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인공지능(AI)…상상이 현실로
지난주 최대 관심사는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AI) 알파고 바둑대결이었다. 알파고가 연거푸 이기자 전 세계가 놀랐다. “과학소설이 현실화됐다.” AI를 향한 인류의 상상력은 쥘 베른이 1880년 비행기와 잠수함을 소재로 소설을 쓴 뒤 꽃피기 시작했다. 이후 조지 웰스가 1895년 ‘타임머신’을 쓰고, 체코인 차페크가 1920년 로봇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아이작 아시모프가 ‘로봇은 사람...
-
커버스토리
노동개혁법·서비스산업법이 뭐길래…기업들 "통과시켜 달라" vs 국회는 "아, 몰라"
지난 7일자 주요 신문 1면에 큼지막한 광고가 실렸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148개 경제단체 명의로 낸 ‘경제법안은 왜 외면하십니까’라는 광고 이야기다. ‘기업인과 국민의 안타까움이 보이지 않으십니까? 간곡히 호소드립니다. 경제활성화법안, 19대 국회에서 꼭 통과시켜 주십시오.’ 경제계는 울다시피 법안 처리를 호소한다. 좋지 않은 경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선 경제활성화법안이 필요하다는 읍소다. &lsq...
-
커버스토리
"속자생존의 시대"…산업 생태계가 바뀐다
“이제는 적자생존(適者生存)이 아니라 속자생존(速者生存)의 시대다. 가장 빠르게 적응하는 산업만이 살아남는다. ” 한국경제신문 주최로 지난 2월 25일 열린 ‘한경 밀레니엄포럼’에서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 말이다. 산업 생태계가 빠르게 바뀌고 있다. 우리나라 조선·철강·화학 등 기존의 전통적 산업은 성장의 모멘텀이 약해지는 징후가 뚜렷하다. 조선업계는 지난해 8조원이 ...
-
커버스토리
조선 '수주 절벽'…6개월 후 도크가 빈다
한국 조선업계 일감이 11년여 만에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이대로 가면 6개월 뒤에는 대형 조선소에서 빈 도크(선박 건조시설)가 나올 것이란 전망이다. 조선업계의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지난 4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한국 조선업체의 수주 잔량은 2844만CGT(표준환산톤수:건조 난이도 등을 고려한 선박 무게)로 전월보다 73만CGT 줄었다. 이는 2004년 4월 말(2...
-
커버스토리
"340일간 우주에 머물다 왔어요"
우주에 340일 동안 머문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 스콧 켈리(52)가 지난 1일 지구로 돌아왔다. 켈리는 지구 상공 400㎞ 궤도를 도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 거주하며 지구를 5440바퀴 돌았다. 장기 체류 이유는 우주인이 화성에 갈 때 어떤 신체변화를 겪을지 알아보기 위해서다. 화성에는 중력이 없고 방사선이 많다. 과학자들은 켈리의 혈액·침·소변의 변화를 분석하고, 눈·뇌·근육...
-
커버스토리
'세상을 보는 안경'…빅데이터는 기회이자 위기
빅데이터(big data) 시대다. 지구촌의 데이터는 하루하루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쓰임새 역시 날로 팽창한다. 스마트폰이 지구촌의 풍속도를 바꾼 것만큼이나 빅데이터가 삶의 구석구석까지 바꿔놓을 거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빅데이터는 방대한 규모, 엄청나게 빠른 생성속도, 무궁한 다양성, 가치 창출이 특징이다. 빅데이터의 토대는 디지털이다. 인간이 디지털에 남긴 흔적들이 모여 빅데이터가 된다. 데이터의 홍수시대 인터넷·스마트폰은 흔...
-
커버스토리
데이터 과학자·데이터 설계자…'빅데이터 시대' 떠오르는 직업들은?
빅데이터는 방대한 데이터에서 유용한 의미를 읽어낼때 비로소 의미가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 시대에는 데이터의 가치를 알아보고, 데이터를 분석·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빅데이터 시대에 가장 각광받고 있는 직업은 ‘데이터 과학자’다. 데이터 과학자란 데이터 과학과 관련된 분야를 전공하고 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외에도 빅데이터 분석가, 디지털 사이언티스트, 빅데이터 큐레이터. 데이터 ...
-
커버스토리
인공지능·보험·카드·사물인터넷…쓰임새 커지는 빅데이터
효용은 쓰임에서 나온다. 쓰임이 없으면 모든 게 무용지물이다. 빅데이터는 그 쓰임새가 무한팽창 중이다. 인공지능·로보어드바이저·사물인터넷·모바일·3D프린터…. 빅데이터는 ICT(정보통신기술) 시대의 주춧돌이다. 데이터가 허약하면 어느 것 하나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빅데이터는 ‘기계의 두뇌’다. 21세기는 데이터의 가치를 알고,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