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대 ‘무안공항 참사’ 논란은 애초 ‘무안’을 드러내지 않을 바에야 제삼의 명칭을 찾았어야 했다. 이를 간과하고 ‘제주항공’이 성급하게 결정되는 바람에 애꿎은 ‘제주’가 피해를 보게 된 셈이다.
뉴스1
뉴스1
#1. 2019년 12월 중국발 외신을 통해 신종 감염병 소식이 국내에 전해졌다. 강력한 전파력이 심상치 않던 이 전염병은 처음엔 ‘우한폐렴’으로 불렸다. ‘우한(武漢)’은 중국 후베이성 성도(省都)로, 이 질병이 처음 발생해 보고된 도시다. 하지만 이 명칭은 오래가지 못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곧바로 2020년 2월 공식 명칭을 ‘COVID-19’으로 결정해 발표했기 때문이다. ‘COronaVIrus Disease’를 줄인 말이다. ‘19’는 2019년에 처음 발견됐다는 의미로 붙었다.글쓰기에서 ‘관점’을 잘 살펴야한국 정부 역시 이를 받아 ‘코로나19’로 이름을 바꿨다. 우리 국민에게 ‘코로나’라는 이름이 익숙하다는 점에서 정부가 COVID 대신 그리 정해 부르도록 했다. WHO의 공식 명칭 발표는 새 전염병 이름을 지을 때 특정 지역이나 사람, 동물 이름을 병명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른 결정이었다. 해당 지역이나 민족·종교 등에 미칠 부정적 영향, 즉 낙인효과를 막기 위한 노력인 셈이다. 2015년에 도입한 것으로, 이른바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의 추구다.

#2. 2025년 1월 10일 국토교통부 정례 브리핑에선 다소 이례적인 발표가 있었다. “이번 사고를 두고 일각에서는 ‘무안공항 참사’라고 잘못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릇되게 불리는 것에 대한 지역의 우려가 있습니다.” 그러고는 지난해 12월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사고의 공식 명칭은 유가족과 협의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라고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에 앞서 제주도는 올해 1월 초 행정안전부에 사고 명칭을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제주항공’ 명칭이 부각되면서 관광객 감소 등 ‘제주’ 이미지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는 것이었다.

두 사례에서 읽을 수 있는 논란의 핵심은 언어의 ‘관점(point of view)’이다. 누구의 처지에 서서 말하는가? 모든 발화에서 이 ‘관점’은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한창 확장해가던 2020년 3월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 중국은 전염병 명칭을 두고 한판 세게 붙은 적이 있다. 트럼프는 대놓고 코로나19를 ‘차이나 바이러스’라고 불렀고, 이는 인종주의자 논란이 일던 그해 3월 말까지 계속됐다.명칭이 전하는 부정적 영향 조심해야‘제주항공 참사’ 대 ‘무안공항 참사’ 논란은 애초 ‘무안’을 드러내지 않을 바에야 제3의 명칭을 찾았어야 했다. 이를 간과하고 ‘제주항공’이 성급하게 결정되는 바람에 애꿎은 ‘제주’가 피해를 보게 된 셈이다.

명칭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고려해 본래 쓰던 이름을 바꾼 사례는 우리말에서 흔하다. 애초 ‘조류독감’으로 불리던 것을 ‘조류인플루엔자’로, 원숭이두창을 암호 같은 영문 약어인 ‘엠폭스(MPOX)’로 바꾼 게 그런 사례들이다. 이보다 앞서 우리 사회가 장님이나 벙어리, 귀머거리 대신 각각 시각장애인, 언어장애인, 청각장애인으로 용어를 바꾼 것 역시 모두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한 결과다. 때밀이는 세신사가 됐고 간질과 정신분열증이 뇌전증, 조현병으로 각각 이름을 바꿔 자리 잡은 것도 마찬가지다. 이데올로기적으로는 ‘정치적 올바름’의 추구이고, 수사학적으로는 ‘완곡어법’에 해당한다.

홍성호 이투데이 기사심사위원·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홍성호 이투데이 기사심사위원·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글쓰기에서 ‘관점’을 중요시하는 까닭은 그것이 글에 객관성과 합리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평소에 자주 쓴다고 생각하는 여러 용어가 실은 개념적으로 불투명한 경우가 많다. 가령 ‘6·25전쟁, 한국전쟁, 6·25사변, 6·25동란’ 식으로 혼용되는 이들 용어 중 공인된 용어는 6·25전쟁이다. 교육부에서 2004년 4월 교과서 편수용어(근현대사 용어 통일)로 고시했다. 이에 따라 교과서 용어로 쓰이는 말은 자국사적 관점의 용어인 ‘6·25전쟁’ 하나뿐이다. ‘한국전쟁’은 외국 등 제3자의 시각에서 칭하는 말이란 점에서, ‘6·25사변’ 또는 ‘6·25동란’은 사실을 왜곡하는 역사관이 투영된 표현이란 점에서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