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델타 변이 확산에서 학교는 안전한가

    전국 초·중·고의 2학기 전면등교 발표 이후 인도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가파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고3과 그 외 수험생, 중·고등학교 교직원은 7월 중 백신을 맞지만, 이들을 제외한 만 18세 미만 학생은 백신 안전성 문제로 아직 구체적인 접종 계획이 발표되지 않은 상황이다. 교육부는 2학기 등교 확대에 따라 초6~고2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안전성과 백신 접종 의사, 접종 거부 시...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경제에서는 규제에 대한 관점부터 바꿔야

    규제는 철폐가 아닌 변화의 대상이다. 환경에 걸맞은 변화를 통해 규제 때문에 산업이 퇴보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언제나 변화는 우려를 낳기 마련이다. 책임 문제에서 자유롭기 어려운 규제 당국은 예측하기 힘든 나쁜 결과를 막기 위해서 기술과 경제혁신의 속도에 제동을 걸고 싶은 충동에 직면한다.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다. 하지만 과거의 경험은 변화가 가져오는 발전이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 경우가 많았음을 알려준다. 규제와 새로운 시장 형성...

  • 생글기자

    '민식이 법' 악용…누구를 위한 법인가

    일명 ‘민식이법’으로 불리는 이 법은 2019년 9월 충남 아산의 한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한 김민식 군(당시 9세) 사건 이후 발의됐다. 스쿨존에서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이겠다는 취지로 개정된 도로교통법과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로, 2019년 12월 10일 국회를 통과해 2020년 3월 25일부터 시행됐다. 지난해 12월 26일 60대 남성 A씨는 대전 유성구 학교 인근 어린이보호구역을 천천히...

  • 경제 기타

    '물가 지옥' 베네수엘라, 화폐에서 '0' 여섯 개 빼는 이유는?

    요즘 카페나 레스토랑의 메뉴판을 보면 1000원 이하 단위를 생략하는 곳이 꽤 있다. 4000원짜리 아메리카노는 ‘4.’, 1만8000원짜리 파스타는 ‘18.’으로 적는 식이다. 가격에 0이 많이 붙으면 거추장스러우니 잘라버린 것이다. 만약 이런 조치를 정부가 국가 차원에서 단행한다면? 이것이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이다.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 액면가를 동일한 비율의 낮은 숫자로 변경...

  • 교양 기타

    '핸없사' 2주일…아이들은 어떻게 변했을까

    《핸드폰 없는 2주일》이란 제목만 보고도 ‘있을 수 없는 일이야’라고 말할 친구들이 많을 것 같다. 이미 3년 전에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96.5%가 핸드폰을 보유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현재 우리나라 스마트폰 보급률은 110%를 넘었다. 핸드폰을 2대 소유한 사람이 국민의 10%를 넘는, 세계 최고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하철을 타면 거의 모든 사람이 핸드폰을 보고 있다. 길거리에서도 사람들은 핸드폰을 손에 꼭 쥐...

  • 대학 생글이 통신

    선생님들이 바빠지기 전에 자소서 첨삭받으세요

    정시 일반전형으로 연세대 경영학과 21학번에 입학한 생글기자 14기 주호연입니다. 저는 세종시 중학교와 상산고등학교를 졸업했고, 수시와 정시를 함께 준비했습니다. 어느덧 7월에 접어들었습니다. 수시전형을 준비하는 ‘수시러’에게는 학교생활기록부 마감과 자기소개서를 준비할 시간이 다가왔습니다. 1학기가 마무리돼가는 지금 여러분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저는 수시를 함께 준비했기에 1학기까지 내신 공부를 진행하...

  • 진학 길잡이 기타

    간호학과, 서울권 및 거점국공립대 학생부 합격선은 1~2등급대

    직업에서 ‘금남금녀’는 이제 옛말이 돼가고 있다. 이에 맞춰 대학 학과도 변화가 거세다. 대표적인 곳이 간호학과다. 간호학과는 전통적으로 여학생 중심 학과였으나 최근 남학생 진학이 크게 늘었다. 2001년 전국 간호학과 남학생 신입생 비율은 1.3%에 불과했지만 2020년 19.3%까지 늘었다. 보건의료산업 성장과 함께 간호학과는 남학생들에게도 관심을 끌고 있다. 2022학년도 전국 간호학과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 전국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전승절'과 '이른바 전승절'의 차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승절(7월 27일) 67주년을 맞아 군 지휘관 주요 성원들에게 ‘백두산 권총’을 하사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지난해 이즈음 우리 언론들은 노동신문 보도를 인용해 북한 지도부의 동향을 이렇게 전했다. 문장 안에는 몇 가지 오류가 눈에 띈다. ‘이른바’는 ‘남들이 그리 말하더라’라는 뜻 더해 그중에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