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반도체 1등 대한민국'에 도전장 내민 중국 정부
☞ 중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IT(정보기술)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거의 대부분의 제조업에서 한국을 뒤따라 잡고 있으나 유독 반도체 부문에선 중국 업체들이 힘을 못쓰고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된듯 하다. 중국 정부의 이같은 ‘반도체 굴기(堀起·떨쳐 일어서는 것)’는 우리에게 심각한 잠재 위협이 되고 있다. 중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 육성은 국영업체들을 통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
-
경제 기타
(42) 자유와 책임은 서로 보완하는 가치
자유시장의 도덕적 핵심가치는 책임원칙이다. 개인이 행동을 통해 자신 또는 타인의 재산, 자유, 인격 등에 끼친 피해나 손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책임이 따르지 않는 자유는 의미가 없고 자유 없는 책임도 있을 수 없다. 자유와 책임은 서로를 보완하는 가치다. 자유롭고 책임감이 투철한 인간을 육성하는 걸 자유사회의 교육 목표로 여기는 것도 자유와 책임 간 상보(相補)관계의 중요성 때문이다. 그런데 그 관계를 전적으로 부인하는 패러다...
-
경제 기타
한국판 양적완화 필요할까요
강봉균 새누리당 공동 선거대책위원장이 총선 공약으로 경기부양을 위한 ‘한국판 양적 완화’를 들고 나왔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한은)이 산업금융채권(산금채)과 주택담보대출채권을 매입, 직접 기업의 구조조정을 지원하고 주택담보대출 상환기간도 늘려주겠다는 것이다. 양적 완화 주장은 마침 우리 경제가 활력을 잃고 자칫 일본처럼 장기 불황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팽배한 시점에 나와 치열한 찬반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선거용 포...
-
경제 기타
HAFS, 그 원대함을 느끼다 등
HAFS, 그 원대함을 느끼다 중학교 1학년 시절 용인한국외국어대부설고(HAFS)라는 학교를 처음 접하고 알 수 없는 무언가에 홀렸다. 그로부터 3년 뒤인 현재 나는 외대부고의 인문과정 1학년 학생이 됐다. 구체적인 본론 제시에 앞서 잠시 외대부고라는 학교를 설명해보겠다. 명실상부 전국 최고의 고등학교인 외대부고는 단순히 ‘서울대 최다 배출 고등학교’라는 간판만이 빛나는 곳이 아니다. 오히려 그런 화려한 이면이 아닌, 내...
-
경제 기타
서울 환경운동연합을 다녀와서 등
서울 환경운동연합을 다녀와서 최근 학교 동아리의 외부활동으로 환경운동연합 서울지부를 찾았다. 환경운동연합은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결성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환경단체다. 환경운동연합 건물 2층 내부 벽면에는 사진과 함께 지난 30년간 환경운동연합이 환경보호를 위해 벌여 온 다양한 활동들이 적혀 있었다. 2001년 새만금 갯벌 살리기 운동, 2007년 허베이 스피릿호 기름유출 방제활동 등이 눈에 띄었다. 인상 깊었던 점은 환경연합 건물에 사...
-
경제 기타
한국사 시험 안보면 전체 수능성적 '무효'
오는 11월17일 치러지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한국사가 필수과목으로 지정돼 한국사 시험을 보지 않으면 시험 자체가 무효가 된다. 또 2016학년도까지 시행한 국어의 A·B형 수준별 시험은 폐지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7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이처럼 확정해 지난달 29일 발표했다. 한국사 필수, 이과생 부담될 수도 교육과정평가원은 올해 처음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한국사 ...
-
경제 기타
"경제적 자유 핍박하는 정치, 국민이 심판해야"
정부 개입을 비판하고 시장의 가치를 옹호하는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이 경제 발전의 원동력인 ‘경제적 자유’가 심각하게 후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4·13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기승을 부리는 포퓰리즘(대중인기 영합주의)이 경제적 자유를 억압하면서 한국 경제를 저성장의 깊은 늪으로 밀어넣고 있다고 우려했다. “시장이 풀 문제도 정치가 결정” 조장옥 한국경제학회장은 지난 30일 &lsq...
-
경제 기타
몽펠르랭소사이어티 한국서 첫 지역 총회
세계 자유주의 경제 석학들의 모임인 몽펠르랭소사이어티(MPS: Mont Pelerin Society) 지역총회가 내년 5월7~10일 3박4일 일정으로 서울에서 열린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유치해 주관하는 서울총회의 주제는 ‘경제적 자유: 번영으로 가는 길’이다. 그동안 아시아에서는 일본, 대만, 홍콩에서 지역총회와 총회가 열린 적이 있지만 한국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년은 MPS가 출범한 지 70년이 되는 해이면서 한국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