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대학 생글이 통신
여름방학은 24시간 맘대로 활용할 소중한 시간이에요
안녕하세요? 저는 숙명여대 경영학부 20학번, 생글기자 14기 정지희입니다. 기말고사는 잘 치렀나요? 덥고 습한 날씨 속에서 공부하느라 정말 수고가 많습니다. 기말고사가 끝나고 나면 기대하는 여름방학이 시작됩니다. 방학 동안 학교를 가지 않아서 좋겠지만, 방학은 모두에게 중요한 시기라는 걸 잘 알 겁니다. 학교 교육과정과 별개로 본인의 약점을 보충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학년별로 여름방학 동안 무엇을 준비하는 게 좋을지,...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늙지 않는 인간이 어디 있으리? 그러니 탄로가를 부를 수밖에…
구만 리(九萬里) 장천(長天)…/… 이 몸을 수이 늙게, 산쳔도 변거든 낸들 아니 늙을쇼냐, 청산이 녜 얼골 나노매라/ 귀밋테 해무근 서리 녹을 줄을 모른다 ‘늙음’은 인간이 피할 수 없고 인간 감정을 흔들어 놓는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조상들의 노래들도 많다. 그 노래들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우선 자연(물)을 이용한 표현이 많다는 것이다. (가)에서 ‘...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전쟁의 정당한 몫을 받기 위해 요구하라"…3000년 전에도 불거진 '분배 정의' 목소리
노력한 만큼 공평한 보상을 해달라는 ‘분배의 정의’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3000년 전 그리스 세계에서 처음 나왔다. 실존 인물은 아니지만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테르시테스가 처음으로 평등을 외쳤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는 전반적으로 귀족주의적 사상을 밑바탕에 둔 작품이다. 모든 좋은 것은 귀족들이 독차지하고 있다. 신분이 높은 사람은 용모도 출중하고, 부유하며 용감하다. 성품도 훌륭하고 전투도 잘할 뿐 ...
-
생글기자
내실 있는 ESG 경영 펼쳐주세요
당신은 철로 변환기 앞에 서 있다. 그리고 기차가 멀리서 달려오고 있다. 한쪽 철도에는 4명의 사람이, 반대편 철도에는 1명의 사람이 묶여 있는 상황이다. 모두 평범하고 선량하게 살아온 사람들이다. 철도 변환기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4명이 죽고, 작동시키면 1명이 죽는다. 어떻게 할 것인가. 트롤리 딜레마 개념이다. 이 딜레마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서도 엿볼 수 있다. 사람과 환경을 지킬 것인가, 돈을 선택...
-
테샛 공부합시다
독점시장
[문제] 독점시장의 가격차별은 1급, 2급, 3급으로 구분된다. 1급 가격차별이 시행되는 독점시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든 소비자는 각각 다른 가격을 지불한다. ② 한계수입곡선은 시장수요곡선과 동일하다. ③ 완전경쟁시장과 동일한 수량이 시장에 공급된다. ④ 소비자잉여는 매우 적지만 0보다 크게 존재한다. ⑤ 일반 독점시장에 비해 사회적 후생이 더 크게 나타난다. [해설] 1급 가격차별이 시행되는 독점시장에서는 각...
-
커버스토리
고1,2 국어는 고전 시가와 소설 정리…수학 선행학습을
방학은 성적 향상의 최적의 시기다. 하지만 무작정 공부 시간만 늘린다고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종로학원의 협조로 고 1, 2 학생에게 도움 될 만한 국어, 수학, 영어 학습전략을 알아보자. 국어/방학 중 문학 집중학습하면 내신 대비 수월 고 1, 2 국어 내신 시험은 일반적으로 문학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내신에 대비하려면 방학 기간 문학 공부에 집중하는 게 좋다. 최대한 많은 문학작품을 다뤄보기를 권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
-
커버스토리
고3, EBS 수능완성 마무리…수학, 문·이과 모두 공통과목 집중
올해 수능까지 4개월 남았다. 고3에게 여름방학은 수능성적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할 수 있다. 수능뿐 아니라 수시 자기소개서 마무리, 논술·면접 등 대학별고사 준비 등 챙겨야 할 것도 많다. 정시까지 바라보는 긴 안목이 중요하다. 수능학습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수시 준비를 해가는 지혜가 중요할 때다. 그러기 위해선 남은 기간 수능학습 전략 또한 촘촘하고 계획적이어야 한다. 남은 기간 고3 국수영 수능 학습전략을...
-
진학 길잡이 기타
논증추론 문제의 해결전략
증명 문제를 해결하는 주요 전략은 교과서의 기본성질을 근거로 하여 증명하는 방법과 귀류법과 같은 논리적 사고에 의해 해결하는 전략,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과 같은 절대부등식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외에도 자연수에 대한 명제로서 수학적 귀납법 증명 문제 등이 수리논술에서 주로 출제되는 증명 문제이다. ☞ 포인트 수리논술이 수능과 다른 점은 풀이 과정에 대한 평가를 단계적으로 한다는 것에 있다. 특히 논증추론, 즉 증명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