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률풍'은 이미 완전히 잊혀졌고, 전화기와
경쟁하는 외래어 또는 우리말 대체어는
'자유로운 언어의 시장'에서 경쟁하는 중이다.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덕률풍'에서 '스마트폰'까지
코로나19 사태는 우리 사회의 많은 것을 바꾸고 있다. 우리말에도 이미 영향을 끼쳤다. 관련 외래어가 새로 선보이거나 다시 부각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언택트’도 그런 말 중의 하나다. ‘언택트 마케팅, 언택트 소비, 언택트 서비스, 언택트 쇼핑, 언택트 문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쓰인다는 점에서 이 말은 생산성이 꽤 높다.

‘텔레폰’을 음역해 ‘덕률풍’으로 불러

‘비대면’ ‘비접촉’ 정도로 번역되는 이 말은 사실 코로나19 이전부터 쓰였다. 금융업 등에서 ‘비대면(非對面) 계좌 개설’, ‘비대면 서비스’ 식으로 많이 소개됐다. 그러던 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말 ‘비대면’보다 ‘언택트’가 전면에 부각돼 더 활발하게 쓰인다는 점은 다소 역설적이다. 현실 언어에서 외래어에 밀리는 우리말을 지켜봐야 한다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

어찌됐든 ‘언택트’의 부상은 우리 커뮤니케이션의 행태와 질서에 놀라운 변화를 가져올 전조임에 틀림없다. 소통의 측면에서 보면 ‘언택트의 원조’로 전화를 꼽을 만하다.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람끼리 서로 얘기를 나눌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전화기가 우리나라에 처음 선보인 것은 1898년, 지금으로부터 122년 전이었다. 개화기 서양문물이 한창 밀려들어 오던 시절이었다. 당시 궁내부(宮內部) 주관으로 궁중에서 각 아문(衙門)과 연락을 취하기 위해 덕수궁에 전화 시설을 마련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텔레폰(telephone)’의 발음을 본떠 한자식으로 음역해 ‘덕률풍(德律風)’이라고 불렀다(정확히는 중국에서 ‘德律風’으로 쓰고 [더뤼펑]쯤으로 읽은 말을 들여다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큰 덕, 펼칠 률, 바람 풍’이다. ‘덕을 펼치는 바람’이란 뜻으로, 이름을 그럴듯하게 지었다. 또는 그 용도를 따져서 ‘전어기(傳語機, 말을 전하는 기계)’라고도 했다.

핸드폰, 휴대전화…‘언어의 시장’서 경쟁 중

당시 ‘덕률풍’은 최첨단 과학의 산물이었다. 이 문명의 이기가 시일이 흐르면서 1920년대에는 ‘전화’로 바뀌었다. 《표본실의 청개구리》로 유명한 염상섭이 1925년 단편소설 《전화(電話)》를 발표했다. 염상섭은 이 작품에서 신문물인 전화기의 도입과 이를 통해 드러나는 인간의 과시욕, 사생활 노출 등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그의 소설 제목처럼 ‘전화’로 불릴 때까지도 우리나라에는 제대로 된 우리말 표기법이 없었다. ‘전화기’란 말이 사회적으로 공인된 것은 1938년 국어학자 문세영이 《조선어사전》을 펴내면서였다. 이 사전은 한국인에 의해 탄생한 최초의 국어사전이란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때 비로소 ‘전화기’가 표제어로 오르면서 공식적으로 단어가 됐다. 1957년 한글학회에서 완간한 《조선말 큰사전》에 실린 ‘전화기’ 풀이는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말소리를 전파 또는 전류를 응용하여 먼 곳으로 보내는 기계. (중략) 전화의 잇고 끊음을 전화 교환수의 손으로 하게 된 수동식과 교환수가 없이 말할 이가 스스로 전화기에 있는 번호반을 돌려서 하는 자동식이 있음.’ 다른 표제어에 비해 훨씬 많은 분량으로 자세히 설명해 놓은 것에서 당시 이 말의 높은 위상을 알아볼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요즘은 ‘전화기’란 말도 점차 사라져가는 말이 됐다. 그 자리에는 핸드폰, 휴대폰, 휴대전화, 이동전화, 스마트폰 같은 말이 들어섰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들 단어가 모두 표제어로 올라 있다. ‘덕률풍’은 이미 완전히 잊혀졌고, 전화기와 경쟁하는 외래어 또는 우리말 대체어는 ‘자유로운 언어의 시장’에서 경쟁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