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끝)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다양한 평가(下)
동학농민혁명기념관 내 전봉준 장군 동상. /전봉준장군동상건립위원회 제공
동학농민혁명기념관 내 전봉준 장군 동상. /전봉준장군동상건립위원회 제공
승승장구하던 전봉준의 군대는 관군을 선제공격하다가 패배했고, 초토사인 홍계훈은 이를 계기로 탐관오리의 숙청을 약속하면서 봉기군의 해산을 요구했다. 전봉준은 그동안 제기했던 격문, 강령, 개혁안 등을 정리해 ‘12개 폐정개혁안’을 정부에 제시했다. 즉 노비 문서는 불태워버리고, 청춘과부의 개가를 허락하며, 왜(倭)와 간통(奸通)하는 자는 엄하게 벌하고, 토지를 균등하게 나누어줄 것 등의 혁명적 내용이었다. 결국 ‘전주화약’이 성립됐고, 동학 농민군은 고향으로 돌아가 포(包)를 설치하고 접을 조직해 충청도 강원도 경기도, 심지어는 황해도 평안도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봉기의 근원지인 전라도 일대에선 젊은이의 대다수가 동학에 입교할 정도였다. 동학 농민군은 ‘도인(道人)과 정부가 서정(庶政)을 협력한다’는 전주화약의 조항에 근거해 마을마다 집강소를 설치한 뒤 각종 개혁을 주도했다. 정부 관리의 힘이 미치지 못해 일종의 ‘해방구’적 성격도 띠었다.

이처럼 동학은 체제 변혁의 명분과 이론을 제공했다. 동기를 유발하는 동시에 혁명적 개혁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군사력 등의 인적 자원을 제공하면서 동학화한 일반 농민과 공동으로 정부에 맞서 정면대결했다. 여기에 ‘척왜양’이라는 구호와 강령을 필두로 일본군과 벌인 본격적인 전투는 봉기의 성격과 위상을 혁명 수준으로 격상시켰다. 그 무렵 일본 정부가 이 사태의 발발을 예측하고 대비했다는 증거는 찾지 못했다. 하지만 ‘척왜’ 구호가 등장했을 당시 이미 농촌까지 침투한 일본 스파이의 보고로 봉기의 성격과 진행 과정 등을 알았을 가능성이 크다. 그 때문에 청군의 상륙 소식을 듣자 즉각 군대를 인천에 상륙시켜 서울의 경복궁을 점령하고 친일 정권을 수립한 것이다. 그리고 정부는 7월부터 동학이 요구한 내용에 접근한 갑오개혁에 착수했다.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30년 가까이 충돌하던 일본과 청나라는 전쟁을 일으켰고, 조선은 비참한 전장이 됐다. 일본의 승리가 확정되자 전봉준과 손화중 등 동학 농민군은 9월 중순 ‘척왜’를 선언하며 2차 거병했다. 불과 한 달 만인 10월 말 삼례역에만 11만 명의 동학군이 집결했으며, 손병희가 지휘하는 북접군도 남하했다. 드디어 동학 농민군은 공주의 우금치에서 정부·일본 연합군과 6~7일 동안 40~50회에 달하는 혈전을 벌였다. 하지만 1만여 명 가운데 500여 명만 탈출하는 대패배를 당했다. 이어 다른 지역에서 김개남 부대와 손병희 부대가 패했고, 강원도와 황해도 등에서도 동학군은 패배했다. 12월 30일 밤 전봉준이 포로로 잡혀 서울로 압송되면서 군사행동은 끝났고, 이듬해 4월 그가 손화중 등과 함께 처형당하면서 1년여에 걸쳐 전투와 개혁정치를 실현하던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끝났다.

동학농민혁명을 놓고 다양한 평가가 있다. 조선의 사상과 신분 체제를 뒤흔든 역사적인 사건이었고, 행위의 주체와 성격이 특별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의 운명은 물론 동아시아의 신질서 수립에 큰 영향을 끼쳤다. 부정적인 평가로는 전술상의 문제점, 남접과 북접의 갈등을 비롯한 청·일 전쟁을 일으켜 일본의 조선 지배를 본격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 등이 있다.

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사마르칸트대 교수
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사마르칸트대 교수
하지만 ‘민족사’란 장기적이고, 통일적인 관점에서 보면 긍정적인 면이 많다. 서학(천주교)을 통해 소개됐고, 갑신정변으로 실패한 개혁 의지와 민권사상을 일반 백성이 실제 생활 속에서 재발견했고, 그 요구를 원(原) 정체성에 뿌리를 둔 민족종교와 연결해 정신과 체제를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외세의 실체를 생활 속에서 자각했으며, 저항과 타도의 대상으로 각인시켜 의병투쟁, 독립전쟁 등으로 계승되도록 했다. 무엇보다 생존권의 요구와 일회성의 저항을 넘어 평등과 보편적 권리를 주장하면서 군사행동 등을 전국적으로 개진한 체험은 민족의식이 탄생하고, 근대 국가, 근대 국민으로 성숙하는 전기를 만들었다. 동학농민혁명은 가치와 자유를 위해 정부군 및 일본군과 승산 없는 전쟁을 펼쳤던 민족사의 유일무이한 혁명이다.√ 기억해주세요동학농민혁명을 놓고 다양한 평가가 있다. 조선의 사상과 신분 체제를 뒤흔든 역사적인 사건이었고, 행위의 주체와 성격이 특별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의 운명은 물론 동아시아의 신질서 수립에 큰 영향을 끼쳤다. 부정적인 평가로는 전술상의 문제점, 남접과 북접의 갈등, 청·일 전쟁을 촉발해 일본의 조선 지배를 본격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 등이 있다.

< 연재를 마치며 … > 지난 3년 동안 ‘한국, 한국인 이야기’를 집필하면서 매번 아쉬움과 탄식, ‘만약 이렇게 됐더라면?’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역사는 가정이 불가능하지만, 역사학은 가정이 필수적입니다. ‘역사학은 미래학’이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관심을 가져주신 애독자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