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33) 한·일 잇는 '다리' 대마도
통일신라와 적대적 관계 지속…우리 역사에서 멀어져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33) 한·일 잇는 '다리' 대마도
통일신라와 적대적 관계 지속…우리 역사에서 멀어져
![대마도 북부 조일산고분군의 석관묘. 돌판을 이용해 상자식으로 만든 전형적인 한반도 양식이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4948012.1.jpg)
나는 1982년 겨울 밤, 사고마을의 덴신다쿠쓰다마 신사에서 벌어지는 ‘오이리마세’라는 의례에 참여한 적이 있다. ‘천도(天道)신앙’이라는 고대 신앙을 남긴 이곳을 신숙주는 《해동제국기》에서 ‘죄인이 신당에 들어가면 감히 잡지 못한다(罪人 走入神堂 卽亦不敢追捕)’라고 기록했다. 마한에 있던 소도신앙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윤명철 《일본기행》, 1989년) 애증의 한·대마도 관계7세기 중엽 동아시아 역학관계와 한민족의 역사 방향을 바꾼 ‘동아지중해 국제대전’이 발생하면서 대마도의 운명은 달라졌다. 661년부터 왜국은 부흥운동을 펼치는 백제에 군수물자와 병력을 지원했다. 혈연적·문화적으로 가깝다는 명분과 함께 당나라와 신라의 현실적인 위협을 제거할 목적이었다. 하지만 백·왜 연합군은 663년 8월 나·당연합군과 벌인 백강(백촌강)전투에서 대패했고, 유민들은 왜군들과 일본열도로 대거 탈출했다.
그들은 664년 대마도와 이키섬에 봉화 등 방어체제를 쌓고, 규슈 북부 해안(후쿠오카 지역)의 정청을 지금의 다자이후로 옮긴 뒤 곳곳에 성을 쌓았다. 다시 667년 백제의 달솔인 도훈?쇼(答春初)는 유민들을 지휘해 대마도의 아소만(淺茅灣) 옆 산꼭대기에 가네다성(금전성)을 쌍았다. 소위 ‘백제식 산성’이다. 이렇게 해서 대마도는 신라의 공격을 방어하는 최전선으로 변했으며, 우리 역사에서 이탈했다. 670년 왜국은 국명을 일본으로 변경했고, 통일신라와는 적대적인 관계가 됐다. 하지만 두 나라는 때때로 제한된 교류를 했다. 일본은 대마도에 ‘신라역어(통역관)’를 뒀을 정도였다. 그런데 9세기에는 신라 해적이 일본을 침공했으며, 894년에는 대마도를 두 차례나 공격했다.
13세기에는 왜구들이 등장해 고려를 위기로 몰아넣었다.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여서 세종 때는 이종무가 전선 227척에 병사 1만7285명으로 대마도를 공격했다. 하지만 조선은 회유책을 택해 식량 등 생필품을 하사하며 무역권을 주었고, 심지어는 관직까지 내렸다. 이 때문에 대마도가 조선의 영토였다는 우리 기록과 지도들이 많았지만, 실질적으로는 일본의 영토였다. 즉 경제적으로는 우리, 정치적으로는 일본을 선택하는 ‘중간자’의 숙명을 갖고 반독립적인 역사를 유지했던 것이다. 이승만 대통령의 대마도 반환 요구1949년 1월, 이승만 대통령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일본에 대마도 반환을 요구했다. 1952년에는 ‘평화선(Lee Line)’을 선포했다. 잃어버린 땅과 잊혀진 역사에 분노하는 일은 필요하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왜 잃었는지’를 정확하게 알고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일이다.
대마도에 사는 왜인들에게 1000년 이상 괴롭힘을 당했던 우리는 누구인가? 은, 수산물 같은 자원의 보고이며 천혜의 요충지인 대마도를 도대체 왜 ‘우리 영토’로 만들지 못했을까? √ 기억해주세요
![동국대 명예교수·사마르칸트대 교수](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AA.23627452.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