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수상한 소설가 한강 "상은 중요하지 않아…글쓰기에 전념할 터"

    “저는 글을 쓸 때 책이 나온 다음의 일은 생각하지 않아요. 글을 쓰는 사람은 그냥 글을 써야죠. 노벨문학상은 책이 완성된 뒤 아주 먼 미래에 나오는 결과잖아요. 그런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시아인 첫 맨부커상 수상자인 소설가 한강 씨(46)는 지난 24일 문학상에 대한 의견을 묻자 이같이 말했다. 이날 서울 동교동 한 카페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다. 맨부커상 수상 뒤 처음으로 언론과 만나는 자리였다. 한씨...

  • 커버스토리

    효율적 독서법…요약하고 키워드를 찾아라

    ‘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논어 첫 장 첫 구절에 나오는 이 문구는 배움의 즐거움을 일깨운다. 공자는 “아는 사람은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그것을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고도 했다. 독서 역시 즐거워야 한다. 그래야 책과 오래 벗이 된다. 시간에 쫓기는 학생들에겐 효율적 독서법도 중요하다. 같은 도구라도 ...

  • 경제 기타

    "세상에 공짜는 없다" 경제학자의 사고법

    사람들의 경제활동을 연구하는 경제학은 ‘선택의 학문’이라고 한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어떻게 하면 최대의 효율(효용이나 이익)을 거둘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경제학을 배우는 목적은 △현실의 세계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고 △합리적 선택의 기본원리를 익히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경제학자들은 어떻게 세상을 바라볼까? 애덤 스미스 이래로 경제학자들의 사고법을 한마...

  • 경제 기타

    국회법 개정 '365일 청문회' 가능해져…"국회 '갑질'로 국정 위축과 기업 경영 차질 우려"

    ☞ 국회가 사회적 이슈에 대해 미국처럼 상시 청문회를 열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은 국회법 개정안이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수시로 국회가 청문회를 열어 이슈 관계자나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듣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자는 데는 반대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국회를 이미 통과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

  • 경제 기타

    (49) 규제와 지원의 역설

    올초 한국은행은 한국의 연평균 잠재성장률이 3%대 초반(3.0~3.2%)으로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경제 성장의 엔진이 식어가고 있다는 뜻인데, 여론의 반응은 새삼 놀라워하는 기색이 아니다. 아마도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3%에도 미치지 못한 것에서 보듯이 저성장의 고통을 이미 겪어왔기 때문일 것이다. 이 상태로 가면 한국 경제의 미래는 없다는 암울한 전망에 익숙해졌기 때문일 수도 있다. 경제 부진이 이어지고 갈수록 활력이 떨어지는 근본적...

  • 경제 기타

    재판매 가격 유지행위 허용 옳을까요

    공정거래위원회가 그동안 원칙적으로 금지해온 ‘재판매가격 유지 행위’를 예외적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최저가격 결정권을 제조업체에 주자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통업체는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제조업체가 정한 가격보다 싼 가격에 물건을 팔 수 없게 될 전망이다. 공정위는 그동안 제조사의 이 같은 가격 개입이 경쟁을 제한한다며 금지해왔다. 하지만 유통업체의 지나친 가격 인하 경쟁이 중소 납...

  • 경제 기타

    대한민국에 '남고(男高)'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등

    대한민국에 '남고(男高)'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최근 성차별에 관한 시민의식이 높아지면서 남녀 차별은 사회적, 문화적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성차별의 뿌리는 아직도 우리 사회에 남아있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는 여자고등학교를 일컫을 때 학교 이름에 여자고등학교를 넣는다. 허나 남자고등학교는 그렇지 않다. 이는 한국에서 인간의 기본과 어원은 ‘남자’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비교적 최근에 생긴 고등학교 중 이러...

  • 경제 기타

    경제인의 꿈을 키운다…중학생 경제캠프 마감 임박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하는 ‘중학생 경제캠프’가 이번주 토요일, 28일(토) 고려대학교 현대자동차경영관에서 개최된다.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한경 중학생 경제캠프는 5월, 10월 연 2회 열린다. 중학생 경제캠프의 특징은 경제 기초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알려주고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경제의 기본 원리와 금융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췄다. 국책연구기관인 KDI의 박정호 연구위원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