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과 유사한 '평가원 모의고사' 통해 배울점

    3년간 고등학교에 다니며 많은 모의고사를 치러봤을 것입니다. 교육청 모의고사, 사설 모의고사 등.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모의고사가 얼마 전 치러진 9월 평가원 모의고사입니다. 평가원 모의고사는 실제 수능과 가장 가까운 시험 중 하나입니다. 수능을 출제하는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기도 하고, 필적 확인란부터 OMR카드 그리고 문제지 사이즈까지 실제 수능과 가장 가깝습니다. n수생들도 시험을 보기 때문에 실제 경쟁자들 사이에서 내가 어...

  • 과학과 놀자

    누리호 발사 순간 피어오른 흰 연기의 정체는?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의 과학 이야기 (3) 2022년 6월 21일은 우리나라 우주 개발사에 기념비적인 하루였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에 성공한 것이다. 이로써 한국은 세계에서 11번째로 발사체를 우주 궤도에 올린 나라이자 무게 1t 이상 실용 위성을 일곱 번째로 쏘아 올린 나라가 됐다. 작년 10월 첫 번째 발사 시도가 실패하고, 2차 발사도 날씨 때문에 한 번 연기되는 곡절 끝에 이룬 성과다. 누리호 발사를 지켜본 사람이라면 ...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매년 1만명 이상 지원해 200명 합격하는 검찰수사관

    국정농단·드루킹 사건 수사 참여한 손승희 서울중앙지검 여성아동범죄수사부 수사관 매년 1만 명이 넘는 응시자가 지원하지만 합격 인원은 200명 남짓. 평균 49대 1(9급·2017~2021년)의 경쟁률을 뚫어야 할 수 있는 직업, 검찰수사관이다. 검찰직 공무원 시험은 매년 한 차례 치러진다. 그 중에서도 7급은 매년 10명만 선발한다. 2013년 검찰수사관 7급으로 임용돼 지난 10년째 근무 중인 손승희(39) 씨는 ...

  • 한·중 수교 30년

    한국이 중국과 정식 외교 관계를 맺은 지 30년이 됐다. 생글생글은 767호 커버스토리로 ‘한·중 수교 30년’을 다뤘다. 서로에게 문을 연 이후 두 나라는 더 나은 관계로 발전했다. 교역량이 47배나 늘어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가난에 허덕였던 중국이 한국을 모델로 삼아 개혁·개방을 추진했다는 이야기, 중국 시장을 세심하게 다뤄야 하는 한국의 입장 등을 다각도로 다뤘다. 대학생글이 통신은 대입...

  • TESAT 공부하기 기타

    수요법칙

    [문제1] 사탕의 소비자는 오직 세 명뿐이며, 이들이 각각의 가격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수량은 아래와 같다. 이와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탕에 대한 시장 수요는 수요법칙을 만족하고 있다. (2) 가격이 300원일 때의 사탕의 시장 수요량은 7개다. (3) 사탕에 대한 개별 수요는 소비자 모두가 수요법칙을 만족하고 있다. (4) 가격이 500원에서 200원으로 하락하면 사탕의 시장 수요량은 2배로 증가한다. (5) 소...

  • 생글기자

    인식 전환이 필요한 청소년 임신·출산

    TV 예능 프로그램 ‘어른들은 모르는 고딩엄빠’가 10대 사이에서 화제다. 이 프로그램은 그동안 금기시해온 10대의 임신과 출산을 소재로 한다. 제목처럼 고등학생 나이에 엄마 아빠가 된 이들의 얘기를 통해 청소년 성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환기하고 있다. 중학생 때 임신해 열 살짜리 아이를 키우고 있는 사람, 18세에 엄마가 된 탈북자 등 다양한 사연이 등장한다. 10대 임신·출산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은...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목성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7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과학 관측을 해온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찍은 목성의 초정밀 사진을 8월 22일 공개했다. 3중 필터 처리 근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이 사진에는 남북극 대기 위에 형성된 붉은색 오로라와 적도 주변의 고리, 작은 위성(달) 등의 모습이 담겨 있다. 지구를 완전히 품고도 남을 만큼 넓은 목성 표면의 적갈색 소용돌이인 ‘대적반’은 빛을 반사해 흰색으로 보인다. ...

  • 스포츠 마케팅이 궁금해 !

    초·중학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스포츠 마케팅을 이번 주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습니다. 기업의 대회 후원, 구단 운영, 경기장 광고, 굿즈 판매 등의 요소를 야구장 한 장면을 끌어와 설명했습니다. 기업은 스포츠 스타를 광고 모델로 기용하기도 합니다. 소비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려는 시도입니다.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이 국경없는의사회를 방문해 최준용 선생님을 인터뷰한 소식도 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