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기압 단위로 쓰는 '밀리바'는 옛말···'헥토파스칼'은 아직도 낯설어
국제단위계(SI)상의 용어도 우리말을 구성하는 수많은 말 중 하나다. 하지만 언중(言衆)이 이해하기에 유난히 취약한 분야로 남아 있다. ‘헥토파스칼’처럼 낯선 말들이 꽤 있다. 언론을 통해 제법 알려지기도 했지만 여전히 어렵다. “기상청은 내년 1월 1일부터 이제까지 기상통보에 사용하던 기압단위 밀리바(mb)를 헥토파스칼(hpa)로 변경한다고 20일 밝혔다.” 태풍 기압 뜻할 때 쓰지만 여전히 어려워...
-
숫자로 읽는 세상
메타버스 시장 규모 2024년 7833억달러…MS·메타 등 업무 회의하고 파티도 열어
3차원(3D) 가상세계인 ‘메타버스’ 안에 디지털 본사를 구축하거나 메타버스 기반의 협업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재택근무가 일상화하면서 직원들 사이에 소통 단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기업들은 디지털 본사를 가상 티타임, 전시회 등을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경제전문지 포천에 따르면 미디어·데이터 스타트업 뉴스트리트는 지난 6월 메타버스 플랫폼 크립토복셀...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꿈을 꾸며 열심히 달리면 반드시 이루어진다"···가난한 나라의 가난한 청년이 보여준 꿈의 위력
많은 명사들이 자전적 에세이를 출간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판매대에서 사라진다. 책이 쏟아져 나오다 보니 새로운 삶으로 독자들의 관심이 옮아가기 때문이다. 《언제까지나 나는 꿈꾸는 청년이고 싶다》는 2000년 12월 초판을 발행해 49쇄를 거듭한 데다 재판 8쇄까지 출판이 이어지고 있다. 여러 강연자가 이 책의 내용을 자주 인용하며 류태영 박사의 전설적인 삶을 알리고 있다. 언제나 꿈을 꾸었고, 꿈을 향해 최선을 다해 달렸고, 정말 꿈 같은 일...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사전검열' 논란 거센 'n번방 방지법' 강행해야 하나
디지털 성범죄물의 유통을 막기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및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일명 n번방 방지법)을 둘러싼 공방이 인터넷과 정치권을 중심으로 거칠게 일고 있다. 해외 메신저 텔레그램에서 성범죄 동영상이 유포돼 큰 물의를 일으킨 ‘n번방 사건’ 이후 대책으로 마련된 게 이 법이다. 범죄적 불법 영상의 유통을 막겠다는 취지였다. 그런데 법 시행과 동시에 재개정 논의가 나온 것은 이 법이 카카오톡의 오픈채팅...
-
생글 유학생 일기
美 명문 기숙학교 한국인 유학생의 학교 소개
<편집자 주> 미국 웨스트민스터스쿨에 재학 중인 양현웅 학생이 생글생글에 보내 온 유학생 일기입니다. Hyunwoong YANG(Westminster School, Simsbury, CT) Westminster School is a private, coeducational, boarding and day school in Simsbury, Connecticut that accepts around 20% of applicants. ...
-
킥스타트와 함께 하는 창업 이야기
혁신은 나이와 상관없다… 미국·영국의 10대 창업가
우리는 혁신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변화와 혁신은 계속해서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혁신을 일으키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그것은 창업이라는 형태로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특히 청년층과 중장년층 창업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고 성공 창업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반면 청년에 포함되지 않는 청소년, 특히 10대 창업은 통계에 포함되지 않을 정도로 낮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럼에도 창업을 시도해 성공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
대입 전략
연세대·고려대 계획보다 정시인원 더 뽑아…약대 중복합격으로 이탈자 더 늘어날 듯
지난해 전국 대학의 수시이월 인원은 총 4만1382명에 달했다. 정시에서 뽑기로 했던 최초 계획과 비교해 실제 정시에선 4만 명 넘는 인원을 더 선발했다는 것이다. 수시이월 규모가 정시 지원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이유다. 올해 고3 학생 수는 전년과 비교해 비슷한 수준이다. 수시이월 규모 또한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학년도 전국 대학별 수시이월 규모를 분석해본다. 수시이월은 수시에서 뽑지 못해 정시로 이월해 선발하는 인...
-
생글기자
유기견 안락사보다 보호수용 해법 찾아야
반려견을 기르는 가정이 늘면서 유기견도 늘고 있다. 동시에 떠오르고 있는 문제가 유기견 안락사다. 유기견 안락사에 대해 찬반 의견을 정하기는 쉽지 않다. 유기견 안락사는 어느 정도 불가피한 면이 있다. 유기견을 보호하려면 시설이 필요하고 비용도 들어간다. 모든 유기견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이 있다면 굳이 안락사시킬 필요는 없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위생 문제도 따른다. 병이 들어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유기견도 있다. 회복할 가능성이 없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