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말뫼의 눈물' 흘리는 울산
스웨덴 항구도시 말뫼. 이곳엔 거대 조선(造船) 회사인 코쿰스가 있었다. 중량 7000t, 높이 140m짜리 골리앗 크레인은 스웨덴과 말뫼의 자존심이었다. 2003년 이 크레인은 단돈 1달러에 현대중공업에 팔렸다. 조선 강국으로 떠오른 한국에 밀린 결과였다. 크레인이 해체되던 날 스웨덴 국영방송은 매각보도와 함께 장송곡을 틀었다고 한다. 말뫼 주민들은 한국으로 실려가는 크레인을 항구에서 지켜봐야 했다(흑백사진). 이 크레인은 이후 &lsquo...
-
커버스토리
'통계함정'을 피하려면?…표본의 모집단 대표성이 핵심
통계와 여론은 예측·판단의 대표적 근거다. 통계·여론은 경제를 진단하고, 유권자의 표심을 가늠하는 핵심 잣대다. 한데 통계와 여론은 자칫하면 왜곡될 수 있다. 통계를 집계하거나 여론을 조사하는 것은 모집단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다. 따라서 표본은 무엇보다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표본의 수가 클수록, 표본이 모집단에서 골고루 추출될수록 표본의 대표성은 커진다. 통계 결과나 여론조사 결과를 해석...
-
커버스토리
국민 판단 흐리게 만든 20대 총선 여론조사
흔히들 ‘통계는 과학’이라고 한다. 통계를 통해 사람들의 선택을 분석하고 법칙성을 추출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여론조사는 통계적 기법을 활용해 사회 전체적인 선호를 파악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론조사가 종종 빗나가는 데서 보듯 개별적인 개개인의 선택(선호)을 통해 집단 전체가 과연 어떤 선택(선호)을 했는지 정확하게 추출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여론조사 방법의 문제, 해석상 오류 등의 이유에서다. 지난 4월 총선에선 언론...
-
커버스토리
홈런타자 박병호 '멋지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에서 뛰는 한국 선수가 많아졌다. 추신수(텍사스) 강정호(피츠버그) 박병호(미네소타) 이대호(시애틀) 김현수(볼티모어) 오승환(세인트루이스) 최지만(로스앤젤레스)이 그들이다. 프로야구의 본고장인 미국에 한국 선수가 이렇게 많은 적도 없었다. 한국 야구가 성장했다는 증거다. 한국에서 뛰는 외국인 선수도 많다. 10개 구단에서 60여명이 뛰고 있다. 야구시장을 개방한 결과다. 선수 수출과 수입이 없었다면 한국야구의 발전은 요...
-
커버스토리
종이 신문을 읽자…신문을 읽어야 사고력과 판단력이 생긴다
현대 세계의 특징 중 하나는 변화의 속도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다는 것이다. 인간 두뇌를 넘어선 컴퓨터 인공지능(AI), 유전자를 뗐다 붙였다 할 수 있는 유전자가위, 세상 모든 사물과 연결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광속(光速)의 기술 발전은 인간의 지식과 사고, 사회제도도 거기에 맞춰 변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끊임없이 배우고 혁신하지 않으면 바로 뒤처지는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편의점의...
-
커버스토리
"신문을 읽으면 성공이 보인다"
성공한 사람 중에는 ‘신문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 이들은 신문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지식을 쌓고, 상상을 키우고, 경영 노하우를 터득했다고 말한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며 세계 최고 갑부 수위를 다투는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은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것은 신문에서 배우라”고 조언한다. 신문을 읽으면서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게 되면 어느 시점에 진짜 관심을...
-
커버스토리
"신문 읽으면 수능 평균 6~8점 높아진다"
“신문을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가정의 고교생은 비구독 가정 학생보다 수능 점수가 과목별로 평균 6~8점 높다.” 지난해 10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직능원)이 ‘신문읽기·독서와 학업성취’의 연관성을 연구 분석해 발표한 결론이다. 한마디로 신문을 읽는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월등히 뛰어나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신문을 꾸준히 읽으면 어휘력, 분석력, 이해력이 좋아져 ...
-
커버스토리
경제기사 어떻게 읽을까?…경제신문 잘 읽기 팁 7가지
세계 최고의 갑부 워렌 버핏은 새벽에 ‘종이 신문 읽기’로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왜 그럴까? 신문은 정보의 보고(寶庫)이자 치열하고 냉정한 세계에서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길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모바일 시대, 학생들은 책이나 종이신문을 보기 보다는 스마트폰으로 서핑하기 바쁘다. 기사를 읽더라도 폰 화면을 스크롤하며 스쳐 지나가듯 넘어간다. 이렇게 해선 지식과 판단력을 키울 수 없다. 시시각각 변화하고 하루가 멀다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