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우향우' 하는 일본…긴장감 높아지는 동북아

    “일본을 되찾자.” 최근 일본의 보수정당인 자민당이 내건 슬로건이다. 다른 국가들의 위협에 대항할 수 있는 '강한' 일본을 되찾자는 의미다. 자민당은 동시에 군대 보유와 군비 확대 등 극우적 정책을 총선 공약으로 내놓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와 관련, “민족주의와 국가주의가 부각되면서 일본이 눈에 띄게 우경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때문에 아시아 지역의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일부의 망언(妄言)이란 식으로 취급돼왔...

  • 경제 기타

    (상) 준법경영이 반기업정서 해법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녹록지 않다. 밖으로는 세계경제가 불안하고, 안으로는 정치권의 대기업 때리기와 포퓰리즘으로 반기업정서가 팽배하다. 하지만 대기업들은 이 같은 정치권 공세에 답답해하면서도 소모적인 다툼에 말려드는 대신 법과 원칙을 지키는 '윤리경영'과 '사회적 책임완수'에서 위기 타개책을 찾고 있다. 삼성은 담합을 '해사(害社) 행위'로 간주해 무관용으로 대처하고 있다. 담합하다가 적발되면 해당 계열사의 최고경영자(CEO)에게 책임을 ...

  • 경제 기타

    한경 경제체험대회 大賞 받은 민사高 팀

    K팝에 의료·쇼핑까지… '韓流 앱' 굿 아이디어 “전 세계 팬들이 좋아하는 한류를 보다 정확하고 다양하게 알릴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다가 다국어로 된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만들자고 의견이 모아졌습니다” 민족사관고 2학년생 김현지 이하정 양, 신성국 신윤재 군(17)은 자신들도 좋아하는 K팝과 한류 문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방법으로 스마트폰 앱을 꼽고 '2012 한경 청소년 경제체험대회'에 참가했다. 대회 과제 중 하나인 창업계획...

  • 경제 기타

    카톡의 진화…애니팡 거쳐 드래곤플라이트로

    카카오톡의 진화는 어디까지 이어질까. 5년9개월 전 카카오가 설립되고 2년7개월 전 카카오톡이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카카오톡은 국민 모바일 서비스로 자리잡았다. 단순 무료 메신저에서 이젠 게임, 전자책, 음원 등을 판매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 변신하고 있다. 지난 7월 시작한 게임 서비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카카오페이지가 뭐지? 카카오는 지난 20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모바일...

  • 경제 기타

    <88>지나침을 경고하는 '계영배(戒盈杯)'와 래퍼곡선

    공자(孔子)의 언행을 기록한 '공자가어(孔子家語)'에는 '유좌지기(宥坐之器)'와 관련한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공자가 제나라 환공의 사당을 찾았을 때 그곳에서 속이 빈 채 기울어져 있는 그릇 하나를 발견했다. 공자가 아무것도 담겨 있지 않은 그릇이 기울어진 까닭을 궁금히 여기자 사당지기가 대답했다. “환공이 살아생전 곁에 두고 보던 그릇입니다. 속이 비어 있으면 기울어지고, 속을 적당히 채우면 바로 서지만, 가득 채우면 이내 엎질러지고 ...

  • 경제 기타

    "공짜 점심은 없다"…레이거노믹스·대처리즘으로 꽃 피워

    (2) '작은 정부론' 선도한 밀턴 프리드먼 밀턴 프리드먼이 누구인지 모른다고 해도 그가 남긴 유명한 말을 들으면 그의 사상을 짐작할 수 있다. “공짜 점심은 없다”는 그의 말은 고전적인 명언이다. 요즈음 정치권이 쏟아내고 있는 '무상급식' '무상보육' 등의 정책이 터무니없음을 말해준다. 정부와 관련된 명언이 흥미롭다. “임시로 정부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말을 믿지 말라.” “사하라 사막의 관리를 정부에 맡겨보라, 아마도 5년 안에 모래가 바...

  • 경제 기타

    토빈세 도입, 올바른 선택일까요

    찬 "외환시장 변동성 줄이기 위해서는 필요" 반 "자본통제국 낙인…외국인 투자 위축시켜" 원·달러 환율이 마지노선으로 불리던 달러당 1100원이 깨졌다. 원화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다는 얘기다. 원·달러 환율 하락은 전 세계적인 양적완화 붐의 영향이 크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들이 자국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풀어댔고 그 결과 풍부해진 자금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원화가치를 상대적으로 끌어올리면서 생기는 일이다. 우리나라 경제가 상대적으...

  • 경제 기타

    (중학생) 중3 수업시간…우린 무엇을 해야 하나요?

    중3 수업시간…우린 무엇을 해야 하나요? “이제 내신 걱정도 없고, 놀아야죠. 고등학교 올라가기 전에.” 서울 강남구 S여자중 이경민 학생은 '중3 말년'을 이렇게 말한다. 12월로 접어든 요즘, 기말고사가 끝난 대부분의 중학교 3학년들은 놀고 있다. 고등학교 진학으로 인해 중학교 3학년들은 중학교 1, 2학년들과 달리 기말고사를 일찍 끝냈다. 기말고사를 끝으로 봉사 점수, 내신, 출결 등의 집계가 끝났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수업도 제대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