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한번 먹자”가 직장같이 위계질서가 있는 곳에서 나왔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단순한 친교문도 수행문으로 바뀔 수 있다. ‘수행문(수행어)’이란 어떤 평가나 판단, 규정을 행하는 문장이다.
하지만 “밥 한번 먹자”가 직장같이 위계질서가 있는 곳에서 나왔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그때는 단순한 친교문도 수행문으로 바뀔 수 있다. ‘수행문(수행어)’이란 어떤 평가나 판단, 규정을 행하는 문장이다. “정부는 오늘부터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전히 해제했습니다.” 이걸 리포터가 말했다면 그것은 진술문이다. 그는 발화를 통해 단순히 정보를 전달한 것이다. 즉 ‘진술문’이란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해 자세히 적은 글을 말한다. 화자가 사건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진술하는 문장 형태로 나타난다.
이에 비해 앞의 발언이 정부 당국자 입에서 나왔다면 그것은 수행문이 된다. 그의 발언에 의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판단되고 규정되고 집행되는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수행문은 대개 명령하고 약속하고 요구하고 주문하는 의미를 담는다. 수행문의 전형적 표현 양식은 직설법 1인칭 현재 어법이다. 신문 사설 제목에 명령문이 자주 나오는 까닭은 그것이 대표적 수행문이기 때문이다. ‘약속, 초대, 사과, 예언, 서약, 요청, 경고, 주장, 금지, 주문, 요구, 명령’과 같은 동사를 수행동사라고 하는 점을 기억해두면 이해하기 쉽다. 같은 말이라도 위아래 따라 달라져진술문이냐 수행문이냐를 구별하는 기준은 ‘누가 말했는가’이다. 말하는 사람에 따라 진술문이 되기도 하고, 수행문이 되기도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진술문과 수행문의 성립은 말하는 사람이 그 말을 할 ‘자격’을 갖췄냐에 따라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직장 상사가 혼삿날을 알리면서 아랫사람한테 “밥 한 끼 먹으러 와라”라고 했으면 그것은 강력한 수행문으로 작동한다. 즉 표면적으로는 그냥 “밥 한 끼 먹자”는 의례적 말인 것 같지만, 심층적으로는 (무언가를) 해내는 표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친교문은 무엇에 대해 진술하거나 설명하고 판단하는 말이 아니다. 그저 사람들과 사귀고 의사소통하기 위한 발화다. 가장 기본적 형태가 “안녕하세요/덕분입니다/고맙습니다” 같은 표현이다. 오가면서 “밥 한번 먹자”, 헤어지면서 “담에 또 보자” “담에 연락할게”, 오랜만에 만나서 “얼굴 좋아졌네” 또는 “더 예뻐졌네”라고 하는 말들도 흔히 쓰는 친교문이다.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접속어 '다만'의 용법 이해하기](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27.3.jpg)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주차용량 200본' vs '주차용량 200대'](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25.3.jpg)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범죄 경력'과 '온난화 기여'의 어색함](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9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