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영업시간·점포간 거리 제한 등 경쟁 차단하는 규제정책…사농공상(士農工商) 앞세운 조선시대 '시장 적대적 DNA' 흔적
‘길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붓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효석의 단편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 나오는 문장이다. 허생원, 조선달, 동이 이렇게 세 사람이 봉평장을 보고 대화장...
-
경제 기타
추가로 금리를 인하해야 할까요?
글로벌 금융위기 후 7년간 제로 수준에 머물던 미국의 기준금리가 12월에는 인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미국의 실업률이나 물가상승률 등 주요 경제지표가 미국 중앙은행(Fed)이 목표로 하는 기준을 거의 충족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물가상승률은 목표치에 좀 못 미치지만 더 이상 기준금리 인상을 늦추는 것은 여러 가지로 곤란하다는 판단이 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내 금리정책은 어떻게 가야 할 것인가를 두고 논란이 한창이다. 미국과 달리...
-
경제 기타
전기를 생산하는 가장 싸고 좋은 방법은 원자력발전…통계와 데이터를 통해 과학적으로 보는 시각이 중요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기획 시리즈 ‘원자력은 에너지다’를 끝내면서 느끼는 소회가 아니다. 스티븐 존슨이라는 과학저술가가 쓴 책 제목이다. 이 책은 고도의 현대문명을 가능케 한 6가지 혁신을 역사에서 찾아내 소개한다. 6가지가 무엇인지는 이 시리즈에서 다룰 내용이 아니다. 인류 문명을 발전시킨 원동력을 아이디어와 혁신에서 찾았다는 점이 중요하다. 에너지를 둘러싼 인류의 ‘겁&r...
-
경제 기타
독서아카데미에서 '윤동주'를 만나다 등
독서아카데미에서 ‘윤동주’를 만나다 지난 9월 강원도 교육청이 개최한 ‘청소년 독서 아카데미’에 다녀왔다. 올해로 3년째를 맞이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춘천 소재 중·고등학교의 독서동아리가 같은 책을 읽은 후 그 책의 작가를 모셔서 책을 쓴 배경과 책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듣고 서로 의견을 나누는 시간으로 진행된다.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된 이번 강연에서는 ‘시인 동주&rsquo...
-
경제 기타
인류의 미래와 과학 기술의 발전 등
인류의 미래와 과학 기술의 발전 도구라는 개념은 인류의 탄생과 같이 등장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석기시대부터 현재까지 도구는 끊임없이 우리 주변에 존재하고 있고 발전하고 있다. 이런 도구의 발전이 지금의 과학 기술 발달의 원천이다. 과연 도구라는 것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일까. 석기시대에는 생계를 위해 쓰이는 도구들뿐이었다. 동물이나 물고기를 사냥할 때 쓰는 활, 창 등이 있다. 또한, 부족끼리 전쟁을 할 때 쓰는 칼이나 검, 도끼도 있...
-
경제 기타
제16회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캠프…연세대 송도캠퍼스서 2박3일 함께 해요!
‘제16회 한경 고교생 경제 리더스 캠프’가 12월25일(금)부터 27일(일)까지 2박3일간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열린다. 학생들은 최첨단 교육시설을 갖춘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고교에서 접하기 어려운 경제학과 경영학 강의를 유명 대학교수로부터 직접 들을 수 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 명문대에 재학 중인 멘토들이 2박3일간 함께 하며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들은 또 과목별 공부법, 전형별...
-
경제 기타
학생부종합전형 전성시대, 키워드는 '전공 적합성'
진로탐색과 비교과역량, 자기주도학습역량 등을 경험할 수 있는 ‘한경 청소년 진로역량 강화 캠프’가 내년 1월 개최된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하고 플로우교육 입시전략연구소에서 주관하는 이 캠프는 고등부의 경우 2016년 1월 1일부터 2일까지, 중등부는 1월 2일부터 3일까지 각각 1박2일 동안 청호인재개발원에서 진행 된다. 참가자 전원에게는 한국경제신문사 명의의 수료증이 발급되며 봉사교육을 통해 4시간의 봉사시간도 발급...
-
경제 기타
"학교 경제교육 붕괴…유대인 5세부터 금융교육…경제이론 쉽게 가르치는 주니어 테샛이 대안"
“대학 입학 수학능력시험에서 경제과목 선택자 비율은 매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경제 교육은 현재 일선 고교에서 붕괴 수준입니다.”(심재학 KDI 경제교육실장) “유대인들은 5세부터 용돈을 주면서 경제 교육을 하는데, 한국은 선택과목을 경제로 하는 고등학생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중학교가 유일한 경제 교육 시기입니다.”(김동준 기획재정부 창조경제팀장) 국회입법조사처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