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올들어 평균 환율 1415원
1998년, 2009년보다 더 높아
개인·연기금, 해외투자 확대
외화수급 구조적으로 변화
올들어 평균 환율 1415원
1998년, 2009년보다 더 높아
개인·연기금, 해외투자 확대
외화수급 구조적으로 변화
17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15원50전으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평균 환율 1394원97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276원35전보다 높았다. 사상 최대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와 높은 대외 신인도에도 환율이 국가부도 위기 때보다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기업들은 생각하지 못한 환손실에 비상이 걸렸다. 해외 주재원과 유학생의 부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올 들어 17일까지 212거래일 중 절반이 넘는 118거래일 동안 환율이 1400원 위에서 움직였다. 개인과 연기금, 기업이 해외투자를 큰 폭으로 확대하면서 수출로 벌어들이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달러가 빠져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순대외금융자산(대외채권-대외채무)은 지난 2분기 1조304억 달러로, 처음 플러스를 기록한 2014년 127억 달러보다 100배 가까이 늘었다.
전문가들은 국내 거주자의 해외투자 확대는 구조적 변화여서 당분간 고환율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한국의 생산성과 자본수익률이 높아지지 않으면 장기 침체를 겪은 일본처럼 투자자들이 계속해서 원화를 달러로 바꿔 해외 투자 비중을 높일 것이라는 얘기다.
이희은 한국은행 해외투자분석팀 과장은 “순대외자산 증가는 대외 건전성 강화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자본의 해외 유출에 따른 국내 자본시장 투자 기반 약화, 달러 수요 증가에 따른 원화 약세 압력 등 부정적 측면도 있다”며 “국내 투자를 유도하는 정책적·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진규 한국경제신문 기자NIE 포인트1. 원화 약세의 구조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2. 개인과 연기금의 해외투자는 왜 확대될까?
3. 고환율이 정착되면 우리 생활이 어떻게 달라질까?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최대 30배 과징금…공연, 스포츠 암표상 잡는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5929.3.jpg)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금융위기 일으킨 '변동금리 주담대' 미국서 다시 확산](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832.3.jpg)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아마존 1.4만명 감원…"AI로 중간관리직 대체"](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78.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