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38) - 이노우에 야스시 '둔황'

    모래는 울고, 이야기는 흐른다 어릴 적 할머니는 “이야기를 좋아하면 가난해진다”는 말을 들려주었다. 이야기는 재밌는 건데, 좋아하면 왜 가난해지지? 예닐곱 살 꼬마로서는 알 수 없는 얘기였다. 할머니는 알쏭달쏭한 소리를 하면서도 손녀가 잠을 못 이루는 밤마다 이야기를 해주었다. 어떤 밤은 황금광인 줄 알고 재산을 털어 넣었다가 패가망신한 사내 얘기를, 또 어떤 밤은 미쓰꼬시 백화점 양식당에서 몰래 데이트를 하다가 시아버지 될 사람을 발견하고...

  • 경제 기타

    홍천여고만의 특별한 '화이트데이' …

    홍천여고만의 특별한 '화이트데이' 지난 14일, 여학생이라면 누구나 기대하는 '화이트데이'(남성이 좋아하는 여성에게 사탕을 선물하며 사랑을 고백하는 날)에 홍천여고에서는 아주 이색적인 일이 일어났다. 그것은 바로 교장선생님의 '화이트데이' 기념 사탕 선물이었다. 오전 7시30분부터 강성일 홍천여고 교장선생님은 문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에게 사탕을 선물했다. 이날은 3월 학력평가를 치르는 날이라 더 뜻깊었다. 교장선생님은 천여고에 부임한 후 올해...

  • (2) '꿈'이 공부의 필수 조건이라고?

    '공부불패'저자 유재원이 전하는… 꼭 꿈이 있어야 공부를 잘할 수 있을까? 그렇지는 않다. 꿈과 공부는 선후 관계가 정해져 있지 않다. 꿈이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사실 공부를 하는 데는 큰 지장이 없다. 오히려 너무 꿈에 집착하다 새로운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새로운 미래가 온다》의 저자인 대니얼 핑크는 “젊은 나이에는 계획을 세우지 마세요. 세상은 너무 복잡하고 빨리 변해서 절대 예상대로 되지 않습니다. 대신 뭔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시...

  • 진학 길잡이 기타

    올해 수시모집 비율 63%…수시 지원은 이제 필수

    올해 대입은 지난해와 달리 입학사정관전형 원서접수가 보름 늦춰진 8월16일부터 시작되고 수시 예비합격자가 추가합격할 경우 정시지원이 원천 차단되므로 수시모집 실질 선발인원이 금년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대학별로 올해 입시전형안을 확정 발표하지 않았지만 지난해와 마차가지로 논술, 면접 등 대학별고사와 입학사정관전형 위주의 수시모집이 확대되고, 정시모집에서는 여전히 수능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할 것이다. 해마다 수시모집 정원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148>

    자유낙하와 탄성충돌 [2010학년도 수시 2-1 인하대학교 논술고사 中]

  • 진학 길잡이 기타

    (2) 이희경 서울교육대 유아특수교육과 2학년

    "열정적인 교내외 봉사활동이 합격 비결" 이희경 양(20)은 2011학년도 대입에서 수시전형으로 서울교육대학 유아특수교육과에 합격했다. 이 양의 합격 비결은 목표 학과에 맞춰 다양한 교내 활동과 봉사활동을 했다는 게 포인트다. 거창한 활동보다 손에 잡히는 영역 내에서 경험한 일들이 수시 논술과 구술에 120% 도움이 됐다. #학급반장, 동아리 적극 참여 이 양은 학교활동에 왕성한 의욕을 보인 케이스다. 중학생 때 학생회 도서학습부장으로 도...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26일자

    1. 재판을 청구하면 최종 판결이 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이전에 발생할 피해를 막기 위해 법원이 일단 어떤 행위를 임시로 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본 소송을 청구하면서 동시에 내거나 그 이전에 신청하는 이것은? ①항고 ②항소 ③가처분 ④헌법소원 2. 조직내 부정부패를 외부에 드러내는 '내부고발자'를 가리키는 말로 조직의 비리에 대해 눈 감지 않고 경고의 호루라기를 분다는 뜻에서 생긴 이 용어는? ①딥 스로트 ②휘슬...

  • 학습 길잡이 기타

    (46) 나는 뚜껑 있는 그릇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오합지졸(烏合之卒) 까마귀가 모인 것처럼 질서가 없이 모인 병졸이라는 뜻으로, 임시로 모여들어서 규율이 없고 무질서한 병졸 또는 군중을 이르는 말. 합종연횡(合從連橫) 1.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행해졌던 외교 방식으로 합종책과 연횡책을 말함. 2. 약자끼리 세로로 연합하여 강자에게 대항하거나, 약자들이 가로로 나란히 서서 강자와 화해함.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부합(符合): 1. 대(對)가 되는 ...