난해 1351㎞ 구간의 정보를 구축한 데 이어 올해 주요 간선도로 등 1700㎞에 대한 정보를 추가한다.운전자 없이 주행하는 자율차는 5단계정부의 자율주행 로드맵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의 자율주행 기술 분류에 따른 것이다. 자율주행은 수준에 따라 0단계에서 5단계까지 총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