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트럼프 돌풍…미국 민족주의 신호탄?
트럼프의 격정적 표정 연기 외국 텔레비전 리얼리티쇼 참가자의 연기(演技)가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70)라는 미국 정치인이 연설 도중 지은 얼굴 표정이다. 사진이 말해주듯 그는 격정적이다. 말투가 거칠고, 논리가 투박하다. 인종 비하 발언도 서슴지 않는다. 이런 그가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경쟁자를 모두 물리쳤다. ‘미국 제일주의’를 부르짖는 그의 구호에 백인 유권자들이 쏠렸다. ...
-
커버스토리
보수당 정책과 역행…트럼프 신드롬
미국은 전형적인 양당제 국가다. 민주·공화 양당이 여당·야당을 바꿔가며 미국 정치를 이끌어 왔다. 현재 야당인 공화당이 창당된 것은 162년 전이다. 미 공화당은 그동안 한결같이 보수가치를 추구해 왔다. 자유무역, 작은 정부, 헌법 존중, 기업 자율 확대 등이 기본 노선이다. 그런 공화당이 대선 후보자로 사실상 확정된 도널드 트럼프 때문에 딜레마에 빠졌다. 트럼프가 전통적 보수가치와 충돌하는 공약을 내놓자 당내에서 다른...
-
커버스토리
트럼프 "안보동맹과 자유무역으로 미국만 희생"
미국의 부동산 재벌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70)가 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트럼프는 미 공화당 대통령 선거(대선) 후보로 사실상 확정돼 오는 11월 선거에서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과 양자 대결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를 이끄는 ‘리더 국가’인 미국의 대선은 미국뿐만 아니라 지구촌 정치·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올해 미 대선에 특히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미국의 전통과는 반...
-
커버스토리
'학생부 전형' 전성시대 나의 대입전략은?
대학 입시에서 수시모집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고등학교 2학년이 치르는 2018학년도 대학 입시에서는 수험생 10명 중 7명 이상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수시모집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70%를 넘어서는 것이다. 대입도 전략이다. 합격의 영광을 누리려면 대학들이 어떻게 학생들을 선발하는지도 잘 알아야 한다. 대학들이 학생들을 뽑는 대입 전형은 크게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점수 위주로 뽑는 정시와 △수능 점수 외에 내신과 학교생활기록부...
-
커버스토리
거대시장 이란은 "우리 친구"
박근혜 대통령이 이란 방문을 마치고 지난 4일 귀국했다. 236명으로 구성된 역대 최대 규모의 경제사절단도 돌아왔다. 이란은 인구 8000여만명, 석유 매장량 세계 4위인 중동의 대국이다. 하지만 1인당 국민소득은 5000~6000달러에 불과하다. 철도 도로 항만 등 거의 모든 사회간접시설이 낙후돼 있다. 산업도 보잘 것 없다. 신정일치(神政一致)와 국제 고립경제가 가져온 결과다. 경제 개발에 나선 이란은 '거대 시장'이 됐다. 각국 지도자들이...
-
커버스토리
모집 비중 높아진 수시…학생부종합전형이 핵심
학생부종합(구 입학사정관제)은 2008학년도에 10개 대학이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비교적 작은 규모(254명 선발)로 시작됐지만 올해 7만2000여명에 가까운 신입생을 선발할 정도로 대폭 확대·증가했다. 특히 서울 주요대학 및 명문 대학들은 수시 전체정원의 50~60%에 가까운 인원을 모집할 정도로 이제 학생부종합은 주요 대입전형 제도로 확실한 자리매김을 했고 앞으로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대학 간 경쟁도 매우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커버스토리
수시 합격의 전략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짜라'
현재 고등학교 2학년들이 치르는 2018학년도 대학 입시에서는 수험생 10명 중 7명 이상이 수시모집으로 입학하게 된다. 수시모집 비중이 이처럼 확대되는 것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변별력이 갈수록 떨어져 수능만으로 우수 학생을 선발하기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대입의 무게중심을 수시에 두고 실패했을 때 정시에 도전한다는 생각으로 진학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원하는 대학...
-
커버스토리
오류와 왜곡…통계 제대로 활용하자
“세상에는 세 가지 거짓말이 있다. 그럴듯한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그리고 통계다.” 영국 빅토리아 여왕(재위 1837~1901년) 시대 총리를 지낸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말이다. 과학적 수치라고 알려진 통계가 사실은 쉽게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 표현이다. 정책이나 정치인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묻는 여론 통계도 마찬가지다. 지난 4월13일 치러진 20대 총선에서 국내 조사기관들이 수집한 여론통계 역시 민심을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