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기가바이트(GB)·테라바이트(TB)·엑사바이트(EB)…눈덩이처럼 커지는 데이터 용량

    가장 작은 데이터 단위는 0 혹은 1을 나타낼 수 있는 비트(bit)다. 8개의 비트가 모이면 1바이트(byte). 이후 1024를 곱할 때마다 킬로바이트(KB)·메가바이트(MB)·기가바이트(GB)·테라바이트(TB)·페타바이트(PB)·엑사바이트(EB)·제타바이트(ZB) 등의 순으로 커진다. 최근 디지털 음악의 대명사였던 MP3 시대가 저물고 '초고음질 오디오&#...

  • 커버스토리

    '정보화시대의 원유'…빅데이터가 바꾸는 세상

    # 사례1 =국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일부터 ‘건강iN’(http://hi.nhis.or.kr/)을 통해 ‘식중독 예측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상청 등과 함께 개발한 이 지도는 건강보험 통계, 기상·환경정보, 식중독 발생 자료 등 모든 관련 정보를 종합해 시·군·구별로 식중독 위험정보를 지도 형태로 보여준다. # 사례2 =“�...

  • 커버스토리

    잘 익은 체리 수확하듯 상승세 탈 종목 골라볼까

    주식시장에 ‘봄기운’이 완연하다. 연초 급락했던 주식시장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코스피지수 1950선에 도달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줄곧 한국 주식을 팔기만 하던 외국인의 ‘귀환’도 눈에 띈다. 하지만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가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입장에선 급락장만큼이나 선택이 쉽지 않다. ‘봄기운’을 받아 꾸준히 상승할 마땅한 투자 대상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증시 전...

  • 커버스토리

    쇠락하는 투쟁노조…슬픈 '발레오 이야기'

    우리나라 최고법원인 대법원이 지난 19일 노동조합 활동에 큰 변화를 예고하는 판결을 내렸다. ‘개별 기업노조는 산별노조에서 탈퇴해 독자적으로 노조활동을 할 수 있다.’ 판결이 나오자 주요 언론들은 ‘지난 20년간 막강한 힘을 휘둘렀던 산별노조가 타격을 입게 됐다’고 크게 보도했다. 왜 언론이 이 판결을 비중있게 처리한 것일까? 이 재판은 프랑스계 자동차 부품업체인 경북 경주의 발레오전장(電裝) 노조가...

  • 커버스토리

    제 발등 찍는 투쟁노조…가입률 '뚝' 노동공급 독점, 임금인상 압박

    노동조합의 등장은 산업시대 이전과 이후를 가른다. 18~19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혁명 이전에 노동조합이란 것은 없었다. 가족 단위의 가내수공업이 전부였던 시기에 오늘날의 노동조합이 생길 수 없었다. 부유한 소수 사람들의 요구에 따라 생산하던 길드라는 기술공의 조합이 있긴 했으나 현재의 노동조합과는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공장제 공업화 이후 등장 노동조합은 근대 이후 등장한 공장제 공업, 즉 산업혁명기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공장제 공업은 ...

  • 커버스토리

    미국 GM노조의 욕망…회사를 망가뜨리다

    GM(General Motors)은 미국을 대표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다. 포드, 크라이슬러와 함께 한때는 미국 자동차 ‘빅3’를 형성했었다. 대우자동차를 인수해 우리에게는 ‘한국GM’으로 친숙하게 다가온다. GM, 즉 ‘General Motors’란 이름에는 유래가 있다. 20세기 초 미국에는 여러 자동차 회사가 난립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컨베이어 벨트로 무장한 포디즘의 포드가...

  • 커버스토리

    민노총 탈퇴 후 흑자 행진…발레오전장 평균 연봉 1700만원↑

    강기봉 경주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사장(56)은 “이번 대법원 판결로 금속노조의 집요한 업무 방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며 “발레오그룹으로부터 더 많은 투자를 받아 2년 내 매출 1조원의 전장부품 전문기업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19일 말했다. 그는 이날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한국 경제에서 제조업이 위기라지만 노사가 뜻을 모은다면 성장판이 열려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rdquo...

  • 커버스토리

    사물인터넷·인공지능·무인자동차…시동 걸린 '4차 산업혁명'

    산업구조에 획기적 전환을 가져오는 기술발달이나 새로운 패러다임이 생겨날 때 ‘산업혁명’이란 말을 붙인다. 산업혁명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역사학자 아널드 토인비다. 그는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까지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과 혁신으로 야기된 사회·경제 변화를 ‘산업혁명’으로 명명했다. 직물·제철·증기력은 산업혁명의 중추 역할을 했다. 산업혁명 중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